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한시사, 라말려초시의 성격과 만당의 영향 - 1. 라말려초시의 일반적 성격, 2) 여조시의 창시자들(곽여&김황원&인빈) 본문

책/한시(漢詩)

한시사, 라말려초시의 성격과 만당의 영향 - 1. 라말려초시의 일반적 성격, 2) 여조시의 창시자들(곽여&김황원&인빈)

건방진방랑자 2021. 12. 20. 08:57
728x90
반응형

 동산거사(東山居士) 곽여(郭璵, 1058 문종12~1130 인종8, 夢得, 東山處士)는 특히 사신(詞臣)을 좋아한 예종(睿宗)으로부터 선생의 대우를 받아 당시 사람들이 그를 가리켜 김문우객(金門羽客)이라 하였다. 때문에 동문선(東文選)등 선발책자(選拔冊子)4수의 시작(詩作)이 전하고 있지만 그 중 3수가 예종(睿宗)에게 바친 응제시(應製詩)이다.

 

나머지 1수가 청평산(淸平山)에 은거한 이자현(李資玄)에게 준 증청평이거사(贈淸平李居士)인 것을 보면 이자현(李資玄)과 뜻이 계합(契合)했던 것 같다. 이자현(李資玄)과 함께 청평산(淸平山)에 은거한 권적(權適)동문선(東文選)4편의 시()를 전하고 있다.

 

 

곽여(郭璵)와 문장으로 서로 좋아하여 신교(神交)로 불리운 김황원(金黃元)은 특히 고문(古文)을 좋아하여 해동제일(海東第一)이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이궤(李軌)와 함께 한림(翰林)으로 있을 때 당시 사람들이 문장은 김()ㆍ이()라 불렀다고 고려사(高麗史)는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시작(詩作)이 시선집에 전하는 것은 없고 다만 예림(藝林)의 가화(佳話)만 무성할 뿐이다.

 

그가 일찍이 서경(西京) 부벽루(浮碧樓)에 올라 고금(古今)의 제영(題詠)이 모두 마음에 차지 않아 현판(懸板)을 모두 불사르고 종일토록 고음(苦吟)하여 다만 장성일면용용수 대야동두점점산(長城一面溶溶水, 大野東頭點點山)’의 일련(一聯)을 얻고는 뜻이 고갈(枯渴)하여 통곡하고 내려왔다는 일화가 파한집(破閑集)권중 19이나 동인시화(東人詩話)권상 6 등에 실리며 널리 알려져 온 것이거니와 이에 대해서도 후대인의 비평은 대체로 부정적이다. 서거정(徐居正)은 그의 동인시화(東人詩話)권상 6에서 노유상담(老儒常談)’이라 하였으며 창강(滄江) 김택영(金澤榮)시골 학당에서 의론한 것을 전달하는 사람에 불과하다[不過村學堂中所論之流傳者]’라 하고 있을 뿐이다. 그가 성산수(星山守)가 되어 부임할 때 분행역(分行驛)에서 이재(李載)를 만나 시()를 준 일이 있었는데, 진신(搢紳)들이 여기에 속화(屬和)한 것이 거의 100편이나 되어 분행집(分行集)이라는 이름으로 간행되었다고 한다.

 

 

인빈(印份)도 시명(詩名)이 일세를 울렸다고 하지만 그의 시작(詩作)동문선(東文選)우야유회(雨夜有懷)(五律), 동도회고(東都懷古)(五律), 징현국사영당(澄賢國師影堂)(五律) 3수가 전하고 있을 뿐이며 여타의 시선집(詩選集)에도 뽑아 준 것이 없다. 파한집(破閑集)권하 14에서 이인로(李仁老)가 격찬하고 있는 작품도 바로 우야유회(雨夜有懷).

 

 

 

 

인용

목차 / 略史

우리 한시 / 서사한시

한시미학 / 고려ㆍ조선

眞詩 / 16~17세기 / 존당파ㆍ존송파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