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상주주금당기(相州晝錦堂記) - 解說. 고향으로 돌아와 뻗대지 않고 단심(丹心)을 드러낸 글 본문

산문놀이터/중국

상주주금당기(相州晝錦堂記) - 解說. 고향으로 돌아와 뻗대지 않고 단심(丹心)을 드러낸 글

건방진방랑자 2020. 9. 2. 07:31
728x90
반응형

상주의 주금당에 쓴 기문

상주주금당기(相州晝錦堂記)

 

구양수(歐陽脩)

 

 

解說. 고향으로 돌아와 뻗대지 않고 단심(丹心)을 드러낸 글

 

迂齋: “文字委曲, 善於形容.”

 

富貴不歸故鄕, 衣錦夜行, 後人, 遂以富貴歸故鄕者, 爲衣錦晝行, 盖本前說而反言之也. 韓魏公琦, 稚圭, 以德量文章政事功業, 爲宋相臣第一. 時封魏國公, 本相州人. 仁宗, 旣罷相, 以武康軍節度使, 本州, 上蓋以是榮之也. 公因作晝錦堂于州宅後圃, 又有詩焉.

歐陽公, 爲作此記, : “公不以常情之榮爲榮.” 末又謂: “非徒爲州里一時之榮.” 盖本公詩意, 述其心事而廣之.

文甚明白正大, 兒童執不熟讀之.

晝錦堂詩則鮮知之, 今附見於此云. 詩曰: “古人之富貴, 歸於本郡縣. 譬若衣錦游, 白晝自光絢. 否則如夜行, 雖麗胡由見. 事累載方冊, 今復著俚諺. 或紆太守章, 或擁使者傳. 歌樵忘故舊, 滌器掩前賤. 所得快恩仇, 愛惡任驕狷. 其志止於此, 士固不足羨. 玆予來舊邦, 意在弗矜衒. 以疾而量力, 懼莫稱方面. 抗表納金節, 假守冀鄕便. 帝曰其汝兪, 建纛往臨殿. 行路不云非, 觀歎溢郊甸. 病軀諧少體, 先壟遂完繕. 歲時存父老, 伏臘潔親薦. 恩榮執與偕, 衰劣媿獨擅. 公餘新此堂, 夫豈事飮燕. 亦非張美名, 輕薄詫紳弁. 重祿許安閒, 顧己常競戰. 庶一視題榜, 則念報主眷. 汝報何能爲, 進道確無倦. 忠義聳大節, 匪石烏可轉. 雖前有鼎鑊, 死耳誓不變. 丹誠難悉陳, 感泣對筆硯.”

 

 

 

 

 

 

해석

迂齋: “文字委曲, 善於形容.”

우재가 문자가 자세하여 형용함에 잘하였다.”라고 말했다.

 

富貴不歸故鄕, 衣錦夜行,

부귀해지고도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은 것을 수놓은 옷을 입고 밤에 돌아다니는 것과 같다 해서

 

後人, 遂以富貴歸故鄕者,

후대 사람들은 마침내 부귀해지고 고향에 돌아오는 것을

 

爲衣錦晝行,

수놓은 옷을 입고 낮에 다니는 것이라 하였으니,

 

盖本前說而反言之也.

대체로 이전의 말에 근본하여 뒤집어 그것을 말한 것이다.

 

韓魏公琦, 稚圭,

위공 한기(韓琦)는 자가 치규이니

 

以德量文章政事功業, 爲宋相臣第一.

덕량(德量)과 문장(文章)과 정사(政事)와 공업(功業)으로 상신(相臣)상신(相臣): 예전에,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합하여 이르던 말 중 제일인 영의정이 되었다.

 

時封魏國公, 本相州人.

이때에 위국공(魏國公)에 임명되었는데 본래는 상주(相州)의 사람이다.

 

仁宗, 旣罷相, 以武康軍節度使, 本州,

인종 조에 이미 재상에서 파직되어 무강군절도사(武康軍節度使)로 본주(本州)를 맡았으니

 

上蓋以是榮之也.

주상은 대체로 이것으로 그를 영화롭게 하였다.

 

公因作晝錦堂于州宅後圃, 又有詩焉.

공은 연이어 주 공관의 후원에 주금당을 짓고 또 시를 지었다.

 

歐陽公, 爲作此記,

구양공이 이 기문을 지을 때에

 

: “公不以常情之榮爲榮.”

공은 보통 사람이 영화롭게 여기는 것을 영화로움으로 여기지 않았다.”라고 말했고

 

末又謂: “非徒爲州里一時之榮.”

끝부분에 또한 주와 리에서 한 때의 영화로움이 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다라 말했으니

 

盖本公詩意, 述其心事而廣之.

대체 한공 시의 뜻에 근본하여 심사를 서술하여 넓힌 것이다.

 

文甚明白正大,

글이 매우 명백하고 정대하니

 

兒童執不熟讀之.

아이라도 잡고서 익숙히 읽지 않으리오.

 

晝錦堂詩則鮮知之, 今附見於此云.

한공의 주금당시는 아는 이가 드무니 이제 첨부하여 이곳에 보인다.

 

詩曰: “古人之富貴, 歸於本郡縣. 譬若衣錦游, 白晝自光絢. 否則如夜行, 雖麗胡由見. 事累載方冊, 今復著俚諺. 或紆太守章, 或擁使者傳. 歌樵忘故舊, 滌器掩前賤. 所得快恩仇, 愛惡任驕狷. 其志止於此, 士固不足羨. 玆予來舊邦, 意在弗矜衒. 以疾而量力, 懼莫稱方面. 抗表納金節, 假守冀鄕便. 帝曰其汝兪, 建纛往臨殿. 行路不云非, 觀歎溢郊甸. 病軀諧少體, 先壟遂完繕. 歲時存父老, 伏臘潔親薦. 恩榮執與偕, 衰劣媿獨擅. 公餘新此堂, 夫豈事飮燕. 亦非張美名, 輕薄詫紳弁. 重祿許安閒, 顧己常競戰. 庶一視題榜, 則念報主眷. 汝報何能爲, 進道確無倦. 忠義聳大節, 匪石烏可轉. 雖前有鼎鑊, 死耳誓不變. 丹誠難悉陳, 感泣對筆硯.”

그 시는 다음과 같다.

 

古人之富貴 歸於本郡縣

옛 사람이 부귀해지고 본래의 군현으로 돌아감을

譬若衣錦游 白晝自光絢

비유하길 비단옷 입고 한낮에 놀며 스스로 빛내는 것과 같다 했네.

否則如夜行 雖麗胡由見

그렇지 않다면 밤에 다니는 것 같으니 비록 곱더라도 어찌 드러내리오.

事累載方冊 今復著俚諺

일이 책으로 여러 번 기재되었고 이제 다시 속담으로 저술되었지.

或紆太守章 或擁使者傳

혹은 태수의 인장(印章)을 차고 혹은 사신의 부신(符信) 끼고서

歌樵忘故舊 滌器掩前賤

나무 캐며 노래하던 예전을 잊고 그릇 씻던 예전의 천함 가리지.

所得快恩仇 愛惡任驕狷

얻은 것으로 은혜와 원수에 통쾌해하고 아끼거나 미워함에 교만함과 고집을 맘대로 하지.

其志止於此 士固不足羨

그 뜻이 여기에 그치니 선비가 진실로 부끄러워하기에 부족하지.

玆予來舊邦 意在弗矜衒

이제 나는 고향으로 와 마음은 자랑하지 않음에 있다네.

以疾而量力 懼莫稱方面

병들어 힘을 헤아리고 방면에 알맞지 않을까 걱정이라

抗表納金節 假守冀鄕便

표문을 들고 금인(金印)을 바치고 임시직 태수로 고향에서 편하길 바라네.

帝曰其汝兪 建纛往臨殿

황제께사 말씀하셨네 너는 낫게 하라. 대장기 꽂고 가서 임하여 안정시키라.”

行路不云非 觀歎溢郊甸

가는 길에 잘못됐다고 말하지 않고 보고 감탄함이 밭두둑에서 넘쳐나네.

病軀諧少體 先壟遂完繕

병든 몸은 작은 몸에 조화로워져 선영(先塋) 마침내 완전히 수선했네.

歲時存父老 伏臘潔親薦

세시에 부로를 보존하고 복랍에 청결하게 친히 올려주지.

恩榮執與偕 衰劣媿獨擅

은혜와 영화 잡고 함께 해야 하나 쇠하고 졸렬함에도 홀로 독차지하니 부끄럽구나.

公餘新此堂 夫豈事飮燕

공은 여가에 이 당을 새롭게 하니 어찌 잔치에 마시길 일삼으리오.

亦非張美名 輕薄詫紳弁

또한 미명을 과장하여 경박하게 관리의 영애 자랑할 건 아니네.

重祿許安閒 顧己常競戰

중한 봉록으로 편안함과 한가로움을 허락했지만 다만 나는 항상 조심한다네.

庶一視題榜 則念報主眷

바라건대 한 번 방을 지은 것 보면서 임금의 정성에 보답하길 생각하네.

汝報何能爲 進道確無倦

너의 보답은 어떻게 할 수 있는가? 도에 나아가 확고하여 게으르지 없는 것이다.

忠義聳大節 匪石烏可轉

충의로 큰 절개가 용솟음치니 바위 아닌데 어찌 바꾸겠는가?

雖前有鼎鑊 死耳誓不變

비록 앞에 솥이 있어 팽형(烹刑) 당하여 죽더라도 맹세는 변치 않으리.

丹誠難悉陳 感泣對筆硯

단심(丹心)의 성실함 다 진술키 어려우니 눈물 뿌리며 붓과 벼루 대하네.

 

 

인용

목차

전문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