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관저의 시는 지나치지 않고 감정을 잘 담았다
子曰: “關雎, 樂而不淫, 哀而不傷.”
樂, 音洛.
○ 「關雎」, 「周南國風」詩之首篇也. 淫者, 樂之過而失其正者也. 傷者, 哀之過而害於和者也. 「關雎」之詩, 言后妃之德, 宜配君子. 求之未得, 則不能無寤寐反側之憂; 求而得之, 則宜其有琴瑟ㆍ鐘鼓之樂. 蓋其憂雖深而不害於和, 其樂雖盛而不失其正. 故夫子稱之如此, 欲學者玩其辭, 審其音, 而有以識其性情之正也.
해석
子曰: “關雎, 樂而不淫, 哀而不傷.”
공자께서 “「관저」는 즐겁지만 음탕하지 않고 애달프지만 감정을 상하게 하진 않는다.”라고 말씀하셨다.
樂, 音洛.
○ 「關雎」, 「周南國風」詩之首篇也.
「관저」는 「주남국풍」이니, 시의 첫 편이다.
淫者, 樂之過而失其正者也.
음(淫)은 즐거움이 지나쳐 바름을 잃은 것이다.
傷者, 哀之過而害於和者也.
상(傷)은 슬픔이 지나쳐 화함을 해한 것이다.
「關雎」之詩, 言后妃之德,
「관저」의 시는 ‘후비의 덕이
宜配君子. 求之未得,
마땅히 군자와 짝할 만하니 구하여 얻지 못하면
則不能無寤寐反側之憂;
엎치락뒤치락 잠들지 못하는 근심이 없을 수 없고,
求而得之, 則宜其有琴瑟ㆍ鐘鼓之樂.
짝을 구하여 얻으면 마땅히 거문고 켜고 종과 북의 즐거움이 있다’는 말이다.
蓋其憂雖深而不害於和,
대개 근심이 비록 깊지만 화함을 해치지 않고
其樂雖盛而不失其正.
즐거움이 비록 성대하지만 바름을 잃지 않는다.
故夫子稱之如此,
그러므로 부자는 그것을 칭찬함이 이와 같았으니,
欲學者玩其辭, 審其音,
배우려는 사람이 그 말을 음미하고 그 소리를 살펴
而有以識其性情之正也.
성정(性情)의 바름을 알도록 하고자 함이다.
關關雎鳩 在河之州 | 까옥 까옥 물수리 저 후앙허의 모래톱에서 |
窈窕淑女 君子好逑 | 하늘하늘 그윽한 저 새악씨 멋진 사내의 좋은 배필 |
參差荇菜 左右流之 | 들쑥날쑥 물마름 요리저리 흘러가요 |
窈窕淑女 寤寐求之 | 하늘하늘 그윽한 저 새악씨 자나깨나 늘 그리워 |
求之不得 寤寐思服 | 그리워도 만질 수 없고 자나깨나 님생각 사로잡혀 |
悠哉悠哉 輾轉反側 | 기나긴 이 밤이여 모로바로 엎치락뒤지락 |
參差荇菜 左右采之 | 들쑥날쑥 물마름 요리저리 뜯고요 |
窈窕淑女 琴瑟友之 | 하늘하늘 그윽한 저 새악씨 금과 슬을 벗삼아 |
參差荇菜 左右芼之 | 들쑥날쑥 물마름 요리저리 삶고요. |
窈窕淑女 鐘鼓樂之 | 하늘하늘 그윽한 저 새악씨 종과 북을 신나게 울리네【‘류지(流之)’는 두 남녀가 만남이 없이 애타게 지나치기만 하는 것을 상징하고, ‘채지(採之)’는 두 남녀의 만남과 사귐의 시작을 나타내고, ‘모지(芼之)’는 두 남녀의 결합과 통정의 기쁨을 노골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 류지(流之)ㆍ채지(採之)ㆍ모지(芼之)의 발전은 ‘오매구지(寤寐求之, 그리워하기만 하는 단계)’, ‘금슬우지(琴瑟友之, 금과 슬이 서로 화답하면서 연주되듯이 사귀는 단계)’, ‘종고락지(鍾鼓樂之, 한몸이 된 기쁨을 유감없이 표현하는 단계)’와 동일한 단계적 발전을 형성하고 있다. -『논어한글역주』2권, 92쪽】.(도올 역) |
인용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팔일 - 22. 관중은 그릇이 작다 (0) | 2021.09.29 |
---|---|
논어 팔일 - 21. 재여가 모르는 것을 아는 듯 말하다 (0) | 2021.09.29 |
논어 팔일 - 19. 아랫사람을 부림과 윗사람을 섬기는 방법 (0) | 2021.09.29 |
논어 팔일 - 18. 임금에게 최선을 다하는 걸 아첨이라 비난하다 (0) | 2021.09.29 |
논어 팔일 - 17. 이미 사라진 예법이지만 흔적이 남아 있길 (0) | 2021.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