무일(無逸)
逸者는 人君之大戒니 自古有國家者 未有不以勤而興하고 以逸而廢也라 益이 戒舜曰 罔遊于逸하며 罔淫于樂이라하니 舜은 大聖也로되 益이 猶以是戒之하니 則時君世主 其可忽哉아 成王初政에 周公이 懼其知逸而不知無逸也라 故로 作是書以訓之하시니라 言則古昔하고 必稱商王者는 時之近也요 必稱先王者는 王之親也요 擧三宗者는 繼世之君也요 詳文祖者는 耳目之所逮也라 上自天命精微로 下至畎畝艱難, 閭里怨詛히 無不具載하니 豈獨成王之所當知哉리오 實天下萬世人主之龜鑑也라 是篇은 凡七更端에 周公이 皆以嗚呼發之하사 深嗟永歎하시니 其意深遠矣라 亦訓體也니 今文古文皆有하니라
인용
제1장(第一章)
周公曰 嗚呼라 君子는 所其無逸이니라
所는 猶處所也니 君子以無逸爲所하여 動靜食息이 無不在是焉하니 作輟則非所謂所矣라
인용
제2장(第二章)
先知稼穡之艱難이오사 乃逸하면 則知小人之依하리이다
先知稼穡之艱難乃逸者는 以勤居逸也라 依者는 指稼穡而言이니 小民이 所恃以爲生者也라 農之依田은 猶魚之依水, 木之依土하니 魚無水則死하고 木無土則枯하고 民非稼穡則無以生也라 故로 舜은 自耕稼로 以至爲帝하시고 禹稷은 躬稼以有天下하시고 文武之基는 起於后稷하시며 四民之事는 莫勞於稼穡이요 生民之功은 莫盛於稼穡이라 周公發無逸之訓에 而首及乎此하시니 有以哉인저
인용
제3장(第三章)
相小人한대 厥父母勤勞稼穡이어든 厥子乃不知稼穡之艱難하고 乃逸하며 乃諺하며 旣誕하나니 否則侮厥父母曰 昔之人이 無聞知라하나니이다
不知稼穡之艱難乃逸者는 以逸爲逸也라 俚語曰諺이라 言視小民컨대 其父母勤勞稼穡이어든 其子乃生於豢養하여 不知稼穡之艱難하고 乃縱逸自恣하며 乃習俚巷鄙語하며 旣又誕妄하여 無所不至라 不然이면 則又訕侮其父母曰 古老之人은 無聞無知하여 徒自勞苦하여 而不知所以自逸也라 昔에 劉裕奮農畝而取江左러니 一再傳後에 子孫이 見其服用하고 反笑曰 田舍翁은 得此亦過矣라하니 此正所謂昔之人無聞知也라 使成王非周公之訓이면 安知其不以公劉后稷爲田舍翁乎아
인용
제4장(第四章)
周公曰 嗚呼라 我聞호니 曰 昔在殷王中宗하사 嚴恭寅畏하사 天命自度하시며 治民祗懼하사 不敢荒寧하시니 肆中宗之享國이 七十有五年이시니이다
中宗은 太戊也라 嚴則莊重하고 恭則謙抑하고 寅則欽肅하고 畏則戒懼라 天命은 卽天理也라 中宗이 嚴恭寅畏하사 以天理而自檢律其身하시며 至於治民之際에도 亦祗敬恐懼而不敢怠荒安寧하시니 中宗無逸之實이 如此라 故로 能有享國永年之效也라 按書序에 太戊有原命, 咸乂等篇하니 意述其當時敬天治民之事나 今無所攷矣니라
인용
제5장(第五章)
其在高宗時하사는 舊勞于外하사 爰曁小人이러시니 作其卽位하사 乃或亮陰(암)三年을 不言하시니 其惟不言하시나 言乃雍하시며 不敢荒寧하사 嘉靖殷邦하사 至于小大히 無時或怨하니 肆高宗之享國이 五十有九年이시니이다
高宗은 武丁也니 未卽位之時에 其父小乙이 使久居民間하여 與小民出入同事라 故로 於小民稼穡艱難에 備嘗知之也라 雍은 和也니 發言和順하여 當於理也라 嘉는 美요 靖은 安也니 嘉靖者는 禮樂敎化 蔚然於安居樂業之中也라 漢文帝與民休息하니 謂之靖則可커니와 謂之嘉則不可라 小大無時或怨者는 萬民咸和也라 乃雍者는 和之發於身이요 嘉靖者는 和之發於政이요 無怨者는 和之著於民也라 餘見說命하니라 高宗無逸之實이 如此라 故로 亦有享國永年之效也라
인용
제6장(第六章)
其在祖甲하사는 不義惟王이라하사 舊爲小人이러시니 作其卽位하사 爰知小人之依하사 能保惠于庶民하시며 不敢侮鰥寡하시니 肆祖甲之享國이 三十有三年이시니이다
史記에 高宗崩에 子祖庚立하고 祖庚崩에 弟祖甲立이라하니 則祖甲은 高宗之子요 祖庚之弟也라 鄭玄曰 高宗이 欲廢祖庚하고 立祖甲한대 祖甲이 以爲不義라하여 逃於民間이라 故로 云不義惟王이라 按漢孔氏는 以祖甲爲太甲하니 蓋以國語稱帝甲亂之하여 七世而殞이라하니 孔氏見此等記載하고 意爲帝甲은 必非周公所稱者요 又以不義惟王이 與太甲玆乃不義文似라하여 遂以此稱祖甲者로 爲太甲이라 然詳此章舊爲小人作其卽位와 與上章爰曁小人作其卽位하면 文勢正類하니 所謂小人者는 皆指微賤而言이요 非謂憸小之人也며 作其卽位도 亦不見太甲復政思庸之意라 又按邵子經世書에 高宗五十九年, 祖庚七年, 祖甲三十三年이라하여 世次歷年이 皆與書合이로되 亦不以太甲爲祖甲이라 況殷世二十有九에 以甲名者五帝니 以太, 以小, 以沃, 以陽, 以祖別之하니 不應二人俱稱祖甲이라 國語는 傳訛承謬하고 旁記曲說하여 不足盡信이니 要以周公之言爲正이라 又下文에 周公言 自殷王中宗及高宗, 及祖甲, 及我周文王이라하시니 及云者는 因其先後次第而枚擧之辭也니 則祖甲之爲祖甲而非太甲이 明矣니라
인용
제7장(第七章)
自時厥後로 立王이 生則逸하니 生則逸이라 不知稼穡之艱難하며 不聞小人之勞하고 惟耽樂之從하니 自時厥後로 亦罔或克壽하여 或十年하며 或七八年하며 或五六年하며 或四三年하니이다
過樂을 謂之耽이라 泛言 自三宗之後로 卽君位者 生則逸豫하여 不知稼穡之艱難하며 不聞小人之勞하고 惟耽樂之從하여 伐性喪生이라 故로 自三宗之後로 亦無能壽考하여 遠者는 不過十年七八年이요 近者는 五六年三四年爾니 耽樂愈甚이면 則享年愈促也라 凡人이 莫不欲壽而惡夭하나니 此篇은 專以享年永不永爲言하니 所以開其所欲而禁其所當戒也니라
인용
제8장(第八章)
周公曰 嗚呼라 厥亦惟我周에 太王王季 克自抑畏하시니이다
商은 猶異世也라 故로 又卽我周先王告之하시니라 言太王王季 能自謙抑謹畏者는 蓋將論文王之無逸이라 故로 先述其源流之深長也라 大抵抑畏者는 無逸之本이니 縱肆怠荒은 皆矜誇無忌憚者之爲라 故로 下文言文王에 曰柔, 曰恭, 曰不敢하니 皆原太王王季抑畏之心發之耳니라
인용
제9장(第九章)
文王이 卑服으로 卽康功田功하시니이다
卑服은 猶禹所謂惡衣服也라 康功은 安民之功이요 田功은 養民之功이라 言文王이 於衣服之奉에 所性不存하고 而專意於安養斯民也라 卑服은 蓋擧一端而言이니 宮室飮食自奉之薄을 皆可類推니라
인용
제10장(第十章)
徽柔懿恭하사 懷保小民하시며 惠鮮鰥寡하사 自朝로 至于日中昃히 不遑暇食하사 用咸化萬民하시니이다
徽懿는 皆美也라 昃은 日昳也라 柔謂之徽면 則非柔懦之柔요 恭謂之懿면 則非足(주)恭之恭이라 文王이 有柔恭之德而極其徽懿之盛하사 和易近民하여 於小民則懷保之하고 於鰥寡則惠鮮之하시니라 惠鮮云者는 鰥寡之人이 垂首喪氣어늘 賚予賙給之하여 使之有生意也라 自朝至于日之中하고 自中至于日之昃히 一食之頃을 有不遑暇하사 欲咸和萬民하여 使無一不得其所也라 文王이 心在乎民하사 自不知其勤勞如此하시니 豈秦始皇衡石程書와 隋文帝衛士傳餐하여 代有司之任者之爲哉아 立政에 言罔攸兼于庶言庶獄庶愼이라하니 則文王은 又若無所事事者라 不讀無逸이면 則無以知文王之勤이요 不讀立政이면 則無以知文王之逸이니 合二書觀之하면 則文王之所從事를 可知矣리라
인용
제11장(第十一章)
文王이 不敢盤于遊田하사 以庶邦惟正之供하시니 文王受命이 惟中身이러시니 厥享國이 五十年이시니이다
遊田은 國有常制하니 文王이 不敢盤遊無度하여 上不濫費라 故로 下無過取하여 而能以庶邦惟正之供하여 於常貢正數之外에 無橫斂也라 言庶邦이면 則民可知라 文王爲西伯하여 所統庶邦이 皆有常供하니 春秋에 貢於覇主者를 班班可見이요 至唐하여도 猶有送使之制하니 則諸侯之供方伯이 舊矣라 受命은 言爲諸侯也라 中身者는 漢孔氏曰 文王九十七而終하시니 卽位時年이 四十七이라하니 言中身은 擧全數也라 上文의 崇素儉, 恤孤獨, 勤政事, 戒遊佚이 皆文王無逸之實이라 故로 其享國이 有歷年之永이라
인용
제12장(第十二章)
周公曰 嗚呼라 繼自今으로 嗣王은 則(칙)其無淫于觀于逸于遊于田하사 以萬民惟正之供하소서
則은 法也라 其는 指文王而言이라 淫은 過也라 言自今日以往으로 嗣王은 其法文王의 無過于觀逸遊田하여 以萬民惟正賦之供이라 上文에 言遊田而不言觀逸은 以大而包小也요 言庶邦而不言萬民은 以遠而見近也니라
인용
제13장(第十三章)
無皇(遑)曰今日에 耽樂이라하소서 乃非民의 攸訓이며 非天의 攸若이라 時人이 丕則(칙)有愆하리니 無若殷王受之迷亂하여 酗于酒德哉하소서
無는 與毋通이요 皇은 與遑通이라 訓은 法이요 若은 順이요 則은 法也라 毋自寬暇하여 曰今日에 姑爲是耽樂也라하소서 一日耽樂이 固若未害나 然下非民之所法이요 上非天之所順이라 時人이 大法其過逸之行하리니 猶商人化受而崇飮之類라 故로 繼之曰 毋若商王受之沈迷하여 酗于酒德哉하소서하니라 酗酒를 謂之德者는 德은 有凶有吉하니 韓子所謂道與德爲虛位 是也라
인용
제14장(第十四章)
周公曰 嗚呼라 我聞호니 曰 古之人이 猶胥訓告하며 胥保惠하며 胥敎誨일새(혼들로) 民이 無或胥譸張爲幻하니이다
胥는 相이요 訓은 誡요 惠는 順이요 譸는 誑이요 張은 誕也라 變名易實하여 以眩觀者曰幻이라 歎息言 古人은 德業已盛이로되 其臣이 猶且相與誡告之하고 相與保惠之하고 相與敎誨之하니 保惠者는 保養而將順之니 非特誡告而已也며 敎誨則有規正成就之意하니 又非特保惠而已也라 惟其若是라 是以로 視聽思慮가 無所蔽塞하고 好惡取予가 明而不悖라 故로 當時之民이 無或敢誑誕爲幻也라
인용
제15장(第十五章)
此厥不聽하시면 人乃訓之하여 乃變亂先王之正刑하여 至于小大하리니 民이 否則厥心違怨하며 否則厥口詛祝(저주)하리이다
正刑은 正法也라 言成王이 於上文古人胥訓告, 保惠, 敎誨之事에 而不聽信이면 則人乃法則之하여 君臣上下 師師非度하여 必變亂先王之正法하여 無小無大히 莫不盡取而紛更之하리니 蓋先王之法이 甚便於民이나 甚不便於縱侈之君하니 如省(생)刑罰以重民命은 民之所便也로되 而君之殘酷者는 則必變亂之하며 如薄賦斂以厚民生은 民之所便也로되 而君之貪侈者는 則必變亂之라 厥心違怨者는 怨之蓄于中也요 厥口詛祝者는 怨之形於外也니 爲人上而使民心口交怨이면 其國不危者 未之有也라 此는 蓋治亂存亡之機라 故로 周公이 懇懇言之하시니라
인용
제16장(第十六章)
周公曰 嗚呼라 自殷王中宗하여 及高宗과 及祖甲과 及我周文王玆四人이 迪哲하시니이다
迪은 蹈요 哲은 智也라 孟子以知而弗去로 爲智之實하시니 迪云者는 所謂弗去 是也라 人主知小人之依로되 而或忿戾之者는 是不能蹈其知者也어늘 惟中宗, 高宗, 祖甲, 文王이 允蹈其知라 故로 周公이 以迪哲稱之하시니라
인용
제17장(第十七章)
厥或告之曰 小人이 怨汝詈汝라커든 則皇自敬德하사 厥愆을 曰朕之愆이라하소서 允若時하시면 不啻不敢含怒리이다
詈는 罵言也라 其或有告之曰 小人이 怨汝詈汝어든 汝則皇自敬德하여 反諸其身하여 不尤其人하고 其所誣毁之愆을 安而受之하여 曰是我之愆이라하라 允若時者는 誠實若是요 非止隱忍不敢藏怒也라 蓋三宗文王이 於小民之依에 心誠知之라 故로 不暇責小人之過言하고 且因以察吾身之未至하여 怨詈之語를 乃所樂聞하니 是豈特止於隱忍含怒不發而已哉아
인용
제18장(第十八章)
此厥不聽하시면 人乃或譸張爲幻하여 曰 小人이 怨汝詈汝라커든 則信之하리니 則若時하면 不永念厥辟이며 不寬綽厥心하여 亂罰無罪하며 殺無辜하리니 怨有同하여 是叢于厥身하리이다
綽은 大요 叢은 聚也라 言成王이 於上文三宗文王迪哲之事에 不肯聽信이면 則小人이 乃或誑誕하여 變置虛實하여 曰 小民이 怨汝詈汝라커든 汝則聽信之하리니 則如是면 不能永念其爲君之道며 不能寬大其心하여 以誑誕無實之言으로 羅織疑似하여 亂罰無罪하고 殺戮無辜하여 天下之人이 受禍不同이나 而同於怨하여 皆叢於人君之一身하리니 亦何便於此哉아 大抵無逸之書는 以知小人之依로 爲一篇綱領이요 而此章은 則申言旣知小人之依면 則當蹈其知也라 三宗, 文王은 能蹈其知라 故로 其胸次寬平하여 人之怨詈 不足以芥蔕其心하니 如天地之於萬物에 一於長育而已니 其悍疾憤戾를 天豈私怒於其間哉아 天地는 以萬物爲心하고 人君은 以萬民爲心이라 故로 君人者 要當以民之怨詈爲己責이요 不當以民之怨詈爲己怒라 以爲己責이면 則民安而君亦安이요 以爲己怒면 則民危而君亦危矣리니 吁라 可不戒哉아
인용
제19장(第十九章)
周公曰 嗚呼라 嗣王은 其監于玆하소서
玆者는 指上文而言也라 無逸一篇은 七章이니 章首에 皆先致其咨嗟詠歎之意하고 然後에 及其所言之事하고 至此章하여는 則於嗟歎之外에 更無他語하고 惟以嗣王其監于玆로 結之하니 所謂言有盡而意則無窮이니 成王이 得無深警於此哉아
인용
'고전 > 서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 주서, 낙고 - 전문 (0) | 2020.06.30 |
---|---|
서경, 주서, 다사 - 전문 (0) | 2020.06.30 |
서경, 주서, 군석 - 전문 (0) | 2020.06.30 |
서경, 주서, 채중지명 - 전문 (0) | 2020.06.30 |
서경, 주서, 다방 - 전문 (0) | 2020.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