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9. 아랫사람을 부림과 윗사람을 섬기는 방법
定公問: “君使臣, 臣事君, 如之何?”
定公, 魯君, 名宋. 二者皆理之當然, 各欲自盡而已.
孔子對曰: “君使臣以禮, 臣事君以忠.”
○ 呂氏曰: “使臣不患其不忠, 患禮之不至; 事君不患其無禮, 患忠之不足.”
尹氏曰: “君臣以義合者也. 故君使臣以禮, 則臣事君以忠.”
해석
定公問: “君使臣, 臣事君, 如之何?”
정공이 “임금이 신하를 부리며 신하가 임금을 섬기는 것은 어떻게 해야 합니까?”라고 물었다.
定公, 魯君, 名宋.
정공은 노나라 임금이니, 이름은 송(宋)이다.
二者皆理之當然, 各欲自盡而已.
두 가지는 모두 이치의 당연함이니 각각 스스로 다 하고자 할 뿐이다.
孔子對曰: “君使臣以禮, 臣事君以忠.”
공자께서 “임금이 신하를 예(禮)로써 부리고, 신하가 임금을 충(忠)으로 섬깁니다.”라고 대답하셨다.
○ 呂氏曰: “使臣不患其不忠,
여대림(呂大臨)이 말했다. “신하를 부림에 신하가 불충할까 근심하지 말고
患禮之不至;
자신의 예(禮)가 지극하지 못함을 근심하며,
事君不患其無禮,
임금을 섬김에 임금의 무례함을 근심하지 말고
患忠之不足.”
자신의 충성스러움이 부족함을 근심하라.”
尹氏曰: “君臣以義合者也.
윤순(尹淳)이 말했다. “군신은 의로써 합한 관계다.
故君使臣以禮, 則臣事君以忠.”
그렇기 때문에 임금은 신하를 예(禮)로 부리면, 신하는 임금을 충성으로 섬긴다.”
인용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팔일 - 21. 재여가 모르는 것을 아는 듯 말하다 (0) | 2021.09.29 |
---|---|
논어 팔일 - 20. 관저의 시는 지나치지 않고 감정을 잘 담았다 (0) | 2021.09.29 |
논어 팔일 - 18. 임금에게 최선을 다하는 걸 아첨이라 비난하다 (0) | 2021.09.29 |
논어 팔일 - 17. 이미 사라진 예법이지만 흔적이 남아 있길 (0) | 2021.09.29 |
논어 팔일 - 16. 가죽을 뚫는 활쏘기를 비판하다 (0) | 2021.09.2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