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이종묵 - 우리 한시를 읽다 목차 본문

책/한시(漢詩)

이종묵 - 우리 한시를 읽다 목차

건방진방랑자 2022. 10. 24. 18:37
728x90
반응형

 우리 한시를 읽다 목차

 

이종묵(李鍾默)

 

 

프롤로그. 시를 읽고 즐기는 법

 

정조 - 綱目講義
湘素雜記 - 推敲
이규보 - 驅詩魔文
이황 - 陶山十二曲跋
이종묵 - 16~17세기 한시사 연구

 

 

1. 시를 소리 내어 읽는 맛

 

을지문덕 - 與隋將于仲文
정법사 - 詠孤石
고운 - 十二乘船渡海來 / 최치원 - 巫峽重峯之歲
최치원 - 秋夜雨中
이백 - 獨坐敬亭山
도연명 - 詠貧士
최치원 - 題伽倻山讀書堂
김종직 - 紅流洞
홍만종 소화시평 상권65
황정욱 - 送人赴遂安郡

 

 

2. 잘 빚은 항아리와 잘 짜인 시

 

김지장 - 送童子下山
정법사 - 詠孤石
박인량 - 使宋過泗州龜山寺
박인범 - 徑州龍朔寺
정지상 - 開聖寺 八尺房
정지상 - 題邊山蘇來寺
최치원 - 登潤州慈和寺
김부식 - 觀瀾寺樓
惠文 - 普賢院

 

 

3. 시 속에 울려 퍼지는 노랫가락

 

정지상 - 送人
江淹 - 別賦
성수시화 3. 절창 정지상
남공철 - 船離謠
권필 - 過松江墓有感
권필 - 宮柳詩
허균 - 우열을 가릴 수 없는 석주와 동악의 시
이안눌 - 龍山月夜
최경창 - 箕城聞白評事別曲
이달 - 襄陽曲
임제 - 浿江歌
정지상 - 送人2

 

 

4. 재창조의 시학

 

김부식 - 甘露寺次惠素韻
장자 - 蝸角之爭
백거이 - 百花亭
이백 - 獨坐敬亭山
정사룡 - 紀懷
김돈중 - 宿樂安郡禪院
이규보 - 十六日次中庸子詩韻 / 寓龍巖寺
이백 - 山中答人
도연명 - 歸去來辭

 

 

5. 원숙과 참신의 시학

 

백운소설 정지상과 김부식의 악연
이규보 - 答全履之論文書
이인로 - 山居
이상은 - 晩晴
이규보 - 夏日卽事
이인로 - 謾興
이규보 - 甘露寺
이규보 - 扶寧浦口
이규보 - 和宿德淵院

 

 

6. 가난한 시인의 말

 

이규보 - 驅詩魔文
구양수 - 梅聖兪詩集序
홍세태 - 雪蕉詩集序
김극기 - 高原驛
최광유 - 長安春日有感
임춘 - 次友人韻
정포 - 癸未重九
박은 - 再和擇之
장유 - 詩能窮人辯
맹자 만장 하 8
홍만종 소화시평 하권49

 

 

7. 꽃그늘에 어린 미련

 

정포 - 黃山歌
이의현 - 余來南經年, 而以時宰之斥
미상 - 嘲藥相公
남구만 - 梁山次韻鄭誧黃山歌
정포 - 梁州客館別情人
두목 - 贈別
이제현 - 浣紗溪上傍垂楊
이덕무 - 曉發延安
임제 - 無語別
강세황 - 路上所見

 

 

8. 대동강 부벽루의 한시 기행

 

박제가 - 嬋娟洞
성현 - 浮碧樓記
이색 - 浮碧樓
두보 - 登岳陽樓
정지상 - 開聖寺八尺房
이백 - 登金陵鳳凰臺
허균 성수시화13
남용익 - 호곡시화
신광수 - 朝天舊事石應知
이달 - 採蓮曲次大同樓船韻
정지상 送人
서거정 청창연담 하4

 

 

9. 시 속의 그림, 그림 속의 시

 

김득신 - 龍湖 / 龍山
강극성 - 湖堂朝起 / 湖亭朝起偶吟
홍만종 소화시평 상권94
이숭인 - 新雪 / 得於傳誦 失其篇題
이인로 - 瀟湘夜雨
김득신 - 瀟湘夜雨
고경명 - 漁舟圖

 

 

10. 시의 뜻을 호방하게 하는 법

 

맹자 만장 하8
성현 - 月山大君詩集序
태조 - 突兀高峯接斗魁
임춘 - 上李學士書
정몽주 - 定州重九 韓相命賦
정포 - 癸未重九
정두경 - 登磨千嶺
정몽주 - 登全州望景臺
정몽주 - 洪武丁巳奉使日本作
허균 - 성수시화16
정몽주 -
두보 - 春夜喜雨

 

 

11. 풍경 속의 시인

 

이숭인 - 題僧舍
이수광 - 지봉유설
정도전 - 訪金居士
홍만종 소화시평 상권47
서거정 동인시화 상권31
서거정 - 태평한화골계전
이용휴 - 訪山家
이숭인 - 村家
정도전 - 山中
정도전 - 鐵嶺
정도전 - 奉天門
이숭인 - 扈從城南
서거정 동인시화 상권51

 

 

12. 금강산을 시에 담는 두 방식

 

윤봉조 - 瑞膺東遊錄跋
최해 - 送僧禪智遊金剛山序
권근 - 金剛山
맹자 진심 상24
성석린 - 送僧之楓岳
이이 - 登毘盧
지봉유설 - 별 볼일 없는 금강산 제영시
김정 - 贈釋道心
어우야담 - 금강산을 묘사한 정사룡 시와 권근 시
신광한 - 贈別堂姪元亮潛之任嶺東郡
양사언 - 白玉京, 蓬萊島

 

 

13. 춘흥과 가진 자의 여유

 

서거정 - 桂庭集序
이규보 - 春望賦
서거정 - 春日
월산대군 - 尋花古寺
남효온 - 上巳城南
백광훈 - 春後
서거정 - 夏日卽事
성현 - 帶雨題淸州東軒
김종직 - 和洪兼善濟川亭次宋中 樞處寬韻
이행 - 四月二十六日, 書于東宮移御所直舍壁
허균 - 初夏省中作

 

 

14. 시로 읽는 소설

 

허난설헌 - 採蓮曲
지봉유설 - 허난설헌과 그녀의 시 세계
허난설헌 - 剪刀歌
김시습 - 李生窺牆傳
태평통재 - 崔致遠傳
김시습 - 竹枝詞
미상 - 운영전
권필 주생전

 

 

15. 진정한 벗을 위한 노래

 

박지원 - 繪聲園集跋
蟬橘堂濃笑 - 좋은 벗을 만난다면
맹자 만장 하8
정조 - 御製題增訂挹翠軒集卷首
성수시화 이행부터 권필까지 한시 평가
박은 - 雨中有懷擇之
성현 - 文變
최항 - 山谷精粹序
이행 - 次仲說韻
박은 - 在和擇之
박은 - 病眼次友人韻
박은 - 福靈寺
장자 - 서무귀3
왕희지 - 蘭亭記
논어 - 안연24
이행 - 題天磨錄後
이행 - 讀翠軒詩 用張湖南舊詩韻
권필 - 哭具金化喪柩于楊州之山中 因日暮留宿 天明出山
권필 - 城山過具容故宅

 

 

16. 풍경에 담은 감정의 변화

 

박상 - 酬鄭翰林留別韻
박상 - 次嶺南樓韻
박순 - 送退溪先生南還
정사룡 - 記懷
장자 - 인간세1
김부식 - 題松都甘露
정사룡 - 楊根夜坐 卽事示同事
정사룡 - 後臺夜坐

 

 

17. 당시와 비슷해지기

 

이백 - 南軒松
이이 - 精言妙選序
맹호연 - 宿業師山房待丁大不至
맹호연 - 夏日南亭懷辛大
최경창 - 映月樓
왕창령 - 閨怨
백광훈 - 三叉松月
소화시평 - 백광훈의 맑고도 고운 한시들
권필 - 滄浪亭
최경창 - 奉恩寺僧軸
저광희 - 寄孫山人
위응물 - 酬柳郎中春日歸楊州南國見別之作
이달 - 斑竹怨
농암잡지 목릉 이후엔 시의 개성이 사라지다

 

 

18. 짧은 노래에 담은 노래

 

정철 - 秋日作
정철 - 平郊牧笛
정철 - 蓮池
정철 - 山寺夜吟
無可上人 - 晩秋寄賈島
정철 - 題雙溪雪雲詩軸
손필대 - 田家
김득신 - 田家
이양연 - 村老婦
이옥 - 小婢窓隙來
이옥 - 俚諺引 一難

 

 

19. 점철성금의 시학

 

동인시화 - 하권59
성수시화 - 우리 고유어가 들어간 한시의 맛
노수신 - 愼氏亭 懷無悔甫弟
이색 - 浮碧樓
박은 - 宿三田渡
이행 - 題天磨錄後
노수신 - 遞右相
노수신 - 會謁議政影子 移安于家
노수신 - 端午祭孝陵
이명한 - 重陽前一日 戱用俚語口號
이진망 - 盜取寢衾戲作俚語
이하곤 - 住分院二十餘日
이옥 - 早習宮體書
박지원 - 嬰處稿序
정약용 - 老人一快事六首效香山體 其五
신광수 - 羊皮褙子壓身輕

 

 

20. 길을 나서는 시인

 

김시습 - 山行卽事
김시습 - 無題 / 贈峻上人
김시습 - 竹長菴
김창흡 - 訪俗離山
김창흡 - 尋常飯後出荊扉
김창흡 - 風鞭電屐略靑丘
김창흡 - 夜登練光亭 次趙定而韻
박제가 - 妙香山小記
이서구 - 晩自白雲溪 復至西岡口 少臥松陰下作

 

 

21. 눈물과 통곡이 없는 만사

 

노수신 - 挽金大諫(鸞祥)
홍섬 - 恭惟貞敬大夫人
성혼 - 挽思庵朴相公淳
남용익 - 鄭東溟挽
유근 - 挽車僉正
이수광 - 車五山天輅挽
홍세태 - 李叔章挽
이안눌 - 哭石洲
이병연 - 張弼文挽
이용휴 - 李虞裳挽
박지원 - 虞裳傳

 

 

22. 시에 담은 풍속화

 

이규상 - 田家行
이규상 - 村謠
이규상 - 仁州謠
강세황 - 檀園記
유목양 - 牧童
이미 - 溪橋中斷兩成洄
이용휴 - 田家

 

 

23. 생활의 발견과 일상의 시

 

서거정 - 誰識酒腸淺
이색 - 從東亭求梨
이응희 - 眞瓜
지봉유설 - 참외
이응희 - 饅頭
이색 - 二郞家朝餉饅頭
김창업 - 菠薐(時根菜)
김려 萵苣
지봉유설 - 상추
정민교 - 穫歸
장혼 - 答賓

 

 

24. 목민관이 시로 그린 유민도

 

정약용 - 奉旨廉察到積城村舍作
모장 - 毛詩序
성현 - 伐木行
어무적 - 流民歎
성수시화 - 조선의 7언고시 중 나은 작품은?
정약용 - 哀絶陽
이하곤 - 住分院二十餘日
이용휴 - 送申使君之任漣川
이용휴 - 送金擢卿朝潤之任文州

 

 

에필로그. 우리 한시의 특질

 

박지원 - 嬰處稿序
정약용 - 老人一快事六首效香山體 其五
이미 - 村家雜詠
신광수 - 峽口所見
이덕무 - 題田舍
최치원 - 題伽倻山讀書堂
이규보 - 山夕詠井中月
박순 - 送退溪先生南還(還鄕)
이광려 - 咏梅
박지원 - 燕岩憶先兄
노긍 - 穉孫
김정희 - 悼亡
황현 - 絶命詩
김득신 - 贈龜谷詩序

 

 

 

 

인용

지도

한시사 / 略史 / 서사한시

한시미학 / 고려ㆍ조선

眞詩 / 16~17세기 / 존당파ㆍ존송파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