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중학교/고등학교 한문 성취수준
1.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1) 한자와 어휘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9한01-01]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 [12한문01-01] 한자의 모양ㆍ음ㆍ뜻을 구별한다. |
A | 한자의 모양·음·뜻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
B | 한자의 모양·음·뜻을 대체로 구별할 수 있다. | |
C | 한자의 모양·음·뜻을 부분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 |
D | 한자의 모양·음·뜻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한자의 모양·음·뜻을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9한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 [12한문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 |
A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
B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대체로 구별할 수 있다. | |
C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부분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 |
D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9한01-03]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12한문01-03]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
A | 단어의 짜임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
B | 단어의 짜임을 대체로 구별할 수 있다. | |
C | 단어의 짜임을 부분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 |
D | 단어의 짜임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단어의 짜임을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12한문01-04] 실사와 허사를 구별한다. | A | 글에서 실사와 허사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
B | 글에서 실사와 허사를 대체로 구별할 수 있다. | |
C | 글에서 실사와 허사를 부분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 |
D | 글에서 실사와 허사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글에서 실사와 허사를 안내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9한01-04] 단어와 성어를 읽고 풀이한다. [12한문01-05] 단어와 성어를 읽고 풀이한다. |
A | 단어와 성어를 정확하게 읽고 풀이할 수 있다. |
B | 단어와 성어를 대체로 읽고 풀이할 수 있다. | |
C | 단어와 성어를 부분적으로 읽고 풀이할 수 있다. | |
D | 단어와 성어를 읽을 수 있다. | |
E | 단어와 성어를 설명에 따라 읽을 수 있다. | |
[9한01-05]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른다. [12한문01-06]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른다. |
A |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
B |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할 수 있다. | |
C | 단어와 성어를 활용하여 소통할 수 있다. | |
D | 단어와 성어를 활용할 수 있다. | |
E | 단어와 성어를 안내에 따라 활용할 수 있다. | |
[12한문01-07] 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삶의 다양한 태도와 가치를 탐색한다. | A | 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자신의 생활과 적극적으로 연계할 수 있다. |
B | 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생활과 연계할 수 있다. | |
C | 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할 수 있다. | |
D | 성어의 뜻과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성어의 뜻과 유래를 제한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 |
[9한01-06]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12한문01-08]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
A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상호 이해와 교류를 위한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수 있다. |
B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상호 이해와 교류를 위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 |
C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상호 이해의 필요성에 공감할 수 있다. | |
D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제한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
(2) 문장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9한02-01] 문장의 구조를 구별한다. | A | 문장의 구조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
B | 문장의 구조를 대체로 구별할 수 있다. | |
C | 문장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 |
D | 문장의 구조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문장의 구조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12한문02-01]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구별한다. | A |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
B |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대체로 구별할 수 있다. | |
C |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부분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 |
D |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9한02-02] 글을 의미에 맞게 읽는다. [12한문02-02] 글을 의미에 맞게 읽는다. |
A |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다. |
B |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대체로 읽을 수 있다. | |
C |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부분적으로 읽을 수 있다. | |
D | 글을 부분적으로 읽을 수 있다. | |
E | 글을 설명에 따라 읽을 수 있다. | |
[9한02-03] 글을 바르게 풀이한다. | A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정확하게 풀이할 수 있다. |
B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대체로 풀이할 수 있다. | |
C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부분적으로 풀이할 수 있다. | |
D | 글을 부분적으로 풀이할 수 있다. | |
E | 글을 안내에 따라 풀이할 수 있다. | |
[12한문02-03] 글을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한다. | A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의 내용과 주제를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
B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의 내용과 주제를 대체로 설명할 수 있다. | |
C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의 내용과 주제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 |
D | 글의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글의 내용을 안내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9한02-04]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주제를 파악한다. | A | 글의 내용과 주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
B | 글의 내용과 주제를 대체로 파악할 수 있다. | |
C | 글의 내용과 주제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 |
D | 글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 |
E | 글의 내용을 안내에 따라 이해할 수 있다. | |
[12한문02-04] 한시의 특징을 통해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 A | 한시의 형식과 특징 및 시상 전개 방식을 익혀 한시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
B | 한시의 형식과 특징 및 시상 전개 방식을 익혀 한시의 내용을 대체로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 |
C | 한시의 특징을 익혀 한시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 |
D | 한시의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한시의 내용을 안내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9한02-05]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을 함양한다. [12한문02-05]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을 함양한다. |
A |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적용할 수 있다. |
B |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다. | |
C |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할 수 있다. | |
D |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제한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 |
[9한02-06]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알고 소중하게 여기는 태도를 기른다. | A |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현재적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
B |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다. | |
C |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이해할 수 있다. | |
D |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제한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 |
[12한문02-06]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고 계승ㆍ발전시키려는 태도를 기른다. | A |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고 전통문화의 계승ㆍ발전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수 있다. |
B |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고 전통문화의 계승ㆍ발전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 |
C |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고 계승ㆍ발전의 필요성에 공감할 수 있다. | |
D |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가치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가치를 제한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
2. 영역별 성취수준
중학교
(1) 한자와 어휘
영역 | 영역별 성취수준 | ||
한자와 어휘 | A | 지식・이해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바탕으로 한자의 모양ㆍ음ㆍ뜻을 정확하게 알고 단어의 짜임, 단어와 성어의 음ㆍ뜻을 분석적으로 파악하며, 한자 문화권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힌다. |
과정・기능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와 모양ㆍ음ㆍ뜻을 주도적으로 조사하여 단어의 짜임을 이해하고 단어와 성어를 읽고 풀이하기에 정확하게 적용하며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다양한 맥락 속에서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어휘로 원활하게 소통하며 한자 문화권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류 증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
B | 지식・이해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바탕으로 한자의 모양ㆍ음ㆍ뜻을 알고 단어의 짜임, 단어와 성어의 음ㆍ뜻을 파악하며, 한자 문화권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힌다. | |
과정・기능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와 모양ㆍ음ㆍ뜻을 조사하여 단어의 짜임을 이해하고 단어와 성어를 읽고 풀이하기에 적용하며 단어와 성어를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어휘로 원활하게 소통하며 한자 문화권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
C | 지식・이해 | 한자의 모양ㆍ음ㆍ뜻을 알고 단어의 짜임, 단어와 성어의 음ㆍ뜻을 파악하며, 한자 문화권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힌다. | |
과정・기능 | 한자의 모양ㆍ음ㆍ뜻을 조사하여 단어와 성어를 읽고 풀이하기에 적용하며 단어와 성어를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어휘 활용과 한자 문화권 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 노력하는 태도를 지닌다. | ||
D | 지식・이해 | 한자의 모양ㆍ음ㆍ뜻을 부분적으로 알고 단어와 성어의 음ㆍ뜻을 파악하며, 한자 문화권 문화에 대한 지식을 부분적으로 익힌다. | |
과정・기능 | 한자의 모양ㆍ음ㆍ뜻 중 일부를 조사하여 단어와 성어를 읽고 풀이하기에 적용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원활한 소통을 위해 어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한다. | ||
E | 지식・이해 | 한자의 모양ㆍ음ㆍ뜻 중 일부를 알고 단어와 성어의 음ㆍ뜻을 제한적으로 익힌다. | |
과정・기능 | 주어진 한자의 모양ㆍ음ㆍ뜻을 단어나 성어의 풀이에 부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주어진 자료로 어휘를 활용한 소통의 사례를 찾아본다. |
(2) 문장
영역 | 영역별 성취수준 | ||
문장 | A | 지식・이해 | 문장의 구조를 정확하게 알아 풀이에 적용하고 글의 내용과 주제를 종합적으로 파악한다. |
과정・기능 | 문장의 구조를 주도적으로 파악하여 글을 정확하게 풀이하고 의미에 맞게 읽을 수 있으며, 글의 내용과 주제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여 인성적 가치를 발견하고 자기 삶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실천하며,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알고 현재의 삶 속에서 소중하게 여길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실천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
B | 지식・이해 | 문장의 구조를 알아 풀이에 적용하고 글의 내용과 주제를 파악한다. | |
과정・기능 |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여 글을 풀이하고 의미에 맞게 읽을 수 있으며, 글의 내용과 주제를 이해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여 인성적 가치를 발견하고 자기 삶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며,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알고 현재의 삶 속에서 소중하게 여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
C | 지식・이해 | 문장 풀이를 바탕으로 글의 내용과 주제를 파악한다. | |
과정・기능 | 글을 풀이하고 읽을 수 있으며, 글의 내용과 주제를 이해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인성적 가치를 찾으며, 전통문화의 의미를 알아 가치를 부여하려는 태도를 가진다. | ||
D | 지식・이해 | 글의 내용과 주제를 부분적으로 파악한다. | |
과정・기능 | 글의 내용과 주제를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선인들의 지혜와 전통문화에서 가치를 찾으려는 태도를 지닌다. | ||
E | 지식・이해 | 글의 내용을 제한적으로 파악한다. | |
과정・기능 | 주어진 문장의 풀이를 글의 내용 이해에 부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전통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 |
고등학교
(1) 한자와 어휘
영역 | 영역별 성취수준 | ||
한자와 어휘 | A | 지식・이해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바탕으로 한자의 모양ㆍ음ㆍ뜻을 정확하게 알고 단어의 짜임, 단어와 성어의 음ㆍ뜻, 실사와 허사를 분석적으로 파악하며, 한자 문화권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힌다. |
과정・기능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와 모양ㆍ음ㆍ뜻을 주도적으로 조사하여 단어의 짜임 이해와 읽고 풀이하기 및 실사와 허사 파악하기에 정확하게 적용하며 성어의 유래와 의미를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다양한 형식과 맥락 속에서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어휘로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성어 속 삶의 가치를 유연하게 수용하고 한자 문화권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류 증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
B | 지식・이해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바탕으로 한자의 모양ㆍ음ㆍ뜻을 알고 단어의 짜임, 단어와 성어의 음ㆍ뜻, 실사와 허사를 파악하며, 한자 문화권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힌다. | |
과정・기능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와 모양ㆍ음ㆍ뜻을 조사하여 단어의 짜임 이해와 읽고 풀이하기 및 실사와 허사 파악하기에 적용하며 성어의 유래와 의미를 파악하여 단어와 성어를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어휘 활용으로 원활하게 소통하며 성어 속 삶의 가치를 수용하고 한자 문화권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
C | 지식・이해 | 한자의 모양ㆍ음ㆍ뜻을 알고 단어의 짜임, 단어와 성어의 음ㆍ뜻을 파악하며, 한자 문화권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힌다. | |
과정・기능 | 한자의 모양ㆍ음ㆍ뜻을 조사하여 단어 풀이에 적용하며 성어의 유래와 의미를 파악하고 단어와 성어를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어휘를 활용하고자 노력하며 성어 속 다양한 삶의 가치 찾기와 한자 문화권 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 노력하는 태도를 지닌다. | ||
D | 지식・이해 | 한자의 모양ㆍ음ㆍ뜻을 부분적으로 알고 단어와 성어의 음ㆍ뜻을 파악하며, 한자 문화권 문화에 대한 지식을 부분적으로 익힌다. | |
과정・기능 | 한자의 모양ㆍ음ㆍ뜻 중 일부를 조사하여 단어 풀이에 적용하며 일부 성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원활한 소통을 위해 어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하며 성어 속에 다양한 삶이 가치가 있음을 이해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
E | 지식・이해 | 한자의 모양ㆍ음ㆍ뜻 중 일부를 알고 단어와 성어의 음ㆍ뜻을 제한적으로 익힌다. | |
과정・기능 | 주어진 한자의 모양ㆍ음ㆍ뜻을 단어 풀이에 부분적으로 적용하며 성어의 의미를 제한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주어진 자료로 어휘 활용 소통 사례 및 성어 속 다양한 삶의 모습을 찾아본다. |
(2) 문장
영역 | 영역별 성취수준 | ||
문장 | A | 지식・이해 |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정확하게 알고, 글의 내용과 주제를 깊이 있게 이해하며, 한시의 형식과 특징 및 시상 전개 방식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
과정・기능 |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주도적으로 파악하여 글을 정확하게 풀이하고 의미에 맞게 읽을 수 있으며, 글의 내용과 주제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시의 내용과 배경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통해 자신만의 감상을 표현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여 인성적 가치를 발견하고 자기 삶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실천하며,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고 현재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계승ㆍ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 활용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
B | 지식・이해 |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알고, 글의 내용과 주제를 이해하며, 한시의 형식과 특징 및 시상 전개 방식을 분석한다. | |
과정・기능 |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파악하여 글을 정확하게 풀이하고 의미에 맞게 읽을 수 있으며, 글의 내용과 주제를 이해할 수 있다. 한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감상을 표현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여 인성적 가치를 발견하고 자기 삶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며,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고 현재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계승ㆍ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
C | 지식・이해 | 문장의 구조 또는 유형을 알고, 글의 내용과 주제 그리고 한시의 일부 특징을 분석한다. | |
과정・기능 | 문장의 구조 또는 유형을 파악하여 글을 풀이하고 읽을 수 있으며, 글의 내용과 주제 그리고 한시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인성적 가치를 찾으며,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고 현재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
D | 지식・이해 | 글의 내용과 주제 그리고 한시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이해한다. | |
과정・기능 | 문장의 풀이를 내용과 주제 그리고 한시의 이해에 부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선인들의 지혜와 전통문화에 가치를 부여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
E | 지식・이해 | 글의 내용을 제한적으로 이해한다. | |
과정・기능 | 주어진 문장의 풀이를 글의 내용 이해에 부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선인들의 지혜와 전통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 |
3. 예시 평가 도구
중학교
(1) 중학교 한문-1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중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한자와 어휘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9한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 | A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 ||||||
B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대체로 구별할 수 있다. | |||||||
C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부분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 |||||||
D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요소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파악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서ㆍ논술형 | 성취수준 | A~C | 배점 | 10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중 상형, 지사, 회의, 형성을 이해하고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에 맞게 한자를 구별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성취수준 A, B, C를 고려하여 출제한 문항으로, 이 문항을 맞힌 학생은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에 맞게 한자를 구별할 수 있다. 정답을 맞히지 못한 학생들을 위해 웹 사전을 활용하여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직접 찾아보게 하는 활동을 계획할 수 있다. 학생들은 웹 사전에서 글과 그림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해당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학습자의 사고와 경험이 통합될 기회를 제공한다. 단편적 지식을 넘어, 지식을 탐구하고 재구성하여 자신의 생각을 실생활 맥락에 대입하여 도출할 수 있도록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 도구를 개발한다. |
2 | 평가 도구 |
서ㆍ논술형 |
※ <보기>의 한자를 [조건]에 맞게 순서대로 서술하시오.
<보기> 口, 林, 木, 門, 問, 聞, 末, 本, 耳, 休 |
[조건] 가. 한자가 만들어진 4가지 원리를 설명할 것(설명 예시: 상형이란 ~ 이다.) 나. <보기>에 제시된 한자를 4가지 원리(상형, 지사, 회의, 형성)에 맞게 분류할 것 다. 분류한 <보기>의 한자를 원리에 맞게 기술할 것(기술 예시: 口는 ~ 만들었다. 林은 ~ 나타냈다.) |
채점 기준
▣ 채점 기준표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
논 | 설명하기 | 3점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에 대한 설명이 모두 적절하다. | |
예시답안 | 상형은 구체적인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것이다. 지사는 추상적인 생각이나 뜻을 점이나 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회의는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글자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를 만들되, 그 글자들이 지닌 뜻을 합쳐서 새로운 뜻을 나타낸 것이다. 형성은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를 만들되, 일부는 뜻을 나타내고 일부는 음을 나타낸 것이다. |
|||
2점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에 대한 설명 중 2~3가지가 적절하다. | |||
1점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에 대한 설명 중 1가지가 적절하다. | |||
0점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에 대한 설명이 모두 부적절하다. | |||
예시답안 | 그 외 답안 무응답 |
|||
분류하기 | 4점 | 분류한 결과가 모두 정확하다. | ||
예시답안 | 상형: 口, 木, 門, 耳 - 지사: 末, 本 회의: 林, 休 - 형성: 問, 聞 |
|||
3점 | 4가지 원리(상형, 지사, 회의, 형성) 분류 중 3가지가 정확하다. | |||
2점 | 4가지 원리(상형, 지사, 회의, 형성) 분류 중 2가지가 정확하다. | |||
1점 | 4가지 원리(상형, 지사, 회의, 형성) 분류 중 1가지가 정확하다. | |||
0점 | 4가지 원리(상형, 지사, 회의, 형성) 분류가 모두 부정확하다. | |||
예시답안 | 그 외 답안 무응답 |
|||
기술하기 | 3점 | 분류한 근거를 원리에 따라 기술한 것이 모두 적절하다. | ||
예시답안 | 口는 입, 木은 나무, 門은 대문, 耳는 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末은 ‘끝’이라는 추상적인 뜻을 木의 위쪽에 선을 그어 나타냈고, 本은 ‘근본’이라는 추상적인 뜻을 木의 아래쪽에 선을 그어 나타냈다. 林은 이미 만들어진 木과 木을 결합하여 ‘숲’이란 새로운 뜻을 나타냈고, 休는 이미 만들어진 人과 木을 결합하여 ‘쉬다’란 새로운 뜻을 나타냈다. 問은 이미 만들어진 口와 門을 결합하여 口는 ‘묻다’라는 뜻을 나타냈고 門은 ‘문’이라는 음을 나타냈다. 聞은 이미 만들어진 耳와 門을 결합하여 耳는 ‘듣다’라는 뜻을 나타냈고, 門은 ‘문’이라는 음을 나타냈다. |
|||
2점 | 분류한 근거를 원리에 따라 기술한 것 중 2~3가지가 적절하다. | |||
1점 | 분류한 근거를 원리에 따라 기술한 것 중 1가지가 적절하다. | |||
0점 | 분류한 근거를 원리에 따라 기술한 것이 모두 부적절하다. | |||
예시답안 | 그 외 답안 무응답 |
▣ 채점 시 고려사항
1. 주어진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기술하였는가.
2. 지식을 재구성하여 근거를 제시하되 완결성과 논리성이 충분한가.
예시 답안
상형은 구체적인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것이다. 지사는 추상적인 생각이나 뜻을 점이나 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회의는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글자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를 만들되, 그 글자들이 지닌 뜻을 합쳐서 새로운 뜻을 나타낸 것이다. 형성은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를 만들되, 일부는 뜻을 나타내고 일부는 음을 나타낸 것이다.
<보기>의 한자를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상형자는 口, 木, 門, 耳이다. 왜냐하면 口는 입, 木은 나무, 門은 대문, 耳는 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것이기 때문이다.
지사자는 末과 本이다. 왜냐하면 末은 ‘끝’이라는 추상적인 뜻을 木의 위쪽에 선을 그어 나타냈고, 本은 ‘근본’이라는 추상적인 뜻을 木의 아래쪽에 선을 그어 나타냈기 때문이다.
회의자는 林과 休이다. 왜냐하면 林은 이미 만들어진 木과 木을 결합하여 ‘숲’이란 새로운 뜻을 나타냈고, 休는 이미 만들어진 人과 木을 결합하여 ‘쉬다’란 새로운 뜻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끝으로 형성자는 問과 聞이다. 왜냐하면 問은 이미 만들어진 口와 門을 결합하여 口는 ‘묻다’라는 뜻을 나타냈고 門은 ‘문’이라는 음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또한 聞은 이미 만들어진 耳와 門을 결합하여 耳는 ‘듣다’라는 뜻을 나타냈고 門은 ‘문’이라는 음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2) 중학교 한문-2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중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한자와 어휘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9한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 | A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 ||||||||
B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대체로 구별할 수 있다. | |||||||||
C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부분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 |||||||||
D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요소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파악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선다형 | 성취수준 | E | 배점 | 1 | 정답 | ➀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중 상형을 이해하고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찾을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특히, 이 문항은 평가 결과를 통해 성취수준 E 수준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무엇을 모르고 있는지 파악하고, E 수준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교수ㆍ학습 자료 개발 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문항이다.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더욱 간명하게 구별할 수 있는 시각 자료 등의 맞춤형 교수ㆍ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E 수준 학생들도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에 대한 최소한의 이해에 도달할 수 있도록 보충 지도한다. |
2 | 평가 도구 |
선다형 |
글의 내용으로 보아 ㉠과 ㉡에 들어갈 것이 모두 옳은 것은?
( ㉠ )은/는 구체적인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것입니다. 예를 들어, 뿌리와 줄기 그리고 나뭇가지로 이루어진 나무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木 이나, 산봉우리가 솟아 있는 모양을 본떠서 만든 ( ㉡ )이/가 바로 이 원리로 만들어졌습니다. |
㉠ | ㉡ | ||
① | 상형 | 山 | |
② | 지사 | 川 | |
③ | 회의 | 土 | |
④ | 형성 | 日 | |
⑤ | 수식 | 月 |
❂ 정답 해설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중 ‘상형’을 설명한 글이다. 산봉우리가 솟아 있는 모양을 본떠서 만든 것은 山이다. ‘지사’는 추상적인 생각이나 뜻을 점이나 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회의’는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글자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를 만들되, 그 글자들이 지닌 뜻을 합쳐서 새로운 뜻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므로 정답은 ①이다.
(3) 중학교 한문-3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중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한자와 어휘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9한01-03]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 A | 단어의 짜임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 ||||||||
B | 단어의 짜임을 대체로 구별할 수 있다. | |||||||||
C | 단어의 짜임을 부분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 |||||||||
D | 단어의 짜임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단어의 짜임을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요소 | 단어의 짜임 파악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선다형 | 성취수준 | A~E | 배점 | 1 | 정답 | ➃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단어의 짜임 중 병렬 관계를 이해하고 단어의 짜임을 구별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이 문항을 맞힌 학생은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할 수 있고, 상반되는 뜻을 지닌 한자끼리 연결하였을 때 만들어지는 단어가 성분이 같은 말들이 나란히 놓여 이루어진 병렬 관계임을 이해할 수 있다. 정답을 제외하고 <보기>를 구성하는 나머지 단어는 모두 술목 관계로, 술목 관계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학생이 병렬 관계를 몰라도 맞힐 수 있도록 하였다. 만약 문항 난도를 높이고자 한다면 서로 비슷한 의미를 가진 한자끼리 연결한 것을 <보기> 중 하나로 제시하거나, 주술 관계, 술보 관계, 수식 관계 등 다른 단어의 짜임을 <보기>에 제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
2 | 평가 도구 |
선다형 |
상반되는 뜻을 지닌 한자로 이루어진 단어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보 기> | ||
ㄱ. 讀書 ㄴ. 長短 ㄷ. 敬老 ㄹ. 本末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 정답 해설
상반되는 뜻을 지닌 한자로 이루어진 단어는 ㄴ과 ㄹ이다. ㄱ에서 讀은 ‘읽다’, 書는 ‘글’로, ‘글을 읽다’ 또는 ‘책을 읽다’로 풀이할 수 있다. ㄴ에서 長은 ‘길다’, 短은 ‘짧다’로, ‘길고 짧음’ 또는 ‘좋은 점과 나쁜 점’으로 풀이할 수 있다. ㄷ에서 敬은 ‘공경하다’, 老는 ‘노인’으로, ‘노인을 공경하다’로 풀이할 수 있다. ㄹ에서 本은 ‘근본’, 末은 ‘끝’으로, 연결하면 本末(본말)로 ‘근본과 끝’ 또는 ‘(사물이나 일의) 처음과 끝’으로 풀이할 수 있다. ㄴ, ㄹ은 성분이 같은 말들이 나란히 놓여 이루어진 병렬 관계이다. 병렬 관계에는 서로 상대되는 의미를 가진 한자가 나란히 놓여 이루어진 경우와 서로 비슷한 의미를 가진 한자가 나란히 놓여 이루어진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정답은 ④이다.
(4) 중학교 한문-4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중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한자와 어휘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9한01-05]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른다. | A |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 ||||||
B |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할 수 있다. | |||||||
C | 단어와 성어를 활용하여 소통할 수 있다. | |||||||
D | 단어와 성어를 활용할 수 있다. | |||||||
E | 단어와 성어를 안내에 따라 활용할 수 있다. | |||||||
평가 요소 | 어휘를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 기르기 | |||||||
평가 도구 유형 | 서ㆍ논술형 | 성취수준 | A~E | 배점 | 4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일상생활에서 쓰는 어휘의 상당수는 한자 어휘이므로, 한자 어휘 활용 능력을 길러 원활한 언어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이 문항을 통해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평가 결과, 이 문항을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을 위해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적절한 설명문을 조사하는 방법, 웹 사전을 활용하여 어휘를 검색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요약문 예시 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한다. |
2 | 평가 도구 |
서․논술형 |
※ 다음 글을 읽고, 과제 1, 2를 수행하시오.
우리나라의 세계기록유산은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직지심체요절, 승정원일기,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경판, 조선왕조의궤, 동의보감, 일성록,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 난중일기, 새마을운동 기록물, 한국의 유교책판, KBS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조선통신사 기록물로 총 16건이 있으며 세계에서 네 번째, 아태지역에서는 첫 번째로 많다. -출처: https://heritage.unesco.or.kr |
1. 윗글에서 밑줄 친 것 중 하나를 골라 조사하고, 그 특징을 요약하시오. [2점]
2. 요약한 글에 활용한 어휘 중 5개를 골라, [예시]와 같이 작성하시오.(웹 사전 활용) [2점]
예 시 |
訓 | 民 | 正 | 音 |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443년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인 한글을 이르는 말. |
가르칠(훈) | 백성(민) | 바를(정) | 소리(음) | ||
1 | |||||
2 | |||||
3 | |||||
4 | |||||
5 | |||||
❂ 채점 기준
▣ 채점 기준표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
서1 | 조사 방법 (과정) 요약문 (결과) |
2점 | 조사 방법과 요약문이 모두 적절하다. | |
예시답안 | 훈민정음은 세종이 1443년 창제하여 1446년에 반포한 표음 문자이다. 집현전 학사들은 한문 해설서인 훈민정음 해례본을 발간하였다. 이 책에는 창제 이유와 원리, 사용 방법 등이 담겨 있다. | |||
1점 | 조사 방법이나 요약문 중 하나만 적절하다. | |||
예시답안 | 우리나라는 훈민정음 해례본 발간일을 양력으로 계산하여 10월 9일을 한글날로 지정하였다. 1940년 경상도 안동에서 이 책이 발견되었고,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
0점 | 조사 방법과 요약문이 모두 부적절하다. | |||
예시답안 | 그 외 답안 무응답 |
|||
검색 방법 (과정) 결과물 (결과) |
2점 | 검색 방법과 결과물이 모두 적절하다. | ||
예시답안 | 創製(창제): 전에 없던 것을 처음으로 만들거나 제정함. 頒布(반포): 세상에 널리 퍼뜨려 모두 알게 함. 表音文字(표음 문자): 말소리를 그대로 기호로 나타낸 문자 集賢殿(집현전): 조선 전기에 둔, 경적ㆍ전고ㆍ진강 따위를 맡아보던 관아 解例本(해례본): 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 |
|||
1점 | 검색 방법이나 결과물 중 하나만 적절하다. | |||
예시답안 | 發刊(발간): 책, 신문, 잡지 따위를 만들어 냄. 陽曆(양력): 우리나라의 공식 역법 計算(계산): 수를 헤아림. 至情(지정): 지극히 두터운 정분(오답) 小將(소장): 대한 제국 때에 둔 장관 계급의 하나(오답) |
|||
0점 | 검색 방법과 결과물 모두 부적절하다. | |||
예시답안 | 그 외 답안 무응답 |
❂ 예시 답안
1.훈민정음은 세종이 1443년 창제하여 1446년에 반포한 표음 문자이다. 집현전 학사들은 한문 해설서인 훈민정음 해례본을 발간하였다. 이 책에는 창제 이유와 원리, 사용 방법 등이 담겨 있다.
2. 創製(창제): 전에 없던 것을 처음으로 만들거나 제정함.
頒布(반포): 세상에 널리 퍼뜨려 모두 알게 함.
表音文字(표음 문자): 말소리를 그대로 기호로 나타낸 문자
集賢殿(집현전): 조선 전기에 둔, 경적ㆍ전고ㆍ진강 따위를 맡아보던 관아
解例本(해례본): 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
(5) 중학교 한문-5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중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문장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9한02-03] 글을 바르게 풀이한다. | A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정확하게 풀이할 수 있다. | ||||||
B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대체로 풀이할 수 있다. | |||||||
C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부분적으로 풀이할 수 있다. | |||||||
D | 글을 부분적으로 풀이할 수 있다. | |||||||
E | 글을 안내에 따라 풀이할 수 있다. | |||||||
평가 요소 | 글을 풀이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완성형 | 성취수준 | A~D | 배점 | 5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풀이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성취수준 A, B, C, D를 고려하여 출제한 문항으로, 이 문항을 맞힌 학생은 글에 사용된 단어나 구절의 뜻, 문장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글을 풀이할 수 있다. 학습자의 사고와 경험이 통합될 기회를 제공한다. 단편적 지식을 넘어, 지식을 탐구하고 재구성하여 자신의 생각을 실생활 맥락에 대입하여 도출할 수 있도록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 도구를 개발한다. |
2 | 평가 도구 |
완성형 |
[1~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見利思義, 見危授命. |
1. ㉠과 ㉡에 알맞은 음을 쓰시오.
읽기(2점) | 견㉠사의 견위수㉡ |
㉠: ㉡:
2. ㉢과 ㉣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풀이하기(2점) | ( ㉢ )을/를 보고 의로움을 생각하고 위태로움을 보고 ( ㉣ )을/를 바친다. |
㉢: ㉣:
(6) 중학교 한문-6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중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문장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9한02-04]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주제를 파악한다. | A | 글의 내용과 주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 ||||||||
B | 글의 내용과 주제를 대체로 파악할 수 있다. | |||||||||
C | 글의 내용과 주제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 |||||||||
D | 글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 |||||||||
E | 글의 내용을 안내에 따라 이해할 수 있다. | |||||||||
평가 요소 | 글의 내용과 주제 파악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선다형 | 성취수준 | A~E | 배점 | 1 | 정답 | ➃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주제를 파악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글의 중심이 되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문항을 출제한다. |
2 | 평가 도구 |
선다형 |
글의 중심 내용으로 옳은 것은?
去言美, 來言美. - 『동언해』 - |
① 작은 일도 서로 도와야 한다.
② 우직하게 자기의 일을 추진해야 한다.
③ 사소한 의심도 확인하고 행동해야 한다.
④ 서로 간에 조심해서 고운 말을 써야 한다.
⑤ 나쁜 소문은 금세 퍼지므로 조심해야 한다.
❂ 정답 해설
이 문장은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는 속담을 한역한 것이다. ①은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속담, ②는 ‘공든 탑이 무너지랴’라는 속담, ③은 ‘돌다리도 두드려 보고 건너라’라는 속담, ⑤는 ‘발 없는 말이 천리 간다’라는 속담의 중심 내용을 각각 기술한 것이다. 그러므로 정답은 ④이다.
(7) 중학교 한문-7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중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문장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9한02-05]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을 함양한다. | A |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적용할 수 있다. | ||||||
B |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다. | |||||||
C |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할 수 있다. | |||||||
D |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제한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요소 |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 이해하기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자신의 삶에 적용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서ㆍ논술형 | 성취수준 | A~E | 배점 | 5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한문 기록 속에는 귀감이 되거나 경계로 삼을 수 있는 자료가 많으므로, 기초적인 한문 독해 능력을 길러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이 문항을 통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여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학습자의 사고와 경험이 통합될 기회를 제공한다. 단편적 지식을 넘어, 지식을 탐구하고 재구성하여 자신의 생각을 실생활 맥락에 대입하여 도출할 수 있도록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 도구를 개발한다. |
2 | 평가 도구 |
서ㆍ논술형 |
※ <보기>의 문장을 읽고, [조건]에 맞게 서술하시오.
<보기>
己所不欲을 勿施於人하라.
- 『논어』 -
[조건]
가. <보기>의 문장을 풀이하고, 문장 속에 담긴 선인의 지혜에 관해 설명할 것
나. <보기>의 문장에 담긴 지혜를 활용하여 자신이 겪었던 갈등을 해결한 사례를 쓸 것
❂ 채점 기준
▣ 채점 기준표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
논 | 풀이하기 설명하기 |
3점 | 풀이와 설명이 모두 적절하다. | |
예시답안 | ‘기소불욕, 물시어인.’(또는 ‘己所不欲, 勿施於人.’)의 풀이는 ‘자기가 하고자 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베풀지 마라’이고, 문장 속에 담긴 선인의 지혜를 예를 들어 말하면, ‘상대방의 처지에서 생각하고 이해한다’는 것이다. | |||
2점 | 풀이와 설명 중 하나만 적절하다. | |||
예시답안 | ‘기소불욕, 물시어인.’(또는 ‘己所不欲, 勿施於人.’)의 풀이는 ‘자기가 하고자 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베풀지 마라’이고, 이 말은 논어에 나오는 말로 알려져 있다. | |||
1점 | 풀이와 설명이 모두 미흡하다. | |||
예시답안 | ‘己所不欲, 勿施於人.’ 이 말은 논어에 나오는 말로 알려져 있다. | |||
0점 | 예시답안 | 그 외 답안 무응답 |
||
적용 | 2점 | 갈등 사례와 해결책의 연결이 매우 적절하다. | ||
예시답안 | 최근 스마트폰이 정지되어 친구의 폰을 빌려 게임을 했다. 그러다 너무 몰입한 나머지 배터리가 다 닳았다. 친구가 집에 연락해야 하는데 못하게 되었다며 다짜고짜 화를 냈다. 질 수 없어서 친구 사이에 이런 것도 못 받아주냐며 소리를 지르고 말았다. 『논어』에 ‘자기가 하고자 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시키지 마라’는 공자 말씀이 뒤늦게 떠올랐다. 처음엔 사정도 안 들어주고 화를 낸 친구에게 서운했는데, 돌이켜보니 내가 친구였어도 화를 냈을 것 같다. 왜냐하면 내 스마트폰을 누군가 함부로 쓴다면 정말 싫을 것이기 때문이다. 친구에게 당장 용서를 구해야겠다. | |||
1점 | 갈등 사례와 해결책의 연결이 대체로 적절하다. | |||
예시답안 | 최근 스마트폰이 정지되어 친구의 폰을 빌려 게임을 했다. 그러다 너무 몰입한 나머지 배터리가 다 닳았다. 친구가 집에 연락해야 하는데 못하게 되었다며 다짜고짜 화를 냈다. 질 수 없어서 친구 사이에 이런 것도 못 받아주냐며 소리를 지르고 말았다. 『논어』에 ‘己所不欲, 勿施於人.’이라고 했다. 친구에게 믿음을 주지 못했다. 앞으로 ‘己所不欲, 勿施於人.’을 실천해야겠다. | |||
0점 | 갈등 사례와 해결책의 연결이 부적절하다. | |||
예시답안 | 그 외 답안 무응답 |
▣ 채점 시 고려사항
1. 주어진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기술하였는가.
2. 지식을 재구성하여 자신의 삶에 적용하였는가.
❂ 예시 답안
1. ‘기소불욕, 물시어인.’의 풀이는 ‘자기가 하고자 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베풀지 마라’이고, 문장 속에 담긴 선인의 지혜를 말하면, ‘상대방의 처지에서 생각하고 이해한다.’는 것이다. 얼마 전에 엄마랑 또 싸웠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엄마는 나에 대해 가장 많이 알고 계시다. 그리고 엄마는 다 잘 되라고 잔소리를 하신다. 엄마는 봉사활동을 정기적으로 하시면서 역지사지가 몸에 배셨다. 그래서 공자님처럼 ‘자기가 하기 싫은 것을 남에게 시키지 마라’고 강조하셨다. 동생에게 심부름을 시키려고 하면 엄마는 동생에게 모범을 보이라고 하신다. 백번 맞는 말씀이지만 동생에게 매번 양보만 하는 게 불만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동생이 내게 다가와 말했다. “누나 공부하느라 힘든 거 아니까 이번에 내가 심부름 다녀올게, 뭐 먹고 싶은 거 없어?” 동생이 나보다 낫다고 생각했다. 앞으로 상대방의 처지에서 생각하고 이해하려 한다. 내가 하기 싫은 건 동생에게 시키지 않기로 결심했다.
2. ‘기소불욕, 물시어인.’의 풀이는 ‘자기가 하고자 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베풀지 마라’이고, 문장 속에 담긴 선인의 지혜를 말하면, ‘상대방의 처지에서 생각하고 이해한다.’는 것이다. 하굣길에 마을버스를 탔다. 노약자석이 있어서 바로 앉았다. 한 정거장 가니 거동이 불편해 보이시는 할아버지께서 올라타셨고 내가 앉은 자리 손잡이를 위태롭게 잡고 창밖을 내다보셨다. 어린 내가 교통약자를 위해 마련한 자리에 앉아 있다니 순간 부끄러움이 밀려왔다. 그러나 용기가 나질 않았다. 그때 할아버지가 먼저 말을 거셨다. “난 금방 내려서 괜찮으니 공부하느라 힘들 텐데 앉아서 가요.”라며 말씀하셔서 내 마음을 들킨 것 같았다. 공자는 ‘자기가 하길 싫은 것을 남에게 시키지 마라’라고 했다는데 이 할아버지야말로 그 말을 실천하시는 것 같았다. 한 정거장이 지나 할아버지께서 내리셨다. 그때 할머니 한 분이 버스에 올라타셨다. “할머니 이리 앉으세요.”라고 용기낼 수 있었다. 상대방의 처지에서 생각하고 이해하도록 더 노력해야겠다.
(8) 중학교 한문-8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중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한자와 어휘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9한01-05]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른다. | A |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 ||||||
B |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할 수 있다. | |||||||
C | 단어와 성어를 활용하여 소통할 수 있다. | |||||||
D | 단어와 성어를 활용할 수 있다. | |||||||
E | 단어와 성어를 안내에 따라 활용할 수 있다. | |||||||
평가 요소 | 단어와 성어 활용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프로젝트 | 성취수준 | A~E | 배점 | 10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단어와 성어를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실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한자 어휘를 스스로 구성해 보는 기회를 제공하여 언어생활에서 소통하는 태도를 기르게 하고자 한다. 학습자가 ‘십자말풀이 문제’를 스스로 계획하고 구상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실천적 활동을 중요시한다. 십자말풀이를 푸는 것이 아니고 십자말풀이를 만드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핵심이다. 문제 구성하기에 쓰이는 단어와 성어는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교실 안의 어휘, 운동 종목과 관계있는 어휘 등 일정한 범주를 정할 수도 있다. 모둠 활동의 경우, 어휘를 떠올려 십자말풀이 문제를 구성하는 역할, 도구를 활용하여 해당 어휘의 사전적 의미를 검색하는 역할, 해당 어휘가 활용되는 예문을 만드는 역할, 과제 활동지에 기록하는 역할 등으로 분담할 수 있는데 모둠 구성 인원에 따라 문항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학습자의 사고와 경험이 통합될 기회를 제공한다. 단편적 지식을 넘어, 지식을 탐구하고 재구성하여 자신의 생각을 실생활 맥락에 대입하여 도출할 수 있도록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 도구를 개발한다. |
2 | 평가 도구 |
프로젝트 |
※ [조건]에 따라 십자말풀이 문제와 정답을 완성하시오.
[조건]
가. 가로 열쇠와 세로 열쇠를 합하여 10개 이상 만들 것
나. 표준국어대사전을 참고하여 어휘 풀이를 쓰고, 예문을 넣어 힌트를 제공할 것
(예: 친구 사이의 정. ○○을 나누다.)
① | ② | ||||||
① 登 | 校 | ② 韓 | 服 | ||||
山 | 半 | ||||||
島 | |||||||
[십자말풀이 문제] | [십자말풀이 정답] |
가로 열쇠 ① 학생이 학교에 감. ○○ | 세로 열쇠 ① 운동, 놀이, 탐험 따위의 |
시간. | 목적으로 산에 오름. ○○을 가다. |
② 우리나라의 고유한 옷. ○○을 곱게 | ② 아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 |
차려입다. | 도. ○○○ 전역 태풍 영향권. |
: | : |
❂ 채점 기준
▣ 채점 기준표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수 | 문제 구성하기 |
4점 | 10개 이상의 한자 어휘를 활용함. |
3점 | 8~9개의 한자 어휘를 활용함. | ||
2점 | 6~7개의 한자 어휘를 활용함. | ||
1점 | 4~5개의 한자 어휘를 활용함. | ||
0점 | 3개 이하의 한자 어휘를 활용함. | ||
정답 한자로 쓰기 |
3점 | 어휘와 한자 정보를 정확하게 검색하여 한자로 필기함. | |
2점 | 어휘와 한자 정보를 대체로 검색하여 한자로 필기함. | ||
1점 | 어휘와 한자 정보를 부분적으로 검색하여 한자로 필기함. | ||
0점 | 한자로 필기하지 못함. | ||
낱말 풀이 완성하기 |
3점 | 가로 세로 열쇠의 낱말 풀이를 정확하게 완성함. | |
2점 | 가로 세로 열쇠의 낱말 풀이를 대체로 완성함. | ||
1점 | 가로 세로 열쇠의 낱말 풀이를 부분적으로 완성함. | ||
0점 | 가로 세로 열쇠의 낱말 풀이를 적지 못함. |
❂ 예시 답안
① | ② | ③ | |||||
④ | |||||||
⑤ | ⑥ | ||||||
⑦ | |||||||
⑧ | |||||||
⑨ | ⑩ | ⑪ | ⑫ | ||||
⑬ | ⑭ |
登 | 校 | 韓 | 服 | 美 | |||
山 | 半 | 公 | 人 | ||||
獨 | 島 | 大 | 衆 | ||||
樹 | 立 | 韓 | |||||
木 | 火 | 田 | 民 | ||||
氣 | 國 | ||||||
言 | 語 | 金 | 場 | 面 | |||
文 | 學 | 管 | 理 | 所 |
[십자말풀이 문제] | [십자말풀이 정답] |
가로 열쇠 ① 학생이 학교에 감. ○○ 시간. | 세로 열쇠 ① 운동, 놀이, 탐험 따위의 |
② 우리나라의 고유한 옷. ○○을 곱게 | 목적으로 산에 오름. ○○을 가다. |
차려입다. | ② 아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 |
④ 공적인 일에 종사하는 사람. 공무원 | ○○○ 전역 태풍 영향권. |
은 ○○이다. | ③ 아름다운 사람. 절세 ○○. |
⑤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하는 화산섬. | ④ 사회의 대부분의 사람들. ○○도덕. |
○○는 우리 땅. | ⑤ 다른 것에 예속하거나 의존하지 아 |
⑥ 수많은 사람의 무리. ○○매체. | 니하는 상태로 됨. ○○운동가. |
⑦ 국가나 정부, 제도, 계획 따위를 이 | ⑥ 아시아 대륙 동쪽에 있는 한반도와 |
룩하여 세움. 정부 ○○. | 그 부속 도서로 이루어진 공화국. ○○ |
⑧ 화전을 일구어 농사를 짓는 사람. | ○○ 임시 정부 |
지리산 ○○○들이 내려왔다. | ⑦ 살아 있는 나무. ○○이 무성하다. |
⑨ 생각,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나 전달 | ⑧ 불에서 느껴지는 뜨거운 기운. ○○ |
하는 데에 쓰는 음성, 문자 따위의 수단. | 엄금. |
○○ 습관. | ⑩ 말과 글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교육. |
⑫ 어떤 장소에서 겉으로 드러난 면이나 | ⑪ 금으로 만든 퉁소. ○○ 악기. |
벌어진 광경. 감격적인 ○○. | ⑫ 어떤 일이 이루어지거나 일어나는 곳. |
⑬ 사상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한 예술. | 약속 ○○. |
○○ 작품. | |
⑭ 어떤 일의 사무를 처리하거나 사람, | |
사물, 시설 따위를 관리하는 일을 하는 | |
곳. 아파트 ○○○. |
(9) 중학교 한문-9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중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문장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9한02-02] 글을 의미에 맞게 읽는다. | A |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다. | ||||||
B |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대체로 읽을 수 있다. | |||||||
C |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부분적으로 읽을 수 있다. | |||||||
D | 글을 부분적으로 읽을 수 있다. | |||||||
E | 글을 설명에 따라 읽을 수 있다. | |||||||
[9한02-03] 글을 바르게 풀이한다. | A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정확하게 풀이할 수 있다. | ||||||
B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대체로 풀이할 수 있다. | |||||||
C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부분적으로 풀이할 수 있다. | |||||||
D | 글을 부분적으로 풀이할 수 있다. | |||||||
E | 글을 안내에 따라 풀이할 수 있다. | |||||||
평가 요소 | 글을 의미에 맞게 읽기 글을 풀이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구술형 | 성취수준 | A~D | 배점 | 4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글을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바르게 읽고 바르게 풀이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글의 내용을 떠올리고 음미하며 의미 맥락에 따라 바르게 띄어 읽을 수 있도록 임문[臨文: 책을 펴놓고 읽으면서 뜻을 해석]하여 소리 내어 따라 읽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유사한 상황과 맥락의 수행평가 과제를 개발한다. |
2 | 평가 도구 |
구술형 |
※ <보기>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고 풀이하시오.
<보기> 水去不復回, 言出難更收. |
❂ 채점 기준
▣ 채점 기준표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수 | 읽기 풀이하기 |
2점 | 의미에 맞게 바르게 띄어 읽고, 글에서 사용된 한자의 뜻을 고려하여 정확하게 읽으며, 단어나 구절의 뜻, 문장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풀이함. |
1점 | 글에서 사용된 한자의 뜻을 고려하여 정확하게 읽음. 의미에 맞게 바르게 띄어 읽음. 문장을 부분적으로 풀이함. |
||
0점 | 무응답 |
▣ 채점 시 고려사항
1. ‘수거, 불부회, 언출, 난갱수’를 맥락에 맞게 띄어 읽는지 관찰한다.
2. 여러 가지 음과 뜻을 지닌 ‘復’와 ‘更’을 문맥에 맞게 읽는지 관찰한다.
2. ‘수거, 불부회’와 ‘언출, 난갱수’를 구절의 뜻을 고려하여 풀이하는지 관찰한다.
❂ 예시 답안
읽기: 수거, 불부회, 언출, 난갱수
풀이하기: 물은 흘러가면 다시 돌아오지 아니하고, 말은 나오면 다시 거두기 어렵네.
(10) 중학교 한문-10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중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한자와 어휘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9한01-06]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 A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상호 이해와 교류를 위한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수 있다. | ||||||
B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상호 이해와 교류를 위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 |||||||
C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상호 이해의 필요성에 공감할 수 있다. | |||||||
D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제한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 |||||||
[9한02-06]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알고 소중하게 여기는 태도를 기른다. | A |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현재적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 ||||||
B |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다. | |||||||
C |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이해할 수 있다. | |||||||
D |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제한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요소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 전통문화를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 |
|||||||
평가 도구 유형 | 포트폴리오 | 성취수준 | A~E | 배점 | 10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한자 문화권이 공유하고 있는 한자를 매개로 형성된 보편적 문화에 대한 지식 중 하나인 간지(干支)를 이해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역사 교과와 연계하여 교과 간 융합적 사고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자의 사고와 경험이 통합될 기회를 제공한다. 단편적 지식을 넘어, 지식을 탐구하고 재구성하여 자신의 생각을 실생활 맥락에 대입하여 도출할 수 있도록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 도구를 개발한다. |
2 | 평가 도구 |
포트폴리오 |
1. 빈칸에 들어갈 한자와 음을 쓰시오. [3점]
<10간>
<12지>
|
2. 10간과 12지를 순서대로 조합하여 <60간지표>를 완성하시오.
(10간과 12지의 음을 쓸 것) [4점]
<60간지표>
갑 | 자 | 을 | 축 | 병 | 인 | 정 | 묘 | 무 | 진 | 기 | 사 | 경 | 오 | 신 | 미 | 임 | 신 | 계 | 유 |
갑 | 술 | 을 | 해 | ||||||||||||||||
갑 | 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괄호 안에 들어갈 것을 넣어 <역사 연표>를 완성하시오. [3점]
<역사 연표>
( )유정난 | 1453년 | 무오사화 | 149( )년 | 己卯사화 | 151( )년 | ||
임진왜란 | 159( )년 | ( )유재란 | 1597년 | 병자호란 | 163( )년 | ||
丙寅양요 | 186( )년 | ( )미양요 | 1871년 | 壬午군란 | 188( )년 | ||
甲申정변 | 188( )년 | ( )오개혁 | 1894년 | 을미사변 | 189( )년 | ||
을사늑약 | 190( )년 | 庚戌국치 | 191( )년 | 기미독립 만세운동 |
191( )년 |
❂ 채점 기준
▣ 채점 기준표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수 | 10간 12지 완성하기 |
3점 | 15개 모두 정확하게 완성함. |
2점 | 10~14개를 맞힘. | ||
1점 | 5~9개를 맞힘. | ||
0점 | 4개 이하를 맞힘. | ||
60간지표 완성하기 |
4점 | 순서대로 조합하여 정확하게 완성함. | |
3점 | 순서대로 조합하여 대체로 완성함. | ||
2점 | 순서대로 조합하여 부분적으로 완성함. | ||
1점 | 부분적으로 완성함. | ||
0점 | 무응답 | ||
역사 연표 완성하기 |
3점 | 15개 모두 정확하게 완성함. | |
2점 | 10~14개를 맞힘. | ||
1점 | 5~9개를 맞힘. | ||
0점 | 4개 이하를 맞힘. |
❂ 예시 답안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갑 | 을 | 병 | 정 | 무 | 기 | 경 | 신 | 임 | 계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자 | 축 | 인 | 묘 | 진 | 사 | 오 | 미 | 신 | 유 | 술 | 해 |
갑 | 자 | 을 | 축 | 병 | 인 | 정 | 묘 | 무 | 진 | 기 | 사 | 경 | 오 | 신 | 미 | 임 | 신 | 계 | 유 |
갑 | 술 | 을 | 해 | 병 | 자 | 정 | 축 | 무 | 인 | 기 | 묘 | 경 | 진 | 신 | 사 | 임 | 오 | 계 | 미 |
갑 | 신 | 을 | 유 | 병 | 술 | 정 | 해 | 무 | 자 | 기 | 축 | 경 | 인 | 신 | 묘 | 임 | 진 | 계 | 사 |
갑 | 오 | 을 | 미 | 병 | 신 | 정 | 유 | 무 | 술 | 기 | 해 | 경 | 자 | 신 | 축 | 임 | 인 | 계 | 묘 |
갑 | 진 | 을 | 사 | 병 | 오 | 정 | 미 | 무 | 신 | 기 | 유 | 경 | 술 | 신 | 해 | 임 | 자 | 계 | 축 |
갑 | 인 | 을 | 묘 | 병 | 진 | 정 | 사 | 무 | 오 | 기 | 미 | 경 | 신 | 신 | 유 | 임 | 술 | 계 | 해 |
갑 | 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계)유정난 | 1453년 | 무오사화 | 149(8)년 | 기묘사화 | 151(9)년 | ||
임진왜란 | 159(2)년 | (정)유재란 | 1597년 | 병자호란 | 163(6)년 | ||
병인양요 | 186(6)년 | (신)미양요 | 1871년 | 임오군란 | 188(2)년 | ||
갑신정변 | 188(4)년 | (갑)오개혁 | 1894년 | 을미사변 | 189(5)년 | ||
을사늑약 | 190(5)년 | 경술국치 | 191(0)년 | 기미독립 만세운동 |
191(9)년 |
고등학교
가. 예시 평가 도구 개요
번호 | 과목 | 영역 | 성취기준 | 평가 도구 유형 | 평가 요소 / 평가 과제 |
1 | 한문 | 한자와 어휘 |
[12한문01-01] 한자의 모양ㆍ음ㆍ뜻을 구별한다. | 완성형 | 한자의 모양ㆍ음ㆍ뜻 구별하기 |
2 | 한문 | 한자와 어휘 |
[12한문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 | 서·논술형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설명하기 각각의 원리에 따라 한자 분류하기 |
3 | 한문 | 한자와 어휘 |
[12한문01-03]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 선다형 | 단어의 짜임을 구별하기 |
4 | 한문 | 한자와 어휘 | [12한문01-08]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 선다형 | 한자 문화권 나라들의 언어문화를 익혀 상호 이해하기 |
5 | 한문 | 문장 | [12한문02-01]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구별한다. | 완성형 | 문장의 구조 구별하기 문장의 유형 구별하기 |
6 | 한문 | 문장 | [12한문02-02] 글을 의미에 맞게 읽는다. | 선다형 | 글을 의미에 맞게 읽기 |
7 | 한문 | 문장 한자와 어휘 |
[12한문02-03] 글을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한다. [12한문01-06]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른다. |
서·논술형 | 글을 풀이하기 내용과 주제 설명하기 성어 활용하기 |
8 | 한문 | 문장 | [12한문02-03] 글을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한다. [12한문02-04] 한시의 특징을 통해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
서·논술형 | 글을 풀이하기 한시의 특징 이해하기 한시 감상하기 |
9 | 한문 | 문장 | [12한문02-03] 글을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한다. [12한문02-05]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을 함양한다. |
서·논술형 | 글의 내용 이해하기 글의 풀이를 통해 주제 파악하기 글 속 선인들의 지혜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적용하기 |
10 | 한문 | 한자와 어휘 |
[12한문01-05] 단어와 성어를 읽고 풀이한다. [12한문01-06]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른다. [12한문01-07] 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삶의 다양한 태도와 가치를 탐색한다. |
프로젝트/구술・발표 | 성어의 음과 뜻 파악하기 성어의 풀이를 바탕으로 뜻과 유래 설명하기 성어 활용의 사례 제시하기 성어 속 다양한 삶의 가치 탐색하고 수용 방법 찾기 |
나. 예시 평가 도구
(1) 고등학교 한문-1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한자와 어휘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한문01-01] 한자의 모양ㆍ음ㆍ뜻을 구별한다. | A | 한자의 모양·음·뜻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 ||||||
B | 한자의 모양·음·뜻을 대체로 구별할 수 있다. | |||||||
C | 한자의 모양·음·뜻을 부분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 |||||||
D | 한자의 모양·음·뜻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한자의 모양·음·뜻을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요소 |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완성형 | 성취수준 | A~C | 배점 | 6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성취수준 A,B,C를 고려한 문항으로 이 문항을 맞힌 학생은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할 수 있다.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하지 못하는 학습자를 위해 옥편 또는 디지털 사전 등을 활용하여 학습을 지원하도록 한다. 아울러 무조건 암기하는 것보다는 단어와 연계하여 한자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
2 | 평가 도구 |
완성형 |
1-1. 모양이 비슷한 한자의 음과 뜻을 각각 쓰시오. [2점]
모양 侍 |
모양 待 |
||
음 |
뜻 모시다 |
음 대 |
뜻 |
1-2. 제시된 한자의 뜻을 각각 쓰시오. [2점]
모양 貴 |
모양 賤 |
||
뜻 |
음 귀 |
뜻 |
음 천 |
1-3. 제시된 한자의 공통된 음을 각각 쓰시오. [2점]
음 |
모양 心 |
|
음 |
모양 修 |
뜻 마음 |
뜻 닦다 |
|||
모양 深 |
모양 守 |
|||
뜻 깊다 |
뜻 지키다 |
▣ 채점 기준표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서답형 (완성형) |
한자의 모양·음·뜻 구별하기 | 6점 | 한자의 모양에 따른 음과 뜻을 정확하게 모두 작성함 |
5점 | 한자의 모양에 따른 음 또는 뜻을 5개 작성함 | ||
4점 | 한자의 모양에 따른 음 또는 뜻을 4개 작성함 | ||
3점 | 한자의 모양에 따른 음 또는 뜻을 3개 작성함 | ||
2점 | 한자의 모양에 따른 음 또는 뜻을 2개 작성함 | ||
1점 | 한자의 모양에 따른 음 또는 뜻을 1개 작성함 | ||
0점 | 한자의 모양에 따른 음과 뜻을 전혀 작성하지 못함 |
❂ 예시답안
1-1 시, 기다리다
1-2 귀하다, 천하다
1-3 심, 수
❂ 정답 해설
1-1의 모양 ‘侍’, 뜻 ‘모시다’를 동시에 충족하는 글자의 음은 ‘시’이고, 모양 ‘待’, 음 ‘대’를 동시에 충족하는 글자의 뜻은 ‘기다리다’이다.
1-2의 모양 ‘貴’, 음 ‘귀’를 동시에 충족하는 글자의 뜻은 ‘귀하다’이고, 모양 ‘賤’, 음 ‘천’을 동시에 충족하는 글자의 뜻은 ‘천하다’이다.
1-3의 모양 ‘心’, 뜻 ‘마음’을 동시에 충족하는 음은 ‘심’이고, 모양 ‘深’, 뜻 ‘깊다’를 동시에 충족하는 음은 ‘심’이다. 따라서 두 글자의 공통된 음은 ‘심’이다. 모양 ‘修’, 뜻 ‘닦다’를 동시에 충족하는 음은 ‘수’이고, 모양 ‘守’, 뜻 ‘지키다’를 동시에 충족하는 음은 ‘수’이다. 따라서 두 글자의 공통된 음은 ‘수’이다.
(2) 고등학교 한문-2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한자와 어휘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9한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 | A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 ||||||
B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대체로 구별할 수 있다. | |||||||
C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부분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 |||||||
D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요소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설명하기 각각의 원리에 따라 한자 분류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서ㆍ논술형 | 성취수준 | A~C | 배점 | 7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중 상형, 지사, 회의를 이해하고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에 맞게 한자를 구별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성취수준 A, B, C를 고려하여 출제한 문항으로, 이 문항을 맞힌 학생은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에 맞게 한자를 구별할 수 있다. 정답을 맞히지 못한 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에 대해 스스로 정보를 탐색하는 학습 과정을 계획한다. 아울러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에 각각 해당하는 한자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
2 | 평가 도구 |
서ㆍ논술형 |
1-1.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조건]에 따라 서술하시오. [3점]
[조건]
ㆍ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중 ‘상형, 지사, 회의’ 세 가지만 서술할 것
ㆍ [예시]와 같이 ㉠, ㉡으로 나누어 서술할 것.
[예시] 형성은 ㉠ (한자의 뜻과 관련 있는 모양과 음이 합쳐진 것)이라는 뜻으로, ㉡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두 개 이상 결합하되 일부는 뜻을 나타내고 일부는 음을 나타내는 글자)를 만드는 방법이다. |
1-2. <보기>의 한자를 각각의 원리에 따라 2개씩만 골라 분류하시오. [4점]
<보기> 下 羽 本 休 魚 聞 泳 畓 |
① 상형:
② 지사:
③ 회의:
④ 형성:
❂ 채점 기준
▣ 채점 기준표
문항 | 채점요소 | 척도 (점수) |
수행특성 | |
1-1 | 설명하기 | 3점 | - 상형, 지사, 회의에 대한 설명이 모두 정확하다. | |
예시답안 | - 상형은 ㉠(모양을 본뜨다)라는 뜻으로 ㉡(구체적인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글자)를 만드는 방법이다. - 지사는 ㉠(어떤 일을 가리키다)라는 뜻으로 ㉡(추상적인 생각이나 뜻을 점이나 선으로 나타내는 글자)를 만드는 방법이다. - 회의는 ㉠(뜻을 모으다)라는 뜻으로 ㉡(이미 만들어진 글자의 뜻을 두 개 이상 결합하여 새로운 뜻을 나타내는 글자)를 만드는 방법이다. |
|||
2점 | - 상형, 지사, 회의 중 2가지가 정확하다. | |||
1점 | - 상형, 지사, 회의 중 1가지가 정확하다. | |||
0점 | - 상형, 지사, 회의에 대한 설명이 모두 정확하지 않다. | |||
예시답안 | - 그 외 답안 - 무응답 |
|||
1-2 | 분류하기 | 4점 | - 상형, 지사, 회의, 형성에 따른 분류가 모두 정확하다. | |
예시답안 | - 상형: 羽, 魚 모두 열거 - 지사: 下, 本 모두 열거 - 회의: 休, 畓 모두 열거 - 형성: 聞, 泳 모두 열거 |
|||
3점 | - 상형, 지사, 회의, 형성에 따른 분류 중 3가지 원리가 정확하다. | |||
2점 | - 상형, 지사, 회의, 형성에 따른 분류 중 2가지 원리가 정확하다. | |||
1점 | - 상형, 지사, 회의, 형성에 따른 분류 중 1가지 원리가 정확하다. | |||
0점 | - 상형, 지사, 회의, 형성에 따른 분류가 전혀 정확하지 않다. | |||
예시답안 | - 그 외 답안 - 무응답 |
❂ 예시 답안
[1-1] 상형은 ㉠(모양을 본뜨다)라는 뜻으로 ㉡(구체적인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글자)를 만드는 방법이고, 지사는 ㉠(어떤 일을 가리키다)라는 뜻으로 ㉡(추상적인 생각이나 뜻을 점이나 선으로 나타내는 글자)를 만드는 방법이며, 회의는 ㉠(뜻을 모으다)라는 뜻으로 ㉡(이미 만들어진 글자의 뜻을 두 개 이상 결합하여 새로운 뜻을 나타내는 글자)를 만드는 방법이다.
[1-2] ① 상형: 羽, 魚
② 지사: 下, 本
③ 회의: 休, 畓
④ 형성: 聞, 泳
(3) 고등학교 한문-3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한자와 어휘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한문01-03]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 A | 단어의 짜임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 ||||||||
B | 단어의 짜임을 대체로 구별할 수 있다. | |||||||||
C | 단어의 짜임을 부분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 |||||||||
D | 단어의 짜임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단어의 짜임을 안내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요소 | 단어의 짜임을 구별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선다형 | 성취수준 | A~E | 배점 | 2 | 정답 | ➃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이 문항은 글 안에 있는 단어의 짜임을 구별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정답을 맞히지 못한 학생들을 위해 단어의 짜임의 개념 및 종류와 종류에 따른 예시 단어를 제시하여 학습을 돕는다. 이를 통해 다양한 추가 사례에 적용해 보게 하는 활동을 계획할 수 있다. 학생들은 다양한 사례를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단어의 짜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적용 능력을 신장할 수 있을 것이다. |
2 | 평가 도구 |
※ ㉠과 짜임이 같은 것은? [2점]
夫㉠天地者, 萬物之逆旅, 光陰者, 百代之過客. -이백, 「춘야연도리원서」- |
① 讀書 ② 夜深 ③ 洗手 ④ 父母 ⑤ 難解
❂ 정답 해설
제시된 문장에서 ㉠ ‘天地’는 ‘하늘과 땅’으로 풀이하고 단어의 짜임은 ‘병렬 관계’이다. ① ‘讀書’는 ‘책을 읽음’으로 풀이하고 단어의 짜임은 ‘술목 관계’이다. ② ‘夜深’은 ‘밤이 깊음’으로 풀이하고, 단어의 짜임은 ‘주술 관계’이다. ③ ‘洗手’는 ‘손을 씻음’으로 풀이하고, 단어의 짜임은 ‘술목 관계’이다. ④ ‘父母’는 ‘아버지와 어머니’로 풀이하고, 단어의 짜임은 ‘병렬 관계’이다. ⑤ ‘難解’는 ‘풀기 어려움’으로 풀이하고, 단어의 짜임은 ‘술보 관계’이다. 따라서 ㉠ ‘天地’와 단어의 짜임이 같은 것은 ④ ‘父母’이다.
(4) 고등학교 한문-4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한자와 어휘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한문01-08]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 A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상호 이해와 교류를 위한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수 있다. | ||||||||
B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상호 이해와 교류를 위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 |||||||||
C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상호 이해의 필요성에 공감할 수 있다. | |||||||||
D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제한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요소 | 한자 문화권 나라들의 언어문화를 익혀 상호 이해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선다형 | 성취수준 | A~C | 배점 | 2 | 정답 | ➃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한자 문화권 나라들의 언어문화를 익혀 상호 이해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성취수준 A, B, C 를 고려하여 출제한 문항으로 한자 문화권에 속한 나라들의 언어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국가 간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 출제하였다. 정답을 맞히지 못한 학생들을 위해 한자 문화권 안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한자 어휘를 다양하게 제시하여 익힐 수 있도록 학습을 설계하고 뒤에 한자문화권 단어 사전 만들기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2 | 평가 도구 |
선다형 |
※ 단어장의 내용으로 보아 ㉠에 들어갈 것은? [2점]
타이완 : 쉬는 날 [假日]
한국 : 쉬는 날 [㉠日]
① 平 ② 昨 ③ 來 ④ 休 ⑤ 明
❂ 정답 해설
㉠에 ① ‘平’이 들어가면 ‘일요일이나 명절, 공휴일이 아닌 보통의 날’을 의미하고, ② ‘昨’이 들어가면 ‘오늘의 바로 전날’을 의미하고, ③ ‘來’가 들어가면 ‘오늘의 바로 다음날’을 의미하고, ④ ‘休’가 들어가면 ‘쉬는 날’을 의미하고, ⑤ ‘明’이 들어가면 ‘오늘의 바로 다음날’을 의미한다. 따라서 ‘假日’ ‘쉬는 날’과 같은 의미가 되려면 ④ ‘休’가 들어가야 한다.
(5) 고등학교 한문-5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문장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한문02-01] 문장의 구조와 유형 을 구별한다. |
A |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 ||||||
B |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대체로 구별할 수 있다. | |||||||
C |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부분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 |||||||
D |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요소 | 문장의 구조와 유형 구별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완성형 | 성취수준 | A~C | 배점 | 6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문장의 구조를 분석할 수 있으며 문장의 유형을 구별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성취수준 A, B, C를 고려하여 출제한 문항으로, 이 문항을 맞힌 학생은 문장의 구조를 분석하고 문장의 유형을 부분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정답을 맞히지 못한 학생들을 위해 단어의 짜임과 문장 성분에 대한 개념을 재학습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다양한 문장 유형의 사례를 제공하여 개념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2 | 평가 도구 |
완성형 |
1-1. <보기>와 같이 문장의 구조를 분석하시오. [4점]
+ = ② 君子(군자) + 憂(근심하다) + 道(도) = 군자가 도를 근심하다 + + = ③ 良藥(양약) + 苦(쓰다) + 於口(입에) = 좋은 약이 입에 쓰다 + + = ④ 孔子(공자) + 問(묻다) + 禮(예) + 於老子(노자에게)= 공자가 노자에게 예를 묻다 + + + = |
1-2. 메모장의 내용을 보고 ㉠에 들어갈 문장 유형을 쓰시오. [2점]
문장 | 己所不欲, 勿施於人. |
한자익히기 | 欲: 하고자하다, 勿: ~하지 마라, 於: ~에게 |
문장풀이 | 자기가 하고 싶지 않은 일을 남에게 베풀지 말라. |
중심내용 | 상대의 처지에서 생각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갖자. |
문장유형 | ( ㉠ ) |
❂ 채점 기준
▣ 채점 기준표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완성형 | 문장 구조 분석 |
4점 | 문장 구조 4개 유형을 모두 정확하게 분석한다. |
3점 | 문장 구조 4개 중 3개를 정확하게 분석한다. | ||
2점 | 문장 구조 4개 중 2개를 정확하게 분석한다. | ||
1점 | 문장 구조 4개 중 1개를 정확하게 분석한다. | ||
0점 | 문장 구조 4개를 전혀 분석하지 못한다. |
❂ 예시 답안
① 주어 + 서술어= 주술구조
② 주어 + 서술어+목적어= 주술목구조
③ 주어 + 서술어 + 보어= 주술보구조
④ 주어 + 서술어 + 목적어+ 보어= 주술목보구조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1-2 완성형 |
문장 유형 구별 |
2점 | 문장의 유형을 정확하게 파악한다. |
0점 | 문장의 유형을 전혀 파악하지 못한다. |
❂ 예시 답안
명령문
(6) 고등학교 한문-6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문장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한문02-02] 글을 의미에 맞게 읽는다. | A |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다. | ||||||||
B |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대체로 읽을 수 있다. | |||||||||
C |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부분적으로 읽을 수 있다. | |||||||||
D | 글을 부분적으로 읽을 수 있다. | |||||||||
E | 글을 설명에 따라 읽을 수 있다. | |||||||||
평가 요소 | 글을 의미에 맞게 읽기 | |||||||||
평가 도구 유형 | 선다형 | 성취수준 | A~C | 배점 | 2 | 정답 | ➀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바르게 읽을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성취수준 A, B, C를 고려하여 출제한 문항으로, 이 문항을 맞힌 학생은 글을 의미에 맞게 읽을 수 있다. 정답을 맞히지 못한 학생들을 위해 한자에는 한 가지 음만 있는 것이 아니라 글의 의미에 따라 음도 달라지는 한자가 있음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
2 | 평가 도구 |
선다형 |
※ 글의 의미에 맞게 ㉠과 ㉡을 바르게 읽은 것은? (2점)
騎馬, 欲㉠率奴. - 『순오지』 - 諸將㉡易得耳, 至如信者, 國士無雙. - 『사기』 - |
㉠ ㉡ ㉠ ㉡ ㉠ ㉡
① 솔 이 ② 솔 역 ③ 솔 난
④ 율 이 ⑤ 율 역
❂ 정답 해설
첫 문장은 ‘말을 타면 종을 거느리고자 한다’라는 뜻으로 ㉠은 글의 의미상 ‘거느리다’라는 뜻으로 쓰였기 때문에 ‘솔’로 읽어야 한다. 두 번째 문장은 ‘여러 장수는 얻기 쉬우나 한신 같은 자에 이르러서는 나라의 둘도 없는 뛰어난 인물입니다.’라는 뜻으로 ㉡은 글의 의미상 ‘쉽다’라는 뜻으로 쓰였기 때문에 ‘이’로 읽어야 한다. 따라서 ㉠과 ㉡의 음은 각각 ‘솔’와 ‘이’로 정답은 ①번이다.
(7) 고등학교 한문-7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문장, 한자와 어휘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한문02-03] 글을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한다. | A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의 내용과 주제를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 ||||||
B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의 내용과 주제를 대체로 설명할 수 있다. | |||||||
C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의 내용과 주제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 |||||||
D | 글의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글의 내용을 안내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12한문01-06]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른다. | A |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 ||||||
B |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할 수 있다. | |||||||
C | 단어와 성어를 활용하여 소통할 수 있다. | |||||||
D | 단어와 성어를 활용할 수 있다. | |||||||
E | 단어와 성어를 안내에 따라 활용할 수 있다. | |||||||
평가 요소 | 글을 바르게 풀이하기 내용과 주제 설명하기 성어 활용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서ㆍ논술형 | 성취수준 | A~E | 배점 | 6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을 풀이하고 이를 통해 글의 주제를 성어를 활용하여 설명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이 문항을 맞히지 못한 학생들을 위해 문장에서 사용된 허사의 쓰임, 품사의 활용 등에 대한 학습 계획을 수립하고 길고 어려운 문장보다 2자, 3자, 4자 점진적으로 글자를 확장하여 글의 풀이를 바르게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아울러 성어를 바르게 풀이하는 것부터 학습을 재설계해야 할 것이다. 글의 주제는 글의 의미를 설명하면서 동시에 성어를 활용할 수 있는지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도구를 개발한다. |
2 | 평가 도구 |
서ㆍ논술형 |
※ (가), (나)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人一能之, 己百之, 人十能之, 己千之.
- 『중용』 -
(나) 自強不息
1-1 (가)를 바르게 풀이하시오. [2점]
1-2 (가)의 주제를 [조건]에 맞게 서술하시오. [4점]
[조건] ㆍ 배움과 관련하여 글의 내용을 서술할 것. ㆍ (나)를 활용하여 서술할 것. |
❂ 채점 기준
▣ 채점 기준표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
서·논술 | 풀이하기 | 2점 | - 문장을 정확하게 풀이한다. | ||
예시답안 | 남이 한 번에 능하거든 나는 백 번을 하며 남이 열 번에 능하거든 나는 천 번을 하여야 한다. | ||||
1점 | - 문장을 일부 풀이하지 못한다. | ||||
0점 | - 문장을 전혀 풀이 하지 못한다. | ||||
예시답안 | - 그 외 답안 - 무응답 |
||||
주제 설명 하기 |
글의 내용 | 2점 | - 학문과 관련하여 글의 내용을 정확하게 설명한다. | ||
예시답안 | 배움은 남이 한 번 묻고, 생각하여 할 수 있다면 나는 백 번을 묻고 생각하며 애써 알고 힘써 실천해야 한다. | ||||
1점 | - 배움과 관련하여 글의 내용을 일부만 설명한다. | ||||
0점 | 예시답안 | - 그 외 답안 - 무응답 |
|||
성어활용하기 | 2점 | - 성어를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서술한다. | |||
예시답안 | 自強不息의 자세로 몸과 마음을 가다듬고 잠시도 쉬지 않고 배우고 익혀야 한다. | ||||
1점 | - 성어는 활용하였으나 자연스럽게 서술하지 못한다. | ||||
0점 | 예시답안 | - 그 외 답안 - 무응답 |
❂ 예시 답안
1-1 남이 한 번에 능하거든 나는 백 번을 하며 남이 열 번에 능하거든 나는 천 번을 하여야 한다.
1-2 학문은 남이 한 번 묻고, 생각하여 할 수 있다면 나는 백 번을 묻고 생각하며 애써 알고 힘써 실천해야 하며, 自強不息의 자세로 몸과 마음을 가다듬고 잠시도 쉬지 않고 배우고 익혀야 한다.
▣ 채점 시 고려사항
1. 주어진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기술하였는가.
2. 지식을 재구성하여 근거를 제시하되 완결성과 논리성이 충분한가.
(8) 고등학교 한문-8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문장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한문02-03] 글을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한다. | A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의 내용과 주제를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 ||||||
B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의 내용과 주제를 대체로 설명할 수 있다. | |||||||
C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의 내용과 주제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 |||||||
D | 글의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글의 내용을 안내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12한문02-04] 한시의 특징을 통해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 A | 한시의 형식과 특징 및 시상 전개 방식을 익혀 한시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 ||||||
B | 한시의 형식과 특징 및 시상 전개 방식을 익혀 한시의 내용을 대체로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 |||||||
C | 한시의 특징을 익혀 한시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 |||||||
D | 한시의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한시의 내용을 안내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요소 | 글을 풀이하기 한시의 특징 이해하기 한시 감상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서ㆍ논술형 | 성취수준 | A~E | 배점 | 10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한시를 풀이하고 한시의 특징을 통해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학생들의 답안에 따라 해당 내용의 성취수준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수준별 피드백이 가능하며, 피드백을 제공할 때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까지 제시할 수 있다. 한시의 시체, 압운, 대우, 시상전개 방식 등은 한시의 특징에 해당하는데, 특징 자체를 암기하는 데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특징에 대한 이해가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도하고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2 | 평가 도구 |
서ㆍ논술형 |
※ 다음 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花開昨夜雨 ⓑ花落今朝風 可憐一春事 往來風雨中 - 송한필,「偶吟」- (나) 為問桃花泣 如何細雨中 主人多病久 ⓒ無意笑春風 - 이행진,「病中詠桃」- |
1-1. 다음은 ⓐ과 ⓑ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말을 [조건]에 맞게 쓰시오. [3점]
ⓐ와 ⓑ는 내용상으로나 어법상으로 짝을 이루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공통적으로 꽃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동일한 문장 구조에서 開/落, ( ㉠ )/( ㉡ )와(과) 같이 서로 대비되는 한자 또는 어휘를 사용하여 ⓐ는 ‘어젯밤 비에 꽃이 피어난’ 모습을, ⓑ는 ( ㉢ ) 모습을 표현하였다. |
[조건] ㆍ ㉠, ㉡은 각각 2음절의 한자로 쓸 것 ㆍ ㉢은 한글로 쓸 것 |
㉠ ㉡
㉢
1-2. ⓒ와 같이 말한 이유를 [조건]에 맞게 쓰시오. [7점]
[조건] ㆍ ⓒ의 풀이를 포함하여 쓸 것 ㆍ (나) 시에 드러난 내용으로만 한정하여 쓸 것 ㆍ ⓒ에 담긴 꽃의 정서를 찾고 감상을 포함하여 쓸 것 |
❂ 채점 기준
▣ 채점 기준표
1-1 [3점]
문항 | 채점 요소 |
하위 채점 요소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
1-1 | 한시의 특징 이해 하기 |
㉠ 상대적 의미의 시어 찾기 |
1점 | 대우법에 근거하여 상대적 의미의 시어를 한자로 정확하게 씀. |
0점 | 의미를 벗어난 답안, 무응답 | |||
유사 정답 |
昨夜와 今朝의 순서는 바뀌어도 무관함. | |||
㉡ 상대적 의미의 시어 찾기 |
1점 | 대우법에 근거하여 상대적 의미의 시어를 한자로 정확하게 씀. | ||
0점 | 의미를 벗어난 답안, 무응답 | |||
유사 정답 |
昨夜와 今朝의 순서는 바뀌어도 무관함. | |||
㉢ 내용 이해 |
1점 | 대우법의 특징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기술함. | ||
0점 | 의미를 벗어난 답안, 무응답 | |||
유사 정답 |
[오늘 아침/ 바람에/ 꽃이/ 떨어지다]의 요소가 포함되고 맥락적 의미가 일치하면 정답으로 인정. |
1-2 [7점]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
1-2 | 시구의 풀이 | 2점 | 시구를 정확하게 풀이함. | |
1점 | 시구 풀이에 오류가 있음. | |||
0점 | 의미를 벗어난 답안, 무응답 | |||
내용 이해 |
2점 | 시의 내용을 고려하여 이유를 정확하게 기술함. | ||
예시답안 | 주인이 오랫동안 병석에 누워있어서 | |||
1점 | 이유를 기술하였으나 오류가 있음. | |||
0점 | 의미를 벗어난 답안, 무응답 | |||
정서 찾기 | 2점 | 꽃의 정서를 정확하게 찾음 | ||
1점 | 꽃의 정서를 찾았으나 오류가 있음. | |||
0점 | 의미를 벗어난 답안, 무응답 | |||
감상 쓰기 |
1점 | 감상을 포함하여 기술함. | ||
0점 | 감상을 기술하지 않음, 무응답 |
▣ 채점 시 고려사항
1. 한시의 특징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기술하였는가.
2. 한자 및 시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시를 적절하게 감상하였는가.
❂ 예시 답안
1-1. ㉠ 昨夜 ㉡ 今朝 ㉢ 오늘 아침 바람에 꽃이 떨어지는
1-2. ⓒ는 ‘봄바람에도 웃을 마음이 없다.’라고 풀이할 수 있다. 이 구절의 화자는 꽃이다. 비를 맞고 울고 있는 복숭아꽃. 그렇다면 복숭아꽃은 왜 울고 있을까? 꽃의 주인이 오랫동안 병석에 누워계시기 때문이다. 이 부분에서는 꽃의 안타까움이 전해진다. 꽃을 피워도 꽃을 보고 감탄하며 즐거워해 줄 주인이 병석에 계시니 꽃 피우는 보람이 없다. 그러니 봄바람 부는 것이 마냥 좋을 수만은 없지 않을까.
❂ 한시 풀이
(가) 어젯밤 비에 꽃이 피더니 / 오늘 아침 바람에 꽃이 떨어지네 / 애달프다 한 철 봄이 / 비바람 속에 왔다 가는구나!
(나) 복숭아 꽃 울고 있어 묻노니/ 가랑비 속 무엇 때문에 그러한가 / 주인께서 많은 병환 오래인터라 / 봄바람에도 웃을 마음이 없네요.
(9) 고등학교 한문-9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문장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한문02-03] 글을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한다. | A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의 내용과 주제를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 ||||||
B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의 내용과 주제를 대체로 설명할 수 있다. | |||||||
C |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글의 내용과 주제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 |||||||
D | 글의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글의 내용을 안내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12한문02-05]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을 함양한다. | A |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적용할 수 있다. | ||||||
B |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다. | |||||||
C |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할 수 있다. | |||||||
D |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제한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요소 | 글의 내용 이해하기 글의 풀이를 통해 주제 파악하기 글 속 선인들의 지혜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적용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서ㆍ논술형 | 성취수준 | A~E | 배점 | 20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글을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와 글 속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그것을 자신의 삶에 적용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학생들의 답안에 따라 해당 내용의 성취수준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수준별 피드백이 가능하며, 피드백 제공 시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까지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풀이 부분부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면 한자의 개별적인 뜻을 문장 풀이로 연결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가 필요하며, 선인들의 지혜에는 공감하지만 자신의 삶에 적용할 방법을 찾기 어려워한다면 적용 방법의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이 문항을 통해 학습자의 사고와 경험이 통합될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단편적 지식을 넘어, 지식을 탐구하고 재구성하여 자신의 생각을 실생활 맥락에 대입하여 도출할 수 있도록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2 | 평가 도구 |
서ㆍ논술형 |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昔, 黃相國喜, 微時, 行役, 憩于路上, 見田父駕二牛耕者, 問曰: “二牛何者爲勝?”田父不對, 輟耕而至, 附耳細語曰: “此牛勝.” 公怪之曰:“何以附耳相語?”田父曰:“㉠雖畜物, 其心與人同也.”“此勝則彼劣, 使牛聞之, 寧無不平之心乎?”公. 大悟, 遂不復言( ㉡ )云. - 『지봉유설』 - (나) 一語傷人, 痛如刀割. - 『명심보감』 - |
1. ㉠을 풀이하시오. [3점]
2. (가)의 ㉡에 들어갈 내용을 [조건]에 맞게 쓰시오. [3점]
[조건] ㆍ (가)의 전체적인 내용을 고려하여 우리말로 쓸 것 |
3. ‘선인의 지혜를 적용하는 삶’에 대해 [조건]에 맞게 논술하시오.
[14점]
[조건] ㆍ (가)의 전체적인 내용을 고려하여 우리말로 쓸 것 ㆍ (나)의 풀이를 활용하여 맥락에 맞게 논술할 것 |
❂ 채점 기준
▣ 채점 기준표
1. [3점]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
논 1 |
㉠ 문장 풀이 | 3점 | 단어와 구절을 고려하여 문장을 정확하게 풀이함. [6요소 이상] | |
예시답안 | 비록 가축이라도 그 마음은 사람과 같습니다. | |||
2점 | 단어와 구절을 고려하여 문장을 대체로 풀이함. [3-5요소] | |||
1점 | 단어와 구절을 고려하여 문장을 부분적으로 풀이함. [2요소 이하] | |||
0점 | 의미를 벗어난 답안, 무응답 | |||
채점 요소 분석 |
풀이의 필수 요소를 7가지[비록/가축이더라도/그/마음은/사람/과/같다]로 분석하고 해당 요소에 대한 풀이가 정확하게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함. |
2. [3점]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
논 2 |
내용 파악 하기 |
3점 | 글의 전체적인 내용을 고려하여 구절의 의미를 기술함. | |
예시답안 | 남의 장점과 단점 / 남을 비교하기 | |||
2점 | 기술에 일부 오류가 있음. | |||
1점 | 기술 대부분에 오류가 있음. | |||
0점 | 의미를 벗어난 답안, 무응답 | |||
유사 정답 |
‘장점과 단점’이라는 구체적 표현 외에 ‘비교하는 표현’ ‘비교하기’ 등의 논의는 정답으로 인정함. |
3. [14점]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
논 3 |
주제 찾기 |
3점 | 글의 주제를 정확하게 찾음. | |
예시답안 | 다른 사람을 비교하여 상처를 주는 일은 하지 말아야 한다. | |||
2점 | 글의 주제 찾기에 일부 오류가 있음. | |||
1점 | 글의 주제 찾기에 대부분 오류가 있음. | |||
0점 | 의미를 벗어난 답안, 무응답 | |||
적용 방법 제시 |
3점 | 제시된 적용 방법이 적절하며 실천 가능성 있음. | ||
예시답안 | 친구를 흉보거나 비교하는 말을 하지 않겠다. | |||
2점 | 제시된 적용 방법이 적절하나 실천 가능성이 부족함. | |||
1점 | 제시된 적용 방법이 적절하지 못하고 실천 가능성도 부족함. | |||
0점 | 의미를 벗어난 답안, 무응답 | |||
문장 연결 하기 |
3점 | 주제에 대한 생각을 (나)문장과 정확하게 연결하여 매끄럽게 기술함. | ||
예시답안 | 생각 없이 던진 비교의 말이 누군가에게는 칼로 베이는 것처럼 아픈 상처가 된다. | |||
2점 | 주제에 대한 생각과 선정 문장의 연결이 다소 어색함. | |||
1점 | 주제에 대한 생각과 선정 문장 연결의 설득력과 타당성이 부족함. | |||
0점 | 의미를 벗어난 답안, 무응답 | |||
(나) 문장 풀이 |
2점 | 문장을 정확하게 풀이함. | ||
1점 | 문장 풀이에 오류가 있음. | |||
0점 | 의미를 벗어난 답안, 무응답 | |||
논리 전개의 타당성 |
3점 | 선인의 지혜를 적용하는 삶에 대한 자신의 논리가 타당하고 설득력 있음. | ||
2점 | 선인의 지혜를 적용하는 삶에 대한 논리의 타당성과 설득력이 다소 부족함. | |||
1점 | 선인의 지혜를 적용하는 삶에 대한 논리의 타당성과 설득력이 매우 부족함 | |||
0점 | 의미를 벗어난 답안, 무응답 |
▣ 채점 시 고려사항
1. 주어진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기술하였는가.
2. 지식을 재구성하여 근거를 제시하되 완결성과 논리성이 충분한가.
❂ 예시 답안
1. 비록 가축이라도 그 마음은 사람과 같다.
2. 남의 장점과 단점 / 남을 비교하기
3. 선인의 지혜를 적용하는 삶이란 무엇일까? 선인들이 남긴 글을 읽고 그 글 속에서 얻은 교훈을 삶에 적용하여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선인의 지혜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선인의 지혜를 배울 수 있는 글을 읽어야 한다. 바로 (가)와 같은 글이다. (가) 글은 황희 정승의 일화로, 벼슬도 없이 시골길을 걷다가 얻게 된 깨달음에 관한 이야기이다. 밭을 갈고 있는 두 마리 소에 관한 질문을 던졌다가 가축조차도 비교하지 않으려는 농부의 태도에 큰 깨달음을 얻은 황희. 이 글의 주제는 [어떤 것도 비교하여 상처를 주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황희 정승의 이야기가 주는 지혜를 나는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나) 문장 속에 실천 방법의 열쇠가 있다. (나) 문장은 [한 마디 말로 남을 상하게 하는 것은 아프기가 칼로 베는 것과 같다.]는 뜻이다. 짧은 말로도 큰 상처를 남길 수 있다는 뜻이다. 상처를 주는 말로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비교하며 평가하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타인을 함부로 비교하고 평가하는 말은 결국 칼로 그 사람을 베는 것과 같은 행위가 아닐까. 친구가 있는 자리나 없는 자리를 구분하지 않고 함부로 비교하거나 그의 단점을 흉보지 않는 태도를 지니고 싶다. 황희 정승이 한 번의 깨달음으로 다시는 남의 장단점을 이야기하지 않았던 것과 같이 나 역시 친구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비교하지 않는 태도를 가지도록 노력해야겠다. 이런 하루하루가 쌓일 때 선인의 지혜를 적용하며 성숙해지는 삶이 가능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10) 고등학교 한문-10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한문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한자와 어휘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한문01-05] 단어와 성어를 읽고 풀이한다. | A | 단어와 성어를 정확하게 읽고 풀이할 수 있다. | ||||||
B | 단어와 성어를 대체로 읽고 풀이할 수 있다. | |||||||
C | 단어와 성어를 부분적으로 읽고 풀이할 수 있다. | |||||||
D | 단어와 성어를 읽을 수 있다. | |||||||
E | 단어와 성어를 설명에 따라 읽을 수 있다. | |||||||
[12한문01-06]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른다. | A |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 ||||||
B |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할 수 있다. | |||||||
C | 단어와 성어를 활용하여 소통할 수 있다. | |||||||
D | 단어와 성어를 활용할 수 있다. | |||||||
E | 단어와 성어를 안내에 따라 활용할 수 있다. | |||||||
[12한문01-07] 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삶의 다양한 태도와 가치를 탐색한다. | A | 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자신의 생활과 적극적으로 연계할 수 있다. | ||||||
B | 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생활과 연계할 수 있다. | |||||||
C | 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할 수 있다. | |||||||
D | 성어의 뜻과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성어의 뜻과 유래를 제한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요소 | 성어의 음과 뜻 파악하기 성어의 풀이를 바탕으로 뜻과 유래 설명하기 성어 활용의 사례 제시하기 성어 속 다양한 삶의 가치 탐색하고 수용 방법 찾기 |
|||||||
평가 도구 유형 | 프로젝트, 구술ㆍ발표 | 성취수준 | A~E | 배점 | 25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이 평가는 ‘학습자 스스로 성어의 유래와 겉뜻ㆍ속뜻을 조사하여 발표하는 프로젝트 수업’의 과정에서 해당 단계별로 학생에게 수행 과제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특히, 학생이 교수자가 되어 직접 성어를 가르친다는 것이 특징이다. 본 평가의 핵심 요소는 네 가지이다. 첫째, 성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탐색하여 수업으로 구성할 수 있는가, 둘째, 맡겨진 역할에 충실하게 수업 전략을 실행할 수 있는가, 셋째, 모둠 구성원들과 협력적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가. 넷째, 평가자로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가이다. 다만, 발표 수업을 진행하기에 앞서 ‘성어의 검색 및 유의미한 정보 선정 방법’을 익히기 위해 ‘연습 시간’이 필요하며, 이 사전 활동 또한 평가의 대상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를 명확히 알고 시작할 때, 프로젝트 주제와 방법을 학생 스스로 결정하고 추진할 수 있는 동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어 발표를 진행하는 단위는 학생의 수준과 형편을 고려하여 개인 활동, 짝 활동, 모둠 활동으로 변용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2인 1조의 모둠을 구성하여 진행한 경우를 제시하였다. |
2 | 평가 도구 |
프로젝트, 구술ㆍ발표 |
가. 교수ㆍ학습 활동 및 평가 계획
학습 단계 | 교수ㆍ학습 활동 | 평가 계획 |
1차시 | • 모둠 정하기 - 모둠별 약속 정하기 • 발표 일정 정하기 • [교학상장 프로젝트, 성어로 선생님 되기] 활동 개요 안내 - 활동 목표, 유의 사항, 평가 준거, 기록 예시 안내 |
|
⟱ | ⟱ | |
2차시 | • 활동을 위한 기초 학습Ⅰ - 성어의 의미와 종류 - 성어의 겉뜻과 속뜻 - 성어의 유래 검색하기 및 유의미한 정보 정리하기 - 성어의 활용 예시 검색하기 및 유의미한 정보 정리하기 - 다양한 수업 전략 안내 |
|
⟱ | ⟱ | |
3차시 | • 활동을 위한 기초 학습 Ⅱ - 2인 1조 구성 - 짝 단위로 1개 성어를 선정하여 [성어로 선생님 되기] 전체 과정을 연습하기 - 검색 → 유의미한 정보 판단하기 → 정리하기 → 수업 전략 선정하기 → ‘나의 수업 특징’ 설명하기 |
수행평가 과제1 개인 단위 평가 - 성어 연습 활동지 작성 및 제출 |
⟱ | ⟱ | ⟱ |
4차시 | • 모둠 단위 프로젝트 계획서 작성 및 제출 - 모둠별 성어 주제 선정 [학문, 우정, 자연, 뛰어남 등] - 성어 선정 - 모둠 내 개인 역할 정하기 - 모둠별 발표 특징 정하기 [동기 유발 방법, 수업 전략 구안하기] |
교사 피드백 모둠 프로젝트 계획서에 대한 교사 피드백 제공 |
⟱ | ⟱ |
5차시 | • 모둠별 발표 - 1차시 1개 모둠 발표 또는 1차시 2개 모둠 발표 가능 - 발표 절차: 인사-모둠 내 역할 안내-내용 발표[성어의 겉뜻, 속뜻, 유래, 활용의 예시]-퀴즈 및 복습-질문의 시간 -인사 - 발표 모둠 이외 학생-발표 모둠에 대한 모둠 간 동료 평가 진행 |
수행평가 과제2 개인 및 모둠 단위 평가 - 모둠 내 개인 역할 수행 - 모둠 협력을 통해 완성도 높은 성어 발표 수행 |
⟱ | ⟱ | ⟱ |
6차시 | • 전체 모둠 발표 후 마무리 차시 - 수업 후기 작성 - 자기 평가 및 모둠 내 동료 평가 |
수행평가 과제3 개인 단위 평가 - 모둠 간 동료 평가지 누적 작성 및 제출 (전체 발표 누적 기록) - 자기 평가 및 모둠 내 동료 평가지 작성 및 제출 |
나. 수행 과제 제시
수행 과제1 - 성어 정보 검색 실행: 성어 연습 활동지 작성
수행 과제2 - 성어 발표
[필수 구성 요소]
ㆍ성어를 구성하는 한자의 음과 뜻
ㆍ성어의 풀이와 유래
ㆍ성어 활용의 사례
ㆍ성어 속 다양한 삶의 가치 찾기
수행 과제3 – 동료 평가 및 자기 평가 참여 과정 평가
❂ / 채점 기준
▣ 채점 기준표
□ 수행 과제 1 [6점]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수1 | 성어 풀이의 정확성 | 3점 | 성어 연습 활동지 내 성어의 음ㆍ뜻ㆍ풀이가 정확함. |
2점 | 성어 연습 활동지 내 성어의 음ㆍ뜻ㆍ풀이에 일부 오류가 있음. | ||
1점 | 성어 연습 활동지 내 성어의 음ㆍ뜻ㆍ풀이에 대부분 오류가 있음. | ||
성어 활용 사례 제시 및 정확성 | 3점 | 성어 활용 사례가 제시되었고 정확함. | |
2점 | 성어 활용 사례가 제시되었으나 오류가 있음. | ||
1점 | 성어 활용 사례가 제시되지 않음. |
□ 수행 과제 2 [13점]
문항 | 채점 요소 | 하위 채점 요소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
수2 | 발표 장면에 대한 개인 평가 |
개인역할 수행 |
3 | 모둠 내 개인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함. |
2 | 모둠 내 개인 역할 수행이 다소 부족함. | |||
1 | 모둠 내 개인 역할 수행이 매우 부족함. | |||
정보의 정확성 |
3 | 발표에 활용된 정보 전체가 정확함. | ||
2 | 발표에 활용된 정보 중 일부 오류가 있음. | |||
1 | 발표에 활용된 정보 대부분 오류가 있음. | |||
수업 구성력 |
4 | 성어 학습의 필수 요소가 모두 포함됨. | ||
3 | 성어 학습의 필수 요소 중 한 가지가 누락됨. | |||
2 | 성어 학습의 필수 요소 중 두 가지가 누락됨. | |||
1 | 성어 학습의 필수 요소 중 세 가지가 누락됨. | |||
상호 작용 |
3 |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원활함. | ||
2 |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다소 부족함. | |||
1 |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매우 부족함. | |||
발표 장면에 대한 모둠 평가 |
역할 분담의 적절성 | 발표 모둠의 역할 분담의 적설성과 모둠 내 협력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함. | ||
모둠 내 협력적 의사소통 |
□ 수행 과제 3 [6점]
문항 | 채점 요소 | 하위 채점 요소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
수3 | 동료평가 과정에 대한 평가 |
동료 평가지 완성도 |
3 | 동료 평가지 전체를 완성함. |
2 | 동료 평가지 일부를 완성하지 못함. | |||
1 | 동료 평가지 대부분을 완성하지 못함. | |||
자기평가 과정에 대한 평가 |
자기 평가지 완성도 |
3 | 자기 평가지 전체를 완성함. | |
2 | 자기 평가지 일부를 완성하지 못함. | |||
1 | 자기 평가지 대부분을 완성하지 못함. |
▣ 채점 시 고려사항
1. 모둠 단위로 활동하더라도 구성원 전체에게 ‘동일한 모둠 점수’를 부여하는 것은 지양한다.
2. 모둠 발표를 통해 드러나는 모둠활동 양상은 점수로 평가하지 않고, 정의적 영역의 평가로 진행하여 ‘학교생활기록부 교과세부능력특기사항’에 기록함.
❂ 피드백 방안
성취수준 | 피드백 |
A | ∎성어 검색 연습 과정: 성어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에 진지하게 참여하며, 성어의 필수 요소를 검색하고 유의미한 정보를 선별하는 안목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정보 검색의 전체 과정에서 작성한 성어 연습 활동지도 꼼꼼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성어 발표 장면: 성어를 구성하는 한자의 음과 뜻을 바탕으로 성어를 정확하게 풀이하고 의미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성어의 유래를 적절하게 검색ㆍ정리하였습니다. 해당 성어가 활용되는 다양한 사례를 찾되, 그 적절성을 검증하는 태도가 특히 훌륭합니다. 성어 학습의 네 가지 요소를 빠짐없이 포함하여 설명하였는데, 성어 속에서 다양한 삶의 태도를 발견하고 그 다양성의 의미를 짚으며 자신의 삶과 연결하고자 한 부분은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지식을 일방적으로 설명ㆍ전달하지 않고 친구들과 묻고 대답하며 학습자의 이해 정도를 파악하는 태도는 칭찬하고 싶습니다. 교수자와 학습자가 상호작용하며 충분히 의사소통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모둠 내 역할을 충분히 잘 해주었습니다. ∎동료평가 및 자기평가 과정: 친구들의 발표를 경청하며, 모둠 발표 때마다 정성어린 피드백을 제공하며 함께 공부하고 성장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주었습니다. 자기평가 역시 객관적인 태도로 진지하게 임하며 자신의 공부를 성찰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번 수행의 과정에서 배운 성어 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이후 성어 학습의 범위를 더 확장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
B | ∎성어 검색 연습 과정: 성어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에 참여하며, 성어의 필수 요소를 검색하고 유의미한 정보를 선별하는 안목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정보 검색의 전체 과정에서 성어 연습 활동지를 작성하였는데 일부 완성하지 못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성어 연습 안내지’를 참고하여 어떤 부분이 미완성의 원인이었는지 살펴보면 좋겠습니다. ∎성어 발표 장면: 성어를 구성하는 한자의 음과 뜻을 바탕으로 성어를 풀이하고 성어의 유래를 검색ㆍ정리하였습니다. 발표 내용 중 일부 오류가 있어 선생님과 친구들이 교정해주었습니다. 교정 받은 부분을 한 번 더 살펴보기를 권합니다. 해당 성어가 활용되는 다양한 사례를 적절성까지 검증하면 찾는 태도가 좋았습니다. 성어 학습의 네 가지 요소 중 한 가지를 빠뜨렸지만, 스스로 그 부분을 인식했으므로 ‘성어 발표 안내지’를 참고하여 한 번 확인하면 좋겠습니다. 교수자로서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노력한 모습이 눈에 띄었습니다. 모둠 내 주어진 역할을 다하기 위해 노력한 부분을 칭찬하고 싶습니다. ∎동료평가 및 자기평가 과정: 친구들의 발표를 경청하며, 다른 모둠 발표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며 함께 공부하고 성장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주었습니다. 성어 연습 과정과 발표 장면에서 일부 오류가 있었지만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였으므로 충분히 수정되리라 생각합니다. 성어 학습의 필수 요소를 점검하고 이후 성어 학습에 활용하기를 권합니다. |
C | ∎성어 검색 연습 과정: 성어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에 참여하며, 성어의 필수 요소를 검색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유의미한 정보를 선별하는데 다소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니 ‘성어 연습 안내지’를 참고하여 성어의 유래를 선별하는 과정을 복습하기를 권합니다. 성어 연습 활동지 미완성 부분이 1/3 가량됩니다. 미완성의 원인을 찾아 보완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성어 발표 장면: 성어를 구성하는 한자의 음과 뜻을 바탕으로 성어를 정확하게 풀이하고 성어의 유래를 검색ㆍ정리하였습니다. 해당 성어가 활용되는 사례를 제시하였는데 그 적절성이 부족했습니다. 그 성어가 적절하게 사용되었는지 한 번 점검해보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성어 학습의 네 가지 요소 중 두 가지를 누락시켰습니다. ‘성어 발표 안내지’에 제시된 성어 학습 필수 요소를 한 번 점검해보고, 이후 성어 학습에 활용하기를 제안합니다. 설명 과정에서 일방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질문을 하려고 시도하는 모습이 보기 좋았습니다. 좀 더 적극적인 상호작용의 모습을 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동료평가 및 자기평가 과정: 친구들 발표에 대한 피드백이 다소 부족합니다. 다른 모둠의 발표에도 진지하게 귀를 기울여주기를 부탁합니다. 수행의 과정에서 배부된 ‘안내지’를 숙독하고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으면 친구들이나 선생님을 활용하여 해결하고 넘어가기를 부탁합니다. |
D | ∎성어 검색 연습 과정: 성어 정보 검색에 대한 이해가 부족합니다. ‘성어 연습 안내지’를 꼼꼼하게 읽고 안내에 따라 한 단계씩 천천히 따라해 보기를 권합니다. ∎성어 발표 장면: 성어 발표에 참여하여 자신이 맡은 성어의 설명을 완수했다는 점을 칭찬합니다. 필수 요소가 많이 누락되었지만, 발표 과정에서 선생님과 친구들의 피드백을 통해 어떤 요소가 빠졌는지 알았으리라 생각됩니다. 빠뜨린 요소를 한 번 짚어서 다음 성어 공부 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발표에 익숙하지 않아서 친구들과 상호작용 없이 일방적으로 설명만 했지만 설명에 대해 경청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친구들로 인해 보람을 느꼈으리라 봅니다. 다양한 기회에 발표 경험을 쌓으면서 점점 좋아질테니 자신의 한계에 도전해보길 추천합니다. ∎동료평가 및 자기평가 과정: 친구들의 발표에 소극적인 태도로 임했습니다. 동료평가지와 자기평가지의 내용을 따라 쓰다 보면 자연스럽게 친구들의 발표에 대해 피드백을 주고 자신의 공부를 성찰할 수 있게 됩니다. 수업 과정에 제공되는 안내지와 학습지에 관심을 갖고 읽어주길 권합니다. |
E | ∎성어 검색 연습 과정: 성어 검색의 과정에서 무엇을 해야할지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였습니다. 수행 과정에 제공되는 ‘안내지’에 해당 내용이 꼼꼼하게 기록되어 있으니 자세히 읽어주길 권합니다. 읽어도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은 꼭 선생님과 상의해주세요. ∎성어 발표 장면: 모둠 구성원들과 함께 발표를 위해 앞에 나갔다는 것을 먼저 칭찬하고 싶습니다. 모둠 구성원으로서 최소한의 역할을 한 것이라고 봅니다. 다만, 성어 발표에 참여하지 않은 점은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성어 발표 안내지를 참고하여 성어 학습 필수 요소들이 무엇인지는 꼭 점검하길 권합니다. 이후 성어 공부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동료평가 및 자기평가 과정: 동료평가지와 자기평가의 과정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평가지 양식을 참고해서 한 가지라도 기록하고 고민하는 모습 보여주길 부탁합니다. |
Ⅳ. 고등학교 한문 고전 읽기 성취수준
1.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 수준 | |
[12한고01-01] 한자의 음과 뜻을 알아 글을 읽고 풀이한다. | A | 한자의 음과 뜻을 알아 글을 정확하게 읽고 풀이할 수 있다. |
B | 한자의 음과 뜻을 알아 글을 대체로 읽고 풀이할 수 있다. | |
C | 한자의 음과 뜻을 알아 글을 부분적으로 읽고 풀이할 수 있다. | |
D | 한자의 음과 뜻을 찾아 글을 읽고 풀이할 수 있다. | |
E | 한자의 음과 뜻을 찾아 설명에 따라 글을 읽고 풀이할 수 있다. | |
[12한고01-02]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풀이한다. | A |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정확하게 풀이할 수 있다. |
B |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대체로 풀이할 수 있다. | |
C |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부분적으로 풀이할 수 있다. | |
D | 문장의 구조가 있음을 알아 문장을 제한적으로 풀이할 수 있다. | |
E | 문장의 구조가 있음을 알아 설명에 따라 문장을 풀이할 수 있다. | |
[12한고01-03] 글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과 주제를 파악한다. | A | 글의 배경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
B | 글의 배경에 대한 대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 |
C | 글의 배경에 대한 부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 |
D | 주어진 배경 자료를 바탕으로 글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 |
E | 주어진 배경 자료를 바탕으로 설명에 따라 글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 |
[12한고01-04]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찾아 감상한다. | A |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정확하게 찾아 감상할 수 있다. |
B |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대체로 찾아 감상할 수 있다. | |
C |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부분적으로 찾아 감상할 수 있다. | |
D |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제한적으로 찾을 수 있다. | |
E |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설명에 따라 찾을 수 있다. | |
[12한고01-05]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글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 A |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글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
B |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글을 대체로 이해할 수 있다. | |
C | 주어진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글을 대체로 이해할 수 있다. | |
D | 주어진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글을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
E | 주어진 학습 자료를 설명에 따라 활용하여 글을 이해할 수 있다. | |
[12한고01-06]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통해 진로를 탐색한다. | A |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수행하여 진로 탐색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
B |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수행하여 진로 탐색에 대체로 활용할 수 있다. | |
C |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수행하여 진로 탐색에 부분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
D |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수행하여 진로와 관련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 |
E |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안내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 |
[12한고01-07] 글을 읽고 자신의 삶에 대입하여 반성적으로 사고한다. | A | 글에 담긴 전통적 인성과 인간관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대입하여 반성적으로 사고할 수 있다. |
B | 글에 담긴 전통적 인성과 인간관을 대체로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대입하여 사고할 수 있다. | |
C | 글에 담긴 전통적 인성과 인간관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대입해볼 수 있다. | |
D | 글에 담긴 전통적 인성과 인간관을 찾아 이해할 수 있다. | |
E | 글에 담긴 전통적 인성과 인간관을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12한고01-08] 다양한 삶의 양태를 존중하고 더불어 사는 포용적 태도를 갖춘다. | A | 글에 담긴 다양한 삶의 양태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포용적인 삶을 실천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
B | 글에 담긴 다양한 삶의 양태를 대체로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다. | |
C | 글에 담긴 다양한 삶의 양태를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
D | 글에 담긴 다양한 삶의 양태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글에 담긴 다양한 삶의 양태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12한고01-09]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알고 상생하고자 하는 태도를 지닌다. | A | 글에 담긴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정확히 알고 상생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
B | 글에 담긴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대체로 알고 상생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 |
C | 글에 담긴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알고 상생의 필요성에 공감할 수 있다. | |
D | 글에 담긴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글에 담긴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2. 영역별 성취수준
영역 성취수준 | ||
A | 지식・이해 | 한자의 음과 뜻,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를 정확하게 알고, 한문 고전의 이해와 감상을 위해 글의 배경을 바탕으로 내용과 주제를 종합적으로 파악해야 함을 안다. |
과정・기능 | 한자의 음과 뜻,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글을 정확하게 읽고 풀이하며, 글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찾아 감상하고,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글을 정확하게 이해하며,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수행하여 진로 탐색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전통적 인성과 인간관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대입하여 반성적으로 사고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삶의 양태를 존중하고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방법과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알고 상생하고자 하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수 있다. | |
B | 지식・이해 | 한자의 음과 뜻,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를 대체로 알고, 한문 고전의 이해와 감상을 위해 글의 배경과 내용, 주제를 고려해야 함을 안다. |
과정・기능 | 한자의 음과 뜻,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글을 읽고 풀이하며, 글의 배경에 대한 대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대체로 찾아 감상하고,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글을 이해하며, 글에 관련한 탐구 활동을 수행하여 진로 탐색에 부분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글에 담긴 전통적 인성과 인간관을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대입하여 반성적으로 사고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삶의 양태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알고 상생하기 위한 방법을 대체로 모색할 수 있다. | |
C | 지식・이해 | 한자의 음과 뜻,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알고, 글의 배경, 내용, 주제 파악의 필요성을 안다. |
과정・기능 | 한자의 음과 뜻,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부분적으로 풀이할 수 있다. 글의 배경에 대한 부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글의 내용과 주제를 파악하고 심미적 요소를 찾으며, 주어진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글을 이해하고,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수행하여 진로와 관련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글에 담긴 전통적 인성과 인간관, 다양한 삶의 양태를 부분적으로 이해하며,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알고 상생의 필요성에 공감할 수 있다. | |
D | 지식・이해 | 한자의 음과 뜻을 찾고 문장의 구조가 있음을 알며, 주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글의 배경, 내용, 주제를 파악한다. |
과정・기능 | 한자의 음과 뜻을 찾아 글을 읽고 풀이하며, 문장의 구조를 일부 알아 문장을 풀이할 수 있다. 주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글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 요소를 일부 찾으며,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글에 담긴 전통적 인성과 인간관을 찾아 이해하고, 다양한 삶의 양태 및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지식・이해 | 한자의 음과 뜻을 찾고 문장의 구조가 있음을 알아 주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설명에 따라 글의 내용을 이해한다. |
과정・기능 | 한자의 음과 뜻을 찾고 문장의 구조가 있음을 알아 설명에 따라 글을 풀이할 수 있다. 주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설명에 따라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심미적 요소를 찾으며,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글에 담긴 전통적 인성과 인간관, 다양한 삶의 양태,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3. 예시 평가 도구
가. 예시 평가 도구 개요
번호 | 과목 | 영역 | 성취기준 | 평가 도구 유형 | 평가 요소 / 평가 과제 |
1 | 한문 고전 읽기 | - | [12한고01-03] 글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과 주제를 파악한다. | 선다형 | 글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과 주제 파악하기 |
2 | 한문 고전 읽기 | - | [12한고01-02]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풀이한다. | 서·논술형 |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맞게 문장 풀이하기 |
3 | 한문 고전 읽기 | - | [12한고01-09]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알고 상생하고자 하는 태도를 지닌다. | 서·논술형 | 자연과 인간의 상생 가치 이해하기 |
4 | 한문 고전 읽기 | - | [12한고01-04]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찾아 감상한다. | 서·논술형 | 한시의 심미적 요소를 찾아 감상하기 |
5 | 한문 고전 읽기 | - | [12한고01-06]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통해 진로를 탐색한다. [12한고01-08] 다양한 삶의 양태를 존중하고 더불어 사는 포용적 태도를 갖춘다. |
프로젝트 | 한문 고전에 담긴 선인들의 다양한 삶의 양태를 탐구하여 현대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현대 사회에 필요한 직업관 세우기 |
나. 예시 평가 도구
(1) 고등학교 한문 고전 읽기-1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한문 고전 읽기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한고01-03] 글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과 주제를 파악한다. | A | 글의 배경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 ||||||||
B | 글의 배경에 대한 대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 |||||||||
C | 글의 배경에 대한 부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 |||||||||
D | 주어진 배경 자료를 바탕으로 글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 |||||||||
E | 주어진 배경 자료를 바탕으로 설명에 따라 글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 |||||||||
평가 요소 | 글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과 주제 파악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선다형 | 성취수준 | A~E | 배점 | 2 | 정답 | ➃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글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특히 E 수준의 학생은 글의 배경지식에 충족 여부에 따라 내용과 주제의 일부를 이해할 수 있으므로, 결과에 따라서는 글의 배경을 조사하는 교수ㆍ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A, B 수준의 학생은 글의 배경에 대한 조사를 프로젝트 활동으로 글의 내용 이해를 심화할 수 있다. 실록 편찬과 관리에 대한 배경과 내용을 맞춤형 교수・학습자료로 활용하여, E 수준 학생들도 배경 이해를 통해 글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
2 | 평가 도구 |
선다형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上曰:“太宗實錄垂成, 予欲觀之.” 右議政孟思誠曰:“實錄所載, 皆當時之事, 以示後世, 皆實事也. 殿下見之, 亦不得爲太宗更改, 今一見之, 後世人主效之, 史官疑懼, 必失其職, 何以傳信將來?” 上從之. -국조보감- |
윗글에 대한 이해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점]
[보기] | ||||
㉠ 선왕의 기록을 후대의 임금이 볼 수 없군. ㉡ 왕이 실록을 보면 사관이 당대의 일을 기록함에 영향을 받아 그 직분을 다할 수 없게 돼. ㉢ 실록의 기록이 사실과 다를 때 왕은 그것을 바로 잡을 수 있어. ㉣ 실록은 후대에 전해야 하는 믿음과 같은 것이지. |
||||
① ㉠, ㉢ ② ㉠, ㉣ ③ ㉡, ㉢
④ ㉠, ㉡, ㉣ ⑤ ㉡, ㉢, ㉣
❂ 정답 해설
조선왕조실록 편찬에 대한 배경 지식을 통해 글에서 말하고자 하는 내용과 주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실록 편찬에 왕이 간섭하거나 선왕의 실록을 보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세종)이 태종실록을 보려 하자 맹사성이 직언으로 만류하는 내용이다. 맹사성의 말에 그 이유가 잘 드러나 있다. 정답은 ④이다.
(2) 고등학교 한문 고전 읽기-2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한문 고전 읽기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한고01-02]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풀이한다. | A |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정확하게 풀이할 수 있다. | ||||||
B |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대체로 풀이할 수 있다. | |||||||
C |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부분적으로 풀이할 수 있다. | |||||||
D | 문장의 구조가 있음을 알아 문장을 제한적으로 풀이할 수 있다. | |||||||
E | 문장의 구조가 있음을 알아 설명에 따라 문장을 풀이할 수 있다. | |||||||
평가 요소 |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맞게 문장 풀이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서ㆍ논술형 | 성취수준 | A~B | 배점 | 4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한문 문장에서 사용되는 허사의 쓰임을 바르게 알고,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풀이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성취수준 A, B를 고려하여 출제한 문항으로, 이 문항을 맞힌 학생들은 허사의 쓰임을 바르게 알고 있으며, 한문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바르게 풀이할 수 있다. 답을 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따른 풀이와 함께 답지와 관련한 허사의 쓰임과 문장 구조의 용례를 제시해 주고, 다양한 추가 사례를 찾아보게 하거나 풀이해 보게 하여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를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을 계획할 수 있다. 학생들은 다양한 사례를 관련하여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적용 능력을 신장할 수 있을 것이다. |
2 | 평가 도구 |
서ㆍ논술형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天地之間, 物各有主, 苟非吾之所有, 雖一毫而莫取, 惟江上之淸風, 與山間之明月. ㉮耳得之而爲聲, 目寓之而成色, 取之無禁, 用之不竭, 是造物者之無盡藏也, 而吾與子之所共樂. |
[보기]는 ㉮에 대한 설명이다. ㉠과 ㉡에 각각 해당하는 내용을 쓰시오.
[보기] | ||||
㉮에서 ‘( ㉠ )’는/은 접속사로, 앞 구와 뒤 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고려하여 ㉮를 우리말 어순에 따라 풀이하면 ‘( ㉡ )’과 같다. | ||||
㉠ : 해당하는 한자(2점) :
㉡ : ㉮의 풀이(2점) :
❂ 정답 해설
㉠은 而로, 앞 구와 뒤 구를 연결하는 접속사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은 ‘귀로 (그것을) 얻으면 소리가 된다’로 풀이한다.
❂ 채점 기준
▣ 채점 기준표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특성 | |
1 | 허사의 쓰임 | 2점 | - 而의 쓰임을 안다. | |
예시답안 | 而 | |||
0점 | - 而 에 대한 내용 이해가 부족하거나 서술하지 못함. | |||
예시답안 | - 그 외 답안 - 무응답 |
|||
2 | 허사와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풀이하기 | 2점 | - 而의 쓰임을 명확하게 이해한다. - 문장의 구조에 따라 풀이한다. |
|
예시답안 | ‘귀로 그것을 얻으면 소리가 된다.’와 같이 而의 쓰임과 문장 구조에 맞는 풀이 | |||
1점 | - 而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의 일부를 안다. | |||
예시답안 | 而의 쓰임과 문장 구조에 맞지 아니한 해석 | |||
0점 | - 문장 풀이가 부적절하다. | |||
예시답안 | - 그 외 답안 - 무응답 |
(3) 고등학교 한문 고전 읽기-3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한문 고전 읽기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한고01-09]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알고 상생하고자 하는 태도를 지닌다. | A | 글에 담긴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정확히 알고 상생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 ||||||
B | 글에 담긴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대체로 알고 상생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 |||||||
C | 글에 담긴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알고 상생의 필요성에 공감할 수 있다. | |||||||
D | 글에 담긴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글에 담긴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요소 | 자연과 인간의 상생 가치 이해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서ㆍ논술형 | 성취수준 | A~B | 배점 | 5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글에 담긴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알고 상생하고자 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는가를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E 수준의 학생에게는 교사의 안내에 따라 내용과 주제를 이해한 후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사고와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ㆍ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A, B 수준의 학생은 관련 주제를 다룬 다른 교과들과 연계한 프로젝트 활동으로 학습을 심화할 수 있다. 환경파괴와 물질 만능주의 등의 문제를 다룬 학습 자료를 활용한 교수ㆍ학습을 통해 자연과 인간이 상생 가치에 대한 구체적인 사고를 끌어낼 수도 있다. |
2 | 평가 도구 |
서ㆍ논술형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天地之間, 物各有主. 苟非吾之所有, 雖一毫而莫取, 惟江上之淸風, 與山間之明月, 耳得之而爲聲, 目寓之而成色, 取之無禁, 用之不竭, 是造物者之無盡藏也. 而㉠吾與子之所共樂. |
윗글의 ㉠을 풀이하고, 화자가 주장하는 바를 [보기]의 관점에서 서술하시오.
[풀이: 2점, 서술: 3점]
[보기] | ||||
나는 인간이라는 種에 대해 비관적인 견해를 갖고 있다. 왜냐하면 너무 자기 자신의 이익에만 골몰하기 때문이다. 우리 인간은 한사코 자연을 정복하려고만 한다. 만일 인간이 이 지구에 순응하고, 회의적이고 오만한 눈길이 아니라 겸허하고 감사한 눈길로 이 지구를 바라본다면 우리의 생존 가능성은 한층 더 커질 것이다. (E.B. 화이트) | ||||
정답:
① ㉠의 풀이:
② 관점 서술:
❂ 정답 해설
• ①:㉠의 풀이는 나와 네가(그대가) 함께 즐기는 것이다.
• ②: 인간은 자연의 한 부분이나 요소임에도 자연을 소유하려 든다. 자연은 인간이 소유할 수 없는 것이며 지닐 수도 없는 것이다. 인간이 향유하고 감상하는 자연의 대상은 자연이 인간에게 빌려준 것이다. 나와 네가 함께 즐기는 것이다. 따라서 자연을 소유의 대상이 아닌 상생의 대상으로 여기려는 사고와 가치를 추구하려는 태도를 가질 때 비로소 자연은 인간이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되어줄 것이다.
❂ 채점 기준
▣ 채점 기준표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특성 | |
1 | 문장의 풀이와 활용 |
2점 | - ㉠을 바르게 풀이함. - ㉠의 풀이를 문장에 활용함. |
|
예시답안 | ㉠의 풀이는 ‘나와 네가(그대가) 함께 즐기는 것이다.’를 맥락에 맞게 활용함. | |||
1점 | - ㉠의 풀이가 미흡함. - ㉠의 풀이를 문장에 활용이 맥락에 맞지 않음. |
|||
예시답안 | ㉠의 풀이에 미흡함이 있거나 ‘나와 네가(그대가) 함께 즐기는 것이다.’의 활용이 부적합함. | |||
0점 | - ㉠의 풀이가 안 됨. - ㉠의 풀이를 활용하지 못함. |
|||
예시답안 | - 그 외 답안 - 무응답 |
|||
2 | 자연과 상생하려는 태도 형성 | 3점 | ① 제시문의 내용과 주제를 잘 이해하고 있음. ② [보기]의 내용을 이해함. ③ 두 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연과 상생하려는 실천적 태도를 나타냄 -서술함에 ①~③을 모두 갖춤. |
|
예시답안 | [보기]의 ‘자연은 소유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님’과 ‘인간은 자연의 한 일부분이며, 인간의 향유와 감상의 대상은 인간이 자연에게서 빌려오는 것임’을 말하며 자연을 보호하고 함께하려는 실천적 태도를 보임. | |||
2점 | - 서술함에 ①~③ 중 미흡함이 있음. | |||
예시답안 | [보기]의 ‘자연은 소유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님’과 글에서 ‘인간은 자연의 한 일부분이며, 인간의 향유와 감상의 대상인 자연은 인간이 자연에게서 빌려오는 것임’ 중 하나의 이해를 통해 자연과 상생하려는 실천적 태도를 보임. | |||
1점 | - 서술함에 ①~③ 중 부족함이 많음. | |||
예시답안 | - [보기]와 글의 이해보다는 자연과 인간이 상생해야 한다는 원론적 가치를 설명함. - 인간은 자연과 상생하려는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 |
|||
0점 | - 서술함에 ①~③이 포함되지 않음. | |||
예시답안 | - 그 외 답안 - 무응답 |
(4) 고등학교 한문 고전 읽기-4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한문 고전 읽기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한고01-04]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찾아 감상한다. | A |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정확하게 찾아 감상할 수 있다. | ||||||
B |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대체로 찾아 감상할 수 있다. | |||||||
C |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부분적으로 찾아 감상할 수 있다. | |||||||
D |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제한적으로 찾을 수 있다. | |||||||
E |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설명에 따라 찾을 수 있다. | |||||||
평가 과제 | 한시의 심미적 요소를 찾아 감상하기 | |||||||
평가 요소 | 한시의 심미적 요소를 찾는다. 한시의 심미적 요소를 바탕으로 감상한다. |
|||||||
평가 도구 유형 | 서ㆍ논술형 | 성취수준 | A~E | 배점 | 4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한시에서 대우, 운율, 함축성 등과 같은 심미적 요소를 찾아 표현과 내용, 기타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 감상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형식적인 측면에 치우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학생들에게 한시의 특징과 수사법 등에 관한 지식을 안내하거나 인터넷 및 인쇄 자료 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D, E 수준의 학생은 시구를 풀이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문장 풀이 방법에 대한 학습이 선행되어야 한다. 시를 감상하는 데 있어 다른 창작물이나 관련 영상을 활용하여 한시 감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2 | 평가 도구 |
서ㆍ논술형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다음 시는 만년에 귀양에서 풀려 난 이백(李白)이 안휘성(安徽省)의 한 포구인 추포(秋浦)에서 읊은 연작시 중의 하나다. 白髮三千丈, 緣愁似個長. 不知明鏡裏, 何處得秋霜. -李白, 「秋浦歌」- |
위 시에서 [보기]의 ㉠과 ㉡의 대상을 찾고, 이를 활용하여 감상문을 쓰시오. [4점]
[보기] 문학에서 ㉠比喩는 복잡한 개념이나 아이디어를 단순하게 설명하거나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된다. 比喩는 두 가지 다른 것 사이의 유사성을 강조하는 데 사용된다. 比喩는 직접적인 유사성이나 공통점을 강조함으로써 복잡한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 준다. 또한 문학에서 상황이나 사건을 재미있게 표현하거나 강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誇張이 있다. 誇張은 사물이나 상황을 현실보다 부풀리거나 축소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
❂ 채점 기준
▣ 채점 기준표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
2 | 감상 | 4점 | - 심미적 요소인 ㉠비유와 ㉡과장이 사용된 시어나 시구를 찾아 감상한다. | |
예시답안 | 비유: 秋霜은 흰머리의 비유 과장: 白髮三千丈 흰 머리털 길이가 삼천장이라는 과장된 표현으로 고독감에 수심이 쌓인 모습을 표현한 것 |
|||
3점 | - 심미적 요소인 ㉠비유와 ㉡과장이 사용된 시어나 시구 일부를 찾아 감상한다. | |||
예시답안 | 비유와 과장 중 한 가지를 설명하고 형식적 요소를 활용한다. | |||
2점 | - 시어, 비유의 시어가 아닌 형식적 요소만으로 감상한다. | |||
예시답안 | 시의 형식, 압운, 대우 등 한시의 형식적 요소만을 활용한다. | |||
1점 | - 시어, 비유의 시어, 형식적 요소보다는 감성적 감상만을 한다. | |||
예시답안 | 감성적 언어만을 활용한다. | |||
0점 | - 감상하지 않거나 서술하지 못함. | |||
예시답안 | - 그 외 답안 - 무응답 |
❂ 예시 답안
이 시는 오언시이며, ‘丈’, ‘長’, ‘霜’으로 압운하였다. 비유와 과장을 적절히 사용하여 시름으로 늙어 감을 잘 표현하고 있다. 작자는 참담한 몰골과 길게 자란 백발에 놀란 심정을 1구와 2구에서 ‘백발 삼천 장 시름 때문에 이렇게 자랐구나’라고 과장된 표현으로 나타내었다. 백발이 삼천장이 될 만큼 자랐다는 것은 시름 때문이니 그 서러움과 슬픔이 어느 정도일지 가늠할 수 있다. 3구와 4구에서는 거울에 자기모습을 비춰본 작자가 자신도 모르게 자란 흰빛 곧 흰머리를 秋霜으로 비유하였으며, 안타까운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기개와 풍류가 넘쳤던 이백도 세월 앞에서는 장사가 되지 못하는 모양이다. 늙음 앞에서 무력해지는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5) 고등학교 한문 고전 읽기-5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한문 고전 읽기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한고01-06]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통해 진로를 탐색한다. | A |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수행하여 진로 탐색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 ||||||
B |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수행하여 진로 탐색에 대체로 활용할 수 있다. | |||||||
C |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수행하여 진로 탐색에 부분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
D |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수행하여 진로와 관련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 |||||||
E |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안내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 |||||||
[12한고01-08] 다양한 삶의 양태를 존중하고 더불어 사는 포용적 태도를 갖춘다. | A | 글에 담긴 다양한 삶의 양태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포용적인 삶을 실천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 ||||||
B | 글에 담긴 다양한 삶의 양태를 대체로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다. | |||||||
C | 글에 담긴 다양한 삶의 양태를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
D | 글에 담긴 다양한 삶의 양태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글에 담긴 다양한 삶의 양태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요소 | 한문 고전에 담긴 선인들의 다양한 삶의 양태를 탐구하여 현대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현대 사회에 필요한 직업관 세우기 | |||||||
평가 도구 유형 | 프로젝트 | 성취수준 | A~E | 배점 | 9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한문 고전에 담긴 직업관의 한 사례를 통해 선인들의 직업관을 이해하고, 학습 경험을 토대로 직업관을 수립하여 자신의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프로젝트 활동을 위해 멀티미디어 도구나 인쇄 매체를 활용할 수 있다. 수행 과정에서 글(한문) 풀이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은 선인들의 직업관이 잘 드러나는 글을 선택하여 제시하거나 관련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
2 | 평가 도구 |
프로젝트 |
※ 다음 글을 읽고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시오.
홍양호의 『이계집』 권18에 다음과 같은 일화가 전한다.
홍양호가 "의술이란 천한 기술이고, 시정은 비천한 곳이다. 그대의 재능으로 귀하고 현달한 사람들과 사귀면 명성을 얻을 것인데, 어찌하여 시정의 보잘 것 없는 백성들이나 치료하고 다니는가?"라고 물었다.
조광일은 웃으며 “㉠丈夫不爲宰相, 寧爲醫. 宰相以道濟民, 醫以術活人.”이라 하고는 <중략> 자신이 이 세상의 의원들을 싫어하는 이유에 대해 “이들은 자기 의술을 믿고, 다른 사람에게 교만하게 구는데, 문밖에는 말들이 줄을 서고 집안에는 사람들이 술과 고기를 갖추고 그들을 대접하오. 사람들이 서너 번 간청하고 나서야 못 이기는 체하면서 가는데, 가는 곳도 귀하고 권세 있는 집 아니면 부잣집이지요. 가난하거나 권세가 없는 사람이 부르면 아프다고 거절하거나 혹은 집에 없다며 숨어버리니, 백 번 간청해도 한 번도 일어나지 않지요. 이것이 어찌 어진 사람이 할 짓이겠소?” 하고는, 보잘 것 없는 백성들을 치료하러 다닌 까닭에 대해서 “不干於貴勢者, 懲此輩也. 彼貴顯者, 寧少吾輩者哉? 所哀憐, 獨閭里窮民耳!”라고 하고는 “且吾操針而遊於人, 十餘年矣. 或日療數人, 月活十數人, 計所全活, 不下數百千人. 吾今年四十餘, 復數十年, 可活萬人. 活人至萬, 吾事畢矣.”라고 하며 자신의 생각을 말하였다.
1.㉠을 풀이하시오. [2점]
2. 조광일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서술하시오. [2점]
3. 다음 [조건]에 따라 현 사회에서 갖추어야 할 직업관을 서술하시오. [5점]
[조건]
① 글에서 알 수 있는 직업은 무엇인지 언급할 것.
② 글에서 알 수 있는 인물의 직업관을 글의 내용을 활용하여 설명할 것.
③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직업관을 디지털 도구나 서적을 이용하여 찾아 활용할 것.
④ 글의 내용 이해와 주제 파악을 바탕으로 현 사회에서 해당 직업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태도와 자세를 서술할 것.
⑤ 한문 문장을 활용하여 자신의 주장을 명확히 할 것.
▣ 채점 기준표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
1 | 풀이 | 2점 | 허사의 쓰임을 정확하게 알고 풀이할 수 있다. | |
문장 구조에 유의하여 풀이할 수 있다. | ||||
1점 | 허사의 쓰임 또는 문장 구조에 유의하여 풀이하지 못한다. | |||
예시답안 | 장부가 재상이 되지 못할 바엔 차라리 의원이 되는 게 낫다. 재상은 도로 백성을 구제하고 의원은 의술로 사람을 살린다. | |||
2 | 주제 파악 | 2점 | - 조광일은 홍양호와는 달리 부와 명예, 권세를 얻기 위해 의술을 펼치는 것이 아님을 말하고 있다. | |
예시답안 | 조광일은 의술로 부와 명예, 권세를 얻기 위해 의술을 사용하는 것을 싫어하고, 힘없고 권력이 없는 백성들의 병을 치료하는 것에 의술의 목적이 있었다. 의술로 수많은 사람의 목숨을 살리는 것이 진정한 의술이라 말하고 있다. | |||
3 | 프로젝트 결과물 |
평가 요소 |
ㄱ. 글에서 알 수 있는 직업은 무엇인지 언급함. | |
ㄴ. 인물의 직업관을 글의 내용을 활용하여 설명함. | ||||
ㄷ. 직업관을 적절한 자료를 활용하여 제시함. | ||||
ㄹ. 글의 내용 이해와 주제 파악을 바탕으로 현 사회에서 해당 직업으로 갖추어야 할 태도와 자세를 말함. | ||||
ㅁ. 한문 문장을 활용하여 자신의 주장을 명확히 함. | ||||
5점 | 위 평가 요소 중 5가지를 만족함. | |||
4점 | 위 평가 요소 중 4가지를 만족함. | |||
3점 | 위 평가 요소 중 3가지를 만족함. | |||
2점 | 위 평가 요소 중 2가지를 만족함. | |||
1점 | 위 평가 요소 중 1가지 이하를 만족함. | |||
예시 답안 |
이 글을 통해 의원으로서 어떤 가치관을 가져야 하는가를 알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의학을 공부하고 의사로서 사람들을 치료하는 자리에 있으려 노력하고 있다. 이들 갖추어야 할 직업관과 사명감은 히포크라테스의 선서에서 찾을 수 있다. ‘내가 어느 집을 방문하면 나는 환자의 이익을 위해 그곳에 갈 것이며 모든 의도적인 잘못과 해악을 삼갈 것이다. 특히 자유인이든 노예이든 남자나 여자와의 성적 관계를 가지지 않을 것이다.’라는 말은 글에 실린 조광일의 모습과 같다. 조광일은 ‘저 귀하고 현달한 사람들이야 어찌 저 같은 의원 무리가 모자라겠습니까. 불쌍하고 가련한 것은 여항의 곤궁한 백성들일 뿐입니다.’라고 하면서 자신이 왜 힘없고 곤궁한 백성들을 위해 의술을 펼치고 있는지를 말하고 있다. 이 말은 현 사회의 의사로서 살고 있거나 미래 그런 삶을 살아가려는 사람에 주는 의미가 깊다. 세계적으로 많은 수의 의사가 이 선서를 실천하기 위해 국경 없는 의사회에 참여하거나 홀로 위험한 지역이나 가난한 나라에서 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치료하고 있다. 논어에는 자공이 공자에게 다음과 같이 물은 내용이 있다. ‘만일 백성들에게 널리 은혜를 베풀고 많은 사람들을 구제할 수 있다면 어떻겠습니까? 어질다고 할 수 있습니까?(如有博施於民而能濟衆 如何? 可謂仁乎?)’ 이에 공자는 이를 실천할 수 있다면 성인이 될 것이라고 했다. 물질 만능주의에 함몰된 현대 사회에서 이러한 자세로 변함없이 의술로 사람을 치료한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그러나 이 힘든 일을 의사의 사명으로 알고 의술을 펼쳐 나가야 하는 것은 아마도 조광일이 ‘나의 일을 마치는 것’이라고 한 말과 통할 것이며, 그것이 의사로서의 직업관이며 사명감이라고 생각한다. |
❂ 피드백
성취수준 | 피드백 |
A | 한자의 음과 뜻,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정확하게 풀이하고, 글 안에 나타난 인물의 직업과 직업관을 글의 내용을 폭넓게 활용하여 정확하게 설명함. 현대 사회에서 해당 직업에서 요구하는 직업관을 디지털 도구와 서적을 이용하여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제시함. 글의 내용과 주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현대 사회에서 해당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태도와 자세에 대한 자기 생각을 한문 문장을 활용하여 명확하게 서술함. 특히, 히포크라테스 선서문을 활용한 점, 논어의 문구를 찾아 주장을 확장한 점 등에서 학생의 정보 처리 역량과 지식을 탐구하여 활용하는 능력을 볼 수 있었음. 한문 고전에는 다양한 인물의 삶을 담은 일화가 많으며,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교훈이 될 만한 글 또한 많으므로 온라인이나 서적을 통해 읽어 본다면 자신의 진로와 직업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한문 고전을 읽어 보기 바람. |
B | 한자의 음과 뜻,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대체로 풀이하고, 글 안에 나타난 인물의 직업과 직업관을 글의 내용을 대체로 활용하여 설명함. 현대 사회에서 해당 직업에서 요구하는 직업관을 디지털 도구와 서적을 이용하여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제시함. 글의 내용과 주제를 대체로 이해하고, 현대 사회에서 해당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태도와 자세에 대한 자기 생각을 서술함. 문장을 정확하게 풀이하기 위해서는 허사의 쓰임을 명확하게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함. 현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직업관에 관한 자기 생각을 글의 내용과 주제를 바탕으로 피력한 것은 좋았음. 한문 고전에는 우리가 배우고 실천하기에 좋은 교훈적 내용이 많으므로 여러 한문 고전을 읽어 보는 것이 좋겠음. |
C | 한자의 음과 뜻,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대체로 풀이하고, 글 안에 나타난 인물의 직업과 직업관을 글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활용하여 설명함. 현대 사회에서 해당 직업에서 요구하는 직업관을 디지털 도구와 서적을 이용하여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제시함. 글의 내용과 주제를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현대 사회에서 해당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태도와 자세에 대한 자기 생각을 서술함. 문장을 정확하게 풀이하기 위해서는 허사의 쓰임을 명확하게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함. 글의 내용과 주제를 명확히 이해하고 파악하기 위해서는 글의 전체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읽어야 함. 아울러 현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직업관에 관한 생각을 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확하게 활용한다면 더 좋은 글이 될 수 있음. 한문 고전에는 우리가 배우고 실천하기에 좋은 교훈적 내용이 많으므로 여러 한문 고전을 읽어 보는 것이 학습에 도움이 됨. |
D | 문장을 부분적으로 풀이하고, 글 안에 나타난 인물의 직업과 직업관을 설명함. 현대 사회에서 해당 직업에서 요구하는 직업관을 자기 관점에서 제시함. 글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현대 사회에서 해당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태도와 자세에 대한 자기 생각을 서술함. 문장을 바르게 풀이하기 위해서는 한자의 음과 뜻은 물론 허사와 문장 구조에 유의해야 함. 글의 내용과 주제를 명확히 이해하고 파악하기 위해서는 글을 전체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읽어야 함. 아울러 현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직업관에 관한 생각을 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더 좋은 글이 될 수 있음. 한문 고전에는 우리가 배우고 실천하기에 좋은 교훈적 내용이 많으므로 여러 한문 고전을 읽어 보는 것은 주제 탐구 활동에 도움이 되며, 디지털 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활동을 병행한다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임. |
E | 글 안에 나타난 인물의 직업을 설명함. 현대 사회에서 해당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태도와 자세에 대한 자기 생각을 서술함.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글이 내용을 이해하고 주제를 파악할 수 있음. 한문 고전에는 다양한 삶을 살았던 인물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디지털 도구나 서적을 통해 자신이 흥미롭다고 생각하는 한문 고전을 찾아 읽어 본다면 현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직업과 직업관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 한문 문장을 바르게 풀이하기 위해서는 한자의 음과 뜻은 물론 허사와 문장 구조에 유의하여야 하는데, 이는 온라인 학습으로도 가능하므로 디지털 도구를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학습 동기를 갖는 데에도 도움이 됨. |
① 프로젝트 활동을 위해 멀티도구나 인쇄 매체를 활용할 수 있다.
② 수행 과정에서 글(한문) 풀이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은 선인들의 직업관이 잘 드러나는 글 중 풀이된 것을 선택하여 제시하거나 관련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③ D, E 수준의 학생은 수행 과정에서 자료를 찾거나 활용하는 데 곤란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안내를 통해 수행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성취 수준 향상에 필요한 학습자료]
① 문장을 풀이하기 위해 허사의 쓰임에 유의하여야 함.
◎ 허사 ‘寧’은 ‘~하는 것이 낫다.’ 또는 ‘哉’와 호응하여 ‘어찌~하리오?’ 등으로 쓰임. ‘耳’는 문장 끝에 위치하여 ‘~(할) 뿐이다.’의 의미로 쓰임.
②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서 글의 원전은 물론 글의 배경을 찾아볼 필요가 있음.
③ 아래 사이트나 책을 참고할 수 있다.
◎ [인터넷 및 서적 자료]
진로직업 : 커리어넷, https://www.career.go.kr/cnet/front/main/main.do
고전번역원DB: https://db.itkc.or.kr/
전통문화연구회: https://www.juntong.or.kr/
『논어집주』, 성백효 역, 전통문화연구회
Ⅴ. 고등학교 언어생활과 한자 성취수준
1.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언한01-01] 한자의 음과 뜻을 파악한다. | A | 한자의 음과 뜻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
B | 한자의 음과 뜻을 대체로 파악할 수 있다. | |
C | 한자의 음과 뜻을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 |
D | 한자의 음과 뜻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한자의 음과 뜻을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12언한01-02] 어휘를 표준 발음법에 맞게 읽는다. | A | 어휘를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정확하게 읽을 수 있다. |
B | 어휘를 표준 발음법에 따라 대체로 읽을 수 있다. | |
C | 어휘를 표준 발음법에 따라 부분적으로 읽을 수 있다. | |
D | 어휘의 표준 발음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어휘의 표준 발음을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12언한01-03]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설명한다. | A |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
B |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대체로 설명할 수 있다. | |
C |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 |
D |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12언한01-04] 성어의 의미와 유래를 파악하여 삶의 가치를 이해한다. | A | 성어의 의미와 유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삶의 다양한 가치를 이해할 수 있다. |
B | 성어의 의미와 유래를 대체로 파악하여 삶의 다양한 가치를 이해할 수 있다. | |
C | 성어의 의미와 유래를 부분적으로 파악하여 삶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다. | |
D | 성어의 의미와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성어의 의미와 유래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12언한01-05] 한자 어휘의 어휘 관계를 파악하여 효율적 언어생활과 문해에 활용한다. | A | 어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언어생활과 문해에 활용할 수 있다. |
B | 어휘 관계를 대체로 파악하여 언어생활과 문해에 활용할 수 있다. | |
C | 어휘 관계를 부분적으로 파악하여 언어생활과 문해에 활용할 수 있다. | |
D | 어휘 관계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어휘 관계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12언한01-06]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한자 어휘를 파악하고 조어 특성을 이해한다. | A |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한자 어휘의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
B |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한자 어휘의 특성을 대체로 이해할 수 있다. | |
C |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한자 어휘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
D |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한자 어휘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한자 어휘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12언한01-07] 학습을 위한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여 교과 학습에 활용한다. | A |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여 교과 학습에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다. |
B |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여 교과 학습에 대체로 활용할 수 있다. | |
C |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여 교과 학습에 부분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
D |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찾아 교과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 |
E |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안내에 따라 교과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 |
[12언한01-08] 품격 있는 어휘 활용으로 바른 인성을 함양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A | 상황에 맞는 한자 어휘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언어생활의 품격을 높일 수 있다. |
B | 상황에 맞는 한자 어휘를 대체로 활용하여 언어생활의 품격을 높일 수 있다. | |
C | 상황에 맞는 한자 어휘를 찾아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 |
D | 상황에 맞는 한자 어휘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상황에 맞는 한자 어휘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12언한01-09] 맥락에 맞는 어휘 활용으로 공동체에서 협력적 소통을 실천한다. | A | 맥락에 맞는 어휘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협력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
B | 맥락에 맞는 어휘를 대체로 활용하여 협력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 |
C | 맥락에 맞는 어휘를 부분적으로 활용하여 소통할 수 있다. | |
D | 맥락에 맞는 어휘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맥락에 맞는 어휘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12언한01-10] 한자 문화권의 어휘 비교를 통해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A | 한자 문화권의 어휘를 비교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다. |
B | 한자 문화권의 어휘를 비교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
C | 한자 문화권의 어휘를 비교해 볼 수 있다. | |
D | 한자 문화권의 어휘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한자 문화권의 어휘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2. 영역별 성취수준
영역 성취수준 | ||
A | 지식・이해 | 한자 및 한자 어휘의 음과 뜻을 정확하게 알고 한자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며 어휘 관계를 체계적으로 구분한다. |
과정・기능 | 한자의 음과 뜻을 알아 어휘를 표준발음에 따라 정확하게 읽고 어휘의 의미와 어원, 어휘 관계를 파악하여 언어생활과 문해에 활용할 수 있으며,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해 생성된 한자 어휘의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하며,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여 교과 학습에 정확하게 활용하며 맥락에 맞게 어휘를 적절하게 활용하고 한자 문화권의 어휘를 비교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일상생활에서 품격 있는 한자 어휘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바른 인성 함양과 자기 관리를 실천하고 다양한 형식과 맥락 속에서 적절한 한자 어휘를 활용하여 공동체에서 주도적으로 협력적 소통을 실천하며 삶의 가치와 문화적 다양성을 유연하게 수용하고 적극적으로 이해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
B | 지식・이해 | 한자 및 한자 어휘의 음과 뜻을 알고 한자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이해하며 어휘 관계를 구분한다. |
과정・기능 | 한자의 음과 뜻을 알아 어휘를 표준발음에 따라 어휘를 읽고 어휘의 의미와 어원, 어휘 관계를 알고 언어생활과 문해에 활용할 수 있으며,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해 생성된 한자 어휘의 특성을 이해하며,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여 교과 학습에 활용하며 맥락에 맞게 어휘를 활용하고 한자 문화권의 어휘를 비교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일상생활에서 품격 있는 한자 어휘를 활용하여 바른 인성 함양과 자기 관리를 실천하고 상황에 맞는 한자 어휘를 활용하여 공동체에서 협력적 소통을 실천하며 삶의 가치와 문화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이해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
C | 지식・이해 | 한자 및 한자 어휘의 음과 뜻을 알고 한자 어휘의 의미와 어휘 관계를 부분적으로 이해한다. |
과정・기능 | 한자의 음과 뜻을 조사하여 어휘를 표준발음에 따라 어휘를 읽고 어휘의 의미와 어원, 어휘 관계를 알고,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해 생성된 한자 어휘와 교과 학습에 활용되는 어휘의 의미를 이해하며 맥락에 맞는 어휘를 부분적으로 활용하고 한자 문화권의 어휘를 비교할 수 있다. | |
가치・태도 | 품격 있는 한자 어휘를 활용하는 것이 바른 인성 함양과 자기 관리를 실천할 수 있는 것을 알고 한자 어휘를 활용하여 공동체에서 협력적 소통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삶의 가치와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
D | 지식・이해 | 한자 및 한자 어휘의 음과 뜻을 부분적으로 알고 한자 어휘의 의미와 어휘 관계를 부분적으로 이해한다. |
과정・기능 | 한자의 음과 뜻을 찾아 어휘의 표준 발음을 찾아볼 수 있으며 어휘를 읽고 어휘의 의미와 어원, 어휘 관계를 찾아볼 수 있고,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해 생성된 한자 어휘와 교과 학습에 활용되는 어휘의 의미, 맥락에 맞는 어휘, 한자 문화권의 어휘를 찾아볼 수 있다. | |
가치・태도 | 인성 함양과 협력적 소통을 위해 한자 어휘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며 한자 어휘 속에 삶의 가치와 문화적 다양성이 있음을 이해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
E | 지식・이해 | 한자 및 한자 어휘의 음과 뜻을 부분적으로 알고 한자가 모여 어휘를 구성한다는 것을 이해한다. |
과정・기능 | 한자의 음과 뜻, 어휘의 표준 발음, 어휘의 의미와 어원, 어휘 관계를 제한적으로 찾을 수 있고,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해 생성된 한자 어휘와 교과 학습에 활용되는 어휘의 의미, 맥락에 맞는 어휘, 한자 문화권의 어휘를 제한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 |
가치・태도 | 한자 어휘가 언어생활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이해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3. 예시 평가 도구
가. 예시 평가 도구 개요
번호 | 과목 | 영역 | 성취기준 | 평가 도구 유형 | 평가 요소 / 평가 과제 |
1 | 언어생활과 한자 | - | [12언한01-09] 맥락에 맞는 어휘 활용으로 공동체에서 협력적 소통을 실천한다. | 서·논술형 | 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맥락에 맞는 어휘를 찾아보고 공동체에서 협력적 소통 실천하기 |
2 | 언어생활과 한자 | - | [12언한01-03]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설명한다. | 완성형 | 어휘의 의미와 어원 설명하기 |
3 | 언어생활과 한자 | - | [12언한01-07] 학습을 위한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여 교과 학습에 활용한다. | 완성형 | 교과 학습 어휘 이해하고 활용하기 |
4 | 언어생활과 한자 | - | [12언한01-10] 한자 문화권의 어휘 비교를 통해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완성형 | 한자문화권의 어휘 비교하기 |
5 | 언어생활과 한자 | - | [12언한01-06]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한자 어휘를 파악하고 조어 특성을 이해한다. | 주제탐구 | 다양한 학습자료를 활용하여 한자의 음과 뜻, 동음이의어, 혼종어, 한자 줄임말을 찾고 조사하기 |
나. 예시 평가 도구
(1) 고등학교 언어생활과 한자-1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언어생활과 한자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언한01-09] 맥락에 맞는 어휘 활용으로 공동체에서 협력적 소통을 실천한다. | A | 맥락에 맞는 어휘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협력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 ||||||
B | 맥락에 맞는 어휘를 대체로 활용하여 협력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 |||||||
C | 맥락에 맞는 어휘를 부분적으로 활용하여 소통할 수 있다. | |||||||
D | 맥락에 맞는 어휘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맥락에 맞는 어휘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과제 | 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맥락에 맞는 어휘를 찾아보고 공동체에서 협력적 소통 실천하기 | |||||||
평가 요소 | 글을 바르게 이해하여 맥락에 맞게 어휘를 활용한다. 글을 바르게 이해하여 공동체에서 협력적 소통을 실천한다. |
|||||||
평가 도구 유형 | 서ㆍ논술형 | 성취수준 | A~B | 배점 | 7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글을 읽고 맥락에 맞는 어휘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환경과 인간, 지속 가능한 사회 등에 관한 글을 읽고 이해하여 공동체적 문제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디지털 도구, 여러 매체 등을 활용하여 글을 읽고 이해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
2 | 평가 도구 |
서ㆍ논술형 |
[1~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최근 ‘기후 변화’와 ‘지속 가능’의 개념들이 뉴스에서도 언급되는 등 지구적인 관심사가 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탄소 발자국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탄소 발자국’은 제품의 생산에서 소비, 폐기에 이르는 전 ㉠課程에서 직간접적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총량으로, 한마디로 우리가 살아가면서 지구에 남기는 흔적이다. 그런데 탄소 발자국 줄이기와 관련하여 간과해서는 안 될 분야가 바로 디지털 영역이다. 디지털 기기는 ㉡私用 흔적이 눈에 보이지 않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디지털 기기와 데이터 센터에 있는 서버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며, 데이터 센터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데에도 이산화탄소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니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지구를 병들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디지털 탄소 발자국을 줄이기 위해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일에는 무엇이 있을까? 우리의 일상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스마트폰과 관련지어 생각해 보자. 우선,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줄이는 것이다. ㉢通貨를 하거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습관적으로 화면을 켜는 행위도 그만큼 ㉣全力을 소모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고 하니, 환경을 위해 조금 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2021학년도 6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국어 영역 』- |
1. 글의 맥락에 맞게 ㉠~㉣의 한자 어휘를 바르게 고쳐 쓰시오. [2점]
2. 기후 변화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것이다. 이에 우리가 할 수 있는 기후 변화 대응 방안 및 실천 활동을 [조건]에 따라 서술하시오. [5점]
[조건] 한자 어휘는 5개 이상을 ‘독음(한자)’과 같이 제시하되, ㉠~㉣의 한자 어휘를 제외함. |
▣ 채점 기준표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
1 | 어휘 쓰기 |
2점 | - ㉠~㉣의 한자 어휘를 알 수 있다. (1개 0.5점) | |
예시답안 | ㉠ 過程, ㉡ 使用, ㉢ 通話, ㉣ 電力 | |||
2 | 어휘 쓰기 |
3점 | - 한자 어휘 4~5개를 활용하여 서술할 수 있다. (3점) | |
- 한자 어휘 2~3개를 활용하여 서술할 수 있다. (2점) | ||||
- 한자 어휘 1개를 활용하여 서술할 수 있다. (1점) | ||||
주제 파악 (공동체에서 협력적 소통) |
2점 | - 기후 변화 대응 방안 및 실천 활동을 설명하였다. (2점) | ||
- 기후 변화 대응 방안 및 실천 활동 중 1가지만 설명하였다. (1점) | ||||
예시답안 | ∙ 지구 온난화(溫暖化)로 인한 급격한 기후(氣候) 변화는 전 지구적 생태계(生態界) 파괴의 주요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지속(持續) 가능한 지역 사회를 만들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일환으로 디지털 탄소 발자국 줄이기에 동참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컴퓨터 절전(節電) 프로그램 사용, 스팸 메일·쪽지 차단, 북마크 활용, 스트리밍 대신 다운로드, 전자 기기 교체 주기 늘리기 등을 실천해야 한다. ∙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급격한 기후 변화는 전 지구적 생태계 파괴의 주요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지구 온난화를 줄이기 위해서는 에너지 절약(節約)하기처럼 생활 속에서 실천(實踐)할 수 있는 작은 습관부터 바꿔 나가야 한다. 불필요한 전기 사용 줄이기, 재활용품 분리배출(分離排出) 등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실천해야 한다. 또한 운동과 건강을 유지하면서 환경(環境)을 깨끗하게 할 수 있는 일석이조(一石二鳥)의 방법으로 플로깅 행사에 참여하여 쓰레기는 줍는 것도 좋은 실천 방안이다. |
❂ 예시 답안
[활동 1]
㉠ 過程, ㉡ 使用 ㉢ 通話, ㉣ 電力
[활동 2]
∙ 지구 온난화(溫暖化)로 인한 급격한 기후 변화는 전 지구적 생태계(生態界) 파괴의 주요(主要)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지속 가능(可能)한 지역 사회를 만들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일환으로 디지털 탄소 발자국 줄이기에 동참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컴퓨터 절전 프로그램 사용(使用), 스팸 메일·쪽지 차단, 북마크 활용, 스트리밍 대신 다운로드, 전자 기기 교체 주기 늘리기 등을 실천해야 한다.
∙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급격한 기후 변화는 전 지구적 생태계 파괴의 주요 원인(原因)이라 할 수 있다. 지구 온난화를 줄이기 위해서는 에너지 절약(節約)하기처럼 생활 속에서 실천(實踐)할 수 있는 작은 습관부터 바꿔 나가야 한다. 불필요한 전기 사용 줄이기, 재활용품 분리배출 등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실천해야 한다. 또한 운동과 건강을 유지하면서 환경(環境)을 깨끗하게 할 수 있는 일석이조(一石二鳥)의 방법으로 플로깅 행사에 참여하여 쓰레기는 줍는 것도 좋은 실천 방안이다.
(2) 고등학교 언어생활과 한자-2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언어생활과 한자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언한01-03]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설명한다. | A |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 ||||||
B |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대체로 설명할 수 있다. | |||||||
C |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 |||||||
D |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찾아볼 수 있다. | |||||||
E |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요소 | 어휘의 의미와 어원 설명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완성형 | 성취수준 | A~C | 배점 | 2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설명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특히 E 수준의 학생은 한자의 음과 뜻의 파악 여부에 따라 한자의 일부만을 파악하거나 어휘의 원래의 뜻만 풀이하고 의미를 알지 못한 경우를 확인하고, 한자의 음과 뜻을 찾아보고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알 수 있는 교수-학습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A, B 수준의 학생은 어휘의 의미와 어원에 대한 조사를 통해 프로젝트 활동으로 맥락에 맞는 어휘의 활용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다. 어휘의 의미와 어원 활용에 관한 맞춤형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E 수준 학생들도 어휘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2 | 평가 도구 |
완성형 |
<보기>에서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어휘를 찾고, 그 어휘의 원래의 뜻과 확장된 뜻을 쓰시오.
<보 기> | ||
落點, 雲集, 薄氷 |
1. 결승전을 관람하기 위해 5만 관중이 ( )하였다 ① 어휘: ② 원래의 뜻: ③ 확장된 뜻: 2. 김OO배우 주인공으로 ( ). 대통령은 이OO을 장관으로 ( )하였다. ① 어휘: ② 원래의 뜻: ③ 확장된 뜻: 3. 엎치락뒤치락 ( )의 승부를 펼치며 흥미를 고조시키고 있다. ① 어휘: ② 원래의 뜻: ③ 확장된 뜻: |
❂ 정답 해설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설명한다.
1. ① 雲集 ②구름처럼 모임 ③ 많은 사람이 모여듦
2. ① 落點 ②점을 찍음 ③ 여러 후보 가운데 마땅한 사람을 고름
3. ① 薄氷 ②얇게 살짝 언 얼음 ③ 근소한 차이
(3) 고등학교 언어생활과 한자-3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언어생활과 한자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언한01-07] 학습을 위한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여 교과 학습에 활용한다. | A |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여 교과 학습에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다. | ||||||
B |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여 교과 학습에 대체로 활용할 수 있다. | |||||||
C |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여 교과 학습에 부분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
D |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찾아 교과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 |||||||
E |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안내에 따라 교과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 |||||||
평가 요소 | 교과 학습 어휘 이해하고 활용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완성형 | 성취수준 | A~C | 배점 | 2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한자의 음과 뜻을 파악하여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여 교과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특히 E 수준의 학생은 한자의 음과 뜻의 파악 여부에 따라 한자의 일부만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어려워하는 한자를 확인한 후 한자의 음과 뜻을 찾아보는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A, B 수준의 학생은 교과 학습에 활용되는 어휘 조사를 통한 프로젝트 활동으로 교과 학습 어휘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다. 교과 학습 어휘에 관한 맞춤형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E 수준 학생들도 교과 학습 어휘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2 | 평가 도구 |
완성형 |
<보 기>의 한자를 조합하여 빈칸에 들어갈 교과 학습 어휘를 문항의 밑줄을 참고하여 쓰시오.
<보 기> | ||
石, 曲, 柱, 波, 狀, 球, 斷, 動, 變, 層. |
1. 그래프의 곡선의 모양이 바뀌는 점: ( )點
2. 지각 변동으로 지층이 끊어져 어긋나는 현상: ( )
3. 수만 ~ 수십만 개의 별들이 공의 모양으로 빽빽하게 모여 있는 별의 집단: ( )星團
4. 석회동굴 내부의 천장에서 발달하는 종유석과 바닥에서 성장하는 석순이 맞닿아 형성된 돌기둥: ( )
5. 연못에 돌을 던졌을 때 물결이 움직이며 퍼져나가는 것처럼, 공간이나 물질의 한 지점에서 발생한 진동으로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현상: ( )
❂ 정답 해설
한자의 음과 뜻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교과 학습에 활용한다.
1. 變曲: 곡선[曲]의 모양이 바뀌는[變]는 점[點].
2. 斷層: 지각 변동으로 지층[層]이 끊어져[斷] 어긋나는 현상.
3. 球狀: 공[球]의 모양[狀]으로 빽빽하게 모여 있는 별[星]의 집단[團]
4. 石柱: 돌[石] 기둥[柱]
5. 波動: 물결[波]이 움직이며[動] 퍼져나가는 것.
(4) 고등학교 언어생활과 한자-4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언어생활과 한자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언한01-10] 한자 문화권의 어휘 비교를 통해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A | 한자 문화권의 어휘를 비교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다. | ||||||
B | 한자 문화권의 어휘를 비교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
C | 한자 문화권의 어휘를 비교해 볼 수 있다. | |||||||
D | 한자 문화권의 어휘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한자 문화권의 어휘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요소 | 한자문화권의 어휘 비교하기 | |||||||
평가 도구 유형 | 완성형 | 성취수준 | A~B | 배점 | 5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한자문화권의 어휘를 비교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는 문항이다. 한자문화권의 어휘를 비교하는 맞춤형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E 수준 학생도 어휘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2 | 평가 도구 |
완성형 |
1. 다음 표는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하는 일상용어이다. 표를 참고하여 ㉠~㉤에 해당하는 한자 어휘를 쓰시오.
한국 | 한자 문화권 | 뜻 |
㉠ | 二手(중국) |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이미 사용한 물건 |
㉡ | 小心(중국) | 잘못이나 실수가 없도록 말이나 행동에 마음을 씀 |
㉢ | 滅火器(타이완) | 불을 끄는 기구 |
㉣ | 短所(일본) 短處(타이완) |
모자라고 허물이 되는 것 |
㉤ | 優先席(일본) 博愛座(타이완) |
노인이나 장애인, 임산부 등 약한 사람을 배려하여 마련된 좌석 |
❂ 정답 해설
한자 문화권의 어휘를 비교한다.
1. ㉠ 中古, ㉡ 操心, ㉢ 消火器, ㉣ 短點, ㉤ 老弱者席
(5) 고등학교 언어생활과 한자-5
1 | 평가 도구 개요 |
학교급 | 고등학교 | 과목 | 언어생활과 한자 | |||||
학년군 | 1~3학년군 | 영역 | ||||||
성취기준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
[12언한01-06]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한자 어휘를 파악하고 조어 특성을 이해한다. | A |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한자 어휘의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 ||||||
B |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한자 어휘의 특성을 대체로 이해할 수 있다. | |||||||
C |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한자 어휘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
D |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한자 어휘를 찾아볼 수 있다. | |||||||
E |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한자 어휘를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 |||||||
평가 과제 |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한자의 음과 뜻, 동음이의어, 혼종어, 한자 줄임말을 찾고 조사하기 | |||||||
평가 요소 | 글을 이해하여 동음이의어를 구별하고 한자 줄임말, 혼종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고 활용할 수 있다. | |||||||
평가 도구 유형 | 주제탐구 | 성취수준 | A~C | 배점 | 6 | |||
개발 방향 및 활용 시 고려사항 |
어휘를 표준 발음법에 맞게 읽으며 한자 줄임말, 혼종어 등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고 언어생활과 문해에 활용할 수 있는가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E 수준 학생은 한자의 음과 뜻의 파악 여부에 따라 한자의 일부만을 파악하거나 동음이의어, 한자 줄임말과 혼종어의 의미를 알지 못하는 경우를 확인하고, 한자의 음과 뜻을 찾아보고 어휘를 언어생활과 문해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A, B 수준의 학생은 동음이의어, 한자줄임말, 혼종어 조사를 통해 프로젝트 활동으로 맥락에 맞는 어휘의 활용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다. 디지털 도구, 여러 매체 등을 활용하여 글을 읽고 이해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
2 | 평가 도구 |
주제탐구 |
※ 다음 글을 읽고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시오.
가) 여야가 ㉠來年도 정부 예산안 처리 마지노선으로 정한 시한을 하루 앞두고 막판 협상에 들어갔다. 하지만 여야 모두 협상에 평행선을 달리면서 최종 처리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 신문 기사 발췌 - 나) 꽃이 언제 피는지 그딴 게 뭐가 중요한데, 날씨가 언제 풀리는지 그딴 거 알면 뭐 할 건데, 추울 땐 춥다고 붙어있고, 더우면 덥다고, 니네 진짜 ㉡이상해. 너의 달콤한 남친은 사실 피시방을 더 가고 싶어하지, 겁나 피곤하대. - 10cm, 「봄이 좋냐??」 - 다) 소리는 물체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고 매질의 진동으로 전달되는 파동이다. 소리가 들린다는 것은 매질의 진동이 내이에 도달하여 달팽이관 속 림프액을 진동시켜 섬모가 흔들리고, 이로 인해 발생한 전기 신호가 청각 신경을 따라 뇌에 전달됨을 의미한다. 이때 소리가 내이에 도달하는 방식으로는 외이와 중이를 거치는 공기 ㉢전도와 이를 거치지 않는 골전도가 있다. - 2022학년도 6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국어 영역 - |
[활동 1]
1) ㉠의 독음을 쓰시오.
2) ㉡과 ㉢을 한자로 쓰시오.
3) 윗글에서 한자 줄임말 2개를 찾아서 한자로 쓰시오.
4) 윗글에서 혼종어 4개를 찾아서 한자와 함께 쓰시오.
[활동 2]
1)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한자 줄임말을 찾아 한자 어휘로 쓰시오. (3개 이상)
2)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혼종어를 찾아 한자와 함께 쓰시오. (3개 이상)
❂ 채점 기준
▣ 채점 기준표
문항 | 채점 요소 | 척도 (점수) |
수행 특성 | |
활동 1 |
어휘 읽고 뜻 알기 한자 줄임말, 혼종어 찾기 |
3점 | 디지털 도구나 기타 매체를 활용하여 글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어휘를 읽고 필요한 어휘를 모두 찾아 정리한다. | |
예시 답안 | 한자의 음과 뜻, 동음이의어, 한자 줄임말, 혼종어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어휘를 모두 찾아 정리한다. | |||
2점 | 디지털 도구나 기타 매체를 활용하여 글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어휘를 읽고 필요한 어휘를 대부분 찾아 정리한다. | |||
예시 답안 | 한자의 음과 뜻, 동음이의어, 한자 줄임말, 혼종어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어휘를 대부분 찾아 정리한다. | |||
1점 | 디지털 도구나 기타 매체를 활용하여 글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어휘를 읽고 필요한 어휘를 일부를 찾아 정리한다. | |||
예시 답안 | 한자의 음과 뜻, 동음이의어, 한자 줄임말, 혼종어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어휘를 일부 찾아 정리한다. | |||
활동 2 |
한자 줄임말, 혼종어 조사하기 | 3점 | [활동 1]에서 찾은 어휘를 활용하여 제시된 어휘를 모두 찾아 정리한다. | |
예시 답안 | 제시한 동음이의어, 한자 줄임말, 혼종어를 모두 찾아 정리한다. | |||
2점 | [활동 1]에서 찾은 어휘를 활용하여 제시된 어휘를 대부분 찾아 정리한다. | |||
예시 답안 | 제시한 동음이의어, 한자 줄임말, 혼종어를 대부분 찾아 정리한다. | |||
1점 | [활동 1]에서 찾은 어휘를 활용하여 제시된 어휘를 일부 찾아 정리한다. | |||
예시 답안 | 제시한 동음이의어, 한자 줄임말, 혼종어를 일부 찾아 정리한다. |
❂ 예시 답안
[활동 1]
1) ㉠ 내년
2) ㉡ 異常, ㉢ 傳導
3) 與野, 男親
4) 마지노(Maginot)線, 피시(PC)房, 달팽이管, 림프(lymph)液
[활동 2]
1) 美大, 勞使, 先後輩
2) 그림册, 洋파, 善플, 컴盲
인용
Ⅰ. 성취수준 개발의 이해
1. 주요 용어 설명
2. 성취수준의 일반적 특성
3.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개발
4. 영역별 성취수준 개발
5. 예시 평가 도구 개발
Ⅱ. 성취수준 활용
1. 성취기준 도달 정도 예측 및 개념화 근거
2. 성취수준 활용 방안
1.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2. 영역별 성취수준
3. 예시 평가 도구
1.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2. 영역별 성취수준
3. 예시 평가 도구
1.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2. 영역별 성취수준
3. 예시 평가 도구
'한문놀이터 > 한문과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개정 한문과 성취수준 - Ⅰ. 성취수준 개발의 이해 & Ⅱ. 성취수준 활용 (1) | 2024.10.03 |
---|---|
2015 개정 - 한문과 평가기준 (0) | 2024.02.20 |
2022 개정 - 한문과 교육과정② (0) | 2023.01.02 |
한문임용 기출 - 23학년도 B형 3번 (0) | 2022.11.28 |
2009 개정 - 한문과 교육과정② (2) | 2022.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