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도마복음한글역주, 제18장 - 시작과 끝 본문

고전/성경

도마복음한글역주, 제18장 - 시작과 끝

건방진방랑자 2023. 3. 20. 14:28
728x90
반응형

 18

 

 

시작과 끝

종말은 끝에 있지 않고 시작에 있나니라

 

 

개인의 종말은 죽음이다. 그러나 죽음이 시간의 종료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우리가 흔히 종말론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개체의 죽음이 아닌 세상의 종말 같은 것인데, 인간세상이 종말된다고 또 시간이 종료되는 것도 아니다. 종말은 반드시 또 새로운 시작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역사적 예수는 종말론과는 거리가 먼 사상가였다. 종말론을 운운한다면 예수의 종말은 시간을 역행하는 종말이었다.

 

 

18

1따르는 자들이 예수께 가로되, “우리의 종말이 어떻게 될 것인지 우리에게 말하여 주옵소서.” 2예수께서 가라사대, “너희가 시작을 발견하였느뇨? 그러하기 때문에 너희가 지금 종말을 구하고 있느뇨? 보아라! 시작이 있는 곳에 종말이 있을지니라. 3시작에 서 있는 자여, 복되도다. 그이야말로 종말을 알 것이니, 그는 죽음을 맛보지 아니 하리라.”

1The followers said to Jesus, “Tell us how our end will be.” 2Jesus said, “Have you discovered the beginning, then, so that you are seeking the end? You see, where the beginning is the end will be. 3Blessed is the one who stands at the beginning: That one will know the end and will not taste death.”

 

 

도마복음서 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포괄적 함의를 지니는 말씀자료라 할 것이다. 따르는 자들(the followers), 혹은 제자들(the disciples)의 질문에 예수가 매우 근원적인 사고의 반전을 꾀하는 방식으로 대답하고 있다. 제자들의 질문은 우리의 종말(our end)’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종말이란 과연 무엇일까? 이러한 텍스트의 분석에 앞서 도마복음의 전체적 성격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누구든지 종말을 이야기하면 곧 그것을 초대교회의 종말론(eschatology)과 연결시킬 것이다. 그러나 역사적 예수의 본래적 모습에는 종말론적 윤색이 없다. 예수는 결코 종말론적 사상가가 아니었다. 예수는 오히려 종말론을 부정한 사람이었다. 따라서 도마복음은 종말론과 무관하다. 도마복음의 비종말론적 성격을 두고, 도마복음의 연대를 내려잡는 사람들은, 초대교회 종말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반영된 것이라는 식으로 주해를 가한다. 그러나 도마복음의 로기온자료는 대부분이 초대교회 이전의 오리지날한 예수운동의 성격을 반영한다고 보는 것이 더 정당하다. 그 정당성은 텍스트 그 자체가 말해주고 있다.

 

이 장과 관련된 공관복음서 자료는 마가 13:3~4, 마태 24:3, 누가 21:7에 나오고 있다. 이 중 가장 오리지날한 자료인 마가를 인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예수께서 감람산에서 성전을 마주 대하여 앉으셨을 때에,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과 안드레가 종용(從容)히 묻자오되, “우리에게 이르소서! 어느 때에 이런 일이 있겠사오며 이 모든 일이 이루려 할 때에 무슨 징조가 있사오리이까?”(13:3~4).

 

도마복음의 따르는 자들은 여기서는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과 안드레로 구체화되었다. 도마복음의 따르는 자들은 구체적 지칭성을 지니지 않는다. 말씀의 해석을 발견하기 위하여 예수를 따르는 자들이다(Th.1), 그리고 감람산에서 성전을 마주 대한다는 구체적 상황성이 맥락적으로 전제되어 있지 않다. 이미 마가는 도마복음의 추상적 주제들을 예수 생애의 드라마적 장면 속에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마복음의 우리의 종말어느 때에 이런 일로 변형되고 있다.

 

이런 일이란 이미 그 앞에서 이루어진 예루살렘성전 멸망에 대한 예언(13:1~2)을 지칭하고 있다. 도마의 추상적 질문이 철저히 종말론적 맥락 속에서 변형되고 있는 것이다. 예루살렘성전 멸망에 대한 예수의 예언은 당연히 실제적 역사상황 속에서 일어난 예언일 수 없다. 왜냐하면 마가복음은 티투스의 4개 군단이 예루살렘 성전을 멸망시킨 사건(AD 70) 이후에 쓰여진 것이기 때문이다. 복음서 작가들은 이와 같이 이미 일어난 역사적 사태들을 놓고 마치 사전에 이루어진 예언의 성취인 것처럼 드라마타이즈시키는 것을 조금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한 문학적 상상력은 구약의 다양한 기술 속에 내재하는 오랜 전통이다. 그리고 예언의 본질은 어디까지나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것이며, 현실에 대한 도덕적 징계에 있는 것이다. 점쟁이 스타일의 예측에 있지 아니 한 것이다. 그런데 마태의 기술은 한 발짝 더 나갔다.

 

 

우리에게 이르소서! 어느 때에 이런 일이 있겠사오며 또 주의 임하심과 세상끝에는 무슨 징조가 있사오리이까?

 

 

예루살렘 성전이 무너진 사건과 예수의 재림은 인과적으로 필연적 관계가 없다. 여기 임하심이라는 말로서 선택된 파루시아(παρουσία)’라는 말은 예수의 임박한 재림을 나타내는 전문용어이다. 마가는 예루살렘 성전 멸망이라는 사건만을 이야기했는데, 마태는 거기에 주의 임하심’(재림)세상끝’(종말)이라는 두 사태를 첨가시켜 놓았다. 초대교회의 문제의식을 더욱 명료하게 노출시킨 것이다. 마가의 숨겨진 의도를 마태는 항상 명백하게 드러내는 성향이 있다. 그 뒤로 공관복음서의 계시록이라고 말하는 종말에 대한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마가는 많은 사람이 내 이름으로 와서 이르되, ‘내가 그로라하여 많은 사람을 미혹케하리라라고 표현한 것을, 마태는 많은 사람이 내 이름으로 와서 이르되, ‘나는 그리스도하여 많은 사람을 미혹케 하리라라고 하여 그 표현을 기독론적 맥락에서 구체화시키고 있다.

 

 

이집트 사막의 거대한 피라미드나 돌 건축도 레바논의 백향목 없이는 불가능했다. 비계, 운반 굴림목, 지붕, , 창틀 곳곳에 다양한 용도로 쓰였다. 쿠푸왕의 대피라미드 동쪽 지하에 모인 태양의 배, 쿠푸의 영혼이 하늘로 가기 위해 타는 43.5m 길이의 이 배도 물론 레바논의 백향목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 거대한 태양의 배도 종말과 시작이 끊임없는 순환임을 말해주고 있다. 융이 말하는 아키타입의 한 표현일까?

 

 

여기 도마복음을 살펴보면 그 본래적 맥락은 돌 하나도 돌 위에 남지 않고 다 무너뜨려지는외재적 사건이 아니라 우리의 종말이라는 실존적 사태였다는 것이 드러난다. 따르는 자들이 예수에게 묻고 있는 우리의 종말(our end)’이란 과연 무엇인가?

 

우리의 종말은 따르는 자들의 개체적 사태이며, 그것은 개체의 죽음을 의미할 수밖에 없다. 우리의 죽음은 과연 어떠한 방식으로 일어날 것인가?

 

공자의 사랑하는 제자 안회(顔回)가 죽었다. 아마도 안회의 장례를 치르고 난 직후였을 것이다. 자로가 공자에게 불쑥 묻는다. “죽음에 관하여 감히 여쭙고자 하옵니다[敢問死]?” 이에 공자는 무어라 대답했던가?: “아직 삶도 다 모르는데, 어찌 죽음을 알겠느냐[未知生, 焉知死]?”

 

전통적으로 이러한 공자의 대답은 기독교의 사상과는 아주 대조적인 현실주의를 말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종말을 캐는 도반들의 물음에 관한 예수의 답변은 공자의 대답방식과 크게 차이가 없다. 공자는 죽음에 대한 물음을 삶에 대한 물음으로, 그 관심을 근원적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예수도 마찬가지다! 종말에 대한 물음을 근원적으로 시원·시작에 대한 물음으로 전이시키고 있는 것이다. 예수는 말한다: “너희들이 나에게 너희들의 종말에 관해 묻는가? 그렇다면 너희들이 이미 너희들의 시작을 발견하였느뇨? 시작을 발견하였기 때문에 너희가 지금 종말을 구하고 있느뇨?” 공자가 죽음을 삶으로 이동시켰다면 예수 또한 종말을 시작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도반들의 사고의 근원적 혁명을 요구하는 것이다. 과연 예수의 말은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 것일까?

 

 

감람산(The Mount of Olives) 전경(). 아래 사진은 감람산 중턱 겟세마네 동산에 세워진 아름다운 주 울음 교회(Church of Dominus Flevit)의 모습, 감람산은 예루살렘과 기드론 골짜기를 사이에 두고 동편에 있는 동산으로 베다니와 여리고 방면으로 쭈욱 뻗쳐있다. 감람산은 해발 850m, 여리고는 해수면 보다 250m 낮다. 감람산이라는 명칭은 구약에는 두 번밖에 나타나지 않는다(삼하 15:30, 14:4). 그러나 신약에는 예수가 예루살렘 부근에 있을 때는 기도나 휴식할 때 항상 찾는 곳으로 등장한다(24:3, 26:30, 21:37. 8:1), 예수의 예루살렘 입성도 감람산 방면에서 이루어진 것이다(21:9). 본 장의 종말론적 언급도 바로 이곳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인용

목차

본문

성경

주제상관도표

기독교성서의 이해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