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남당사(南塘詞) - 3. 사무친 그리움에 망부석이라도 되길 본문

한시놀이터/서사한시

남당사(南塘詞) - 3. 사무친 그리움에 망부석이라도 되길

건방진방랑자 2021. 8. 19. 08:44
728x90
반응형

3. 사무친 그리움에 망부석이라도 되길

 

殘粧堕髻畏人窺 지워진 화장과 떨어진 비녀 남이 엿볼까 두려워
宜笑宜顰只自知 마땅히 웃고 마땅히 찡그리며 다만 스스로 알죠.
莫是郞心猶綣戀 낭군은 오히려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半床時有夢來時 반절 평상에 걸쳐 누워 꿈 속에 있을 때 오지 않으려나요?

 

 

水阻山遮雁亦疎 물이 막고 산이 가려 기러기 또한 드문데
經年不得廣州書 해가 지나도록 광주의 편지 받지 못하네.
將兒此日千般苦 아이 데리고 이 날에 여러 가지로 괴로우니
思得阿郞未放初 낭군이 해배되기 전으로 갈 수 있었으면.

 

 

 

幷刀三尺決心胸 잘 드는 가위[각주:1] 삼척으로 가슴을 잘라내면
胸裡分明見主公 가슴 속엔 분명히 낭군 보이리.
縱有龍眠摹畵筆 가령 용면[각주:2]이 화필을 본뜬다면
精誠自是奪天工 정성이 스스로 하느님의 기교로움을 빼앗으리.

 

 

紅橘村西月出山 홍귤동[각주:3] 마을 서쪽에 월출산,
山頭石似望人還 산 정상의 바위는 사람 돌아오길 바라는 것만 같네.
此身萬死猶餘恨 이 몸은 만 번 죽더라도 오히려 여한이 있으니
願作山頭一片頑 산 정상의 한 조각 굳센 바위이길 원하노라.

 

 

 

 

인용

전문

해설

 

 
  1. 병도(幷刀): 병주도(幷州刀) 혹은 병주전(幷州剪)과 같은 말로, 잘 드는 가위를 말한다. 두보(杜甫)의 「희제왕재화산수도가(戲題王宰畫山水圖歌)」에 "어떡하면 병주의 잘 드는 가위 얻어서 오송의 강 반쪽 물을 베어올 수 있을꼬[焉得幷州快剪刀 剪取吳松半江水]." 하였다. [본문으로]
  2. 용면(龍眠): 송(宋) 나라 때의 유명한 화가인 이공린(李公麟)의 별호이다. 이공린이 치사(致仕)한 뒤 용면산으로 들어가서 은거하고는 용면거사라고 자호하였다. 박학(博學)한데다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모두 뛰어났음. 산수(山水)와 불상(佛像), 단청(丹靑)을 잘하였다. 용면산인(龍眠山人). 『송사(宋史)』 「문원전(文苑傳)」 [본문으로]
  3. 홍귤(紅橘): 다산초당이 소재한 마을인 귤동을 말하며 현재는 강진군 도암면 귤동이다.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