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 거북선으로 왜구를 물리친 충무공
인용
- 양후(陽侯): 신(海神), 또는 파도신(波濤神)을 말한다. 원래 바다에 인접한 능양국(陵陽國)의 제후였는데, 물에 빠져 죽은 뒤에 큰 파도를 일으켜 사람을 해치는 악귀(惡鬼)가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 온다. 『초사(楚辭)』 九章 哀郢註 [본문으로]
- 적벽소년(赤壁少年): 삼국(三國) 시대 오(吳)나라 손권(孫權)의 장수였던 주유(周瑜)를 가리킨다. 조조(曹操)가 일찍이 남으로 형주(荊州)의 유표(劉表)를 치고, 이어 강릉(江陵)으로부터 장강(長江)을 따라 동으로 내려갈 때, 촉(蜀)과 오가 군대를 연합하여 항거하였다. 이때 주유가 조조의 대군(大軍)과 적벽에서 대전(大戰)을 벌이게 되어, 조조는 북쪽 언덕에 진을 치고, 주유는 남쪽 언덕에 진을 쳤는데, 주유의 막하장(幕下將) 황개(黃蓋)의 책략에 따라 배에 가득 섶〔薪〕을 싣고 가서 조조의 전함에 화공을 쓴 결과, 때마침 동남풍이 거세게 불어와서 조조의 전함들을 모두 불태움으로써 끝내 조조의 대군을 크게 격파했던 데서 온 말이다. 그때 주유는 겨우 30여 세였다. 『삼국지(三國志)』 卷54 오서(吳書) 「주유전(周瑜傳)」 [본문으로]
- 채석서생(采石書生): 남송(南宋) 연간에 문신(文臣) 우윤문(虞允文)이 일찍이 예부 낭관(禮部郎官) 등을 역임하고, 금(金)나라에 사신을 다녀와서 무비(武備)의 확충을 건의한 바 있었는데, 뒤에 과연 금주(金主)가 대군(大軍)을 거느리고 쳐들어와서 채석산(采石山) 아래 진을 치고 있을 때, 우윤문이 소수의 패잔병(敗殘兵)을 수습하여 위험을 무릅쓰고 독전(督戰)을 강행하여 마침내 채석의 대첩(大捷)을 거두었던 데서 온 말이다. 그로부터 그는 20여 년 동안 출장입상(出將入相)하면서 벼슬이 참지정사(參知政事), 좌승상 겸 추밀사(左丞相兼樞密使)에 이르렀다.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송사(宋史)』 卷383 「오윤문열전(虞允文列傳)」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한시놀이터 > 서사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충무공귀선가(李忠武公龜船歌) - 해설. 서세동점의 시기에 위기감을 충무공의 기억으로 풀어내다 (0) | 2021.08.17 |
---|---|
이충무공귀선가(李忠武公龜船歌) - 3. 200년이 지난 지금도 충무공이 있었다면 (0) | 2021.08.17 |
이충무공귀선가(李忠武公龜船歌) - 1. 원균이 막지 못해 왜구가 코앞에 와 있다 (0) | 2021.08.17 |
애어장군(哀魚將軍) - 해설. 임전무퇴의 정신을 표출한 어재연 장군의 모습을 그리다 (0) | 2021.08.17 |
이희풍 - 애어장군(哀魚將軍) (0) | 2021.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