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도마복음한글역주, 서장 - 메시아니즘과 도마복음 본문

고전/성경

도마복음한글역주, 서장 - 메시아니즘과 도마복음

건방진방랑자 2023. 3. 16. 15:49
728x90
반응형

 메시아니즘과 도마복음

교회는 종말론적 회중이었다

 

 

바울은 죽은 예수를 만났다. 바울은 살아있는 예수를 만난 적이 없다. 죽은 예수를 만났기에 그가 만난 예수는 부활한 예수였다. 따라서 그의 선포의 주제는 예수가 말하는 생생한 하나님의 나라가 아니라 부활이었다. 예수의 부활을 우리의 다시 태어남의 한 모델로 생각했다. 그러니까 바울은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해석했다. 그에게는 살아있는 예수의 말씀이 존재치 아니했다.

 

 

도마복음서를 만든 사람들에게는 목사나 신부나, 사도신경이나, 신약정경 27서와도 같은 오늘날 교회조직이 강요하는 일체의 권위가 존재하지 않았다. 아니, 그러한 문제가 스트레스를 주는 실체로서 형상화되기 이전의 시대였다. 그러나 이미 예수 사후 직후부터 예수운동은 다양한 발전경로를 걷기 시작했다. 그 중 가장 강력한 운동이 뭐니뭐니 해도 에클레시아(ekklēsia), 즉 교회운동이었다. 에클레시아란 뜻은 어원적으로 부름을 받은 자, 즉 선택받은 자들의 모임이란 뜻이다. 이러한 회중이 선택받았다고 하는 특별한 의식(일종의 선민의식)을 강하게 갖기 위해서는 특별한 이론적 장치가 필요했다.

 

바울만 해도 그의 서신에서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며,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라고 말했다(1:18, 24, 1:22, 5:23).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중요한 사실은 바울이 선택하고 있는 단어가 예수가 아니라 그리스도라는 것이다. 사실 바울은 그의 서한에서 예수를 거의 말하지 않는다. 그가 만난 것은 예수가 아니라 그리스도다. 그가 예수라는 말을 쓸 때에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예수 그리스도의 축약형일 뿐이다. 예수는 이 땅 위에서 우리처럼 밥 먹고 똥 싸고 매일 매일 힘들게 살았던 한 인간이다. 그러나 그러한 예수를 가지고서는 교회운동을 일으키기 힘들었다. 더구나 그 당시 사람들은 유대인이든 헬라인이든 이집트인이든 동방제국의 사람이든지간에 모두 짙은 신화적 전통 속에서 살아온 사람들이다. 그들에게 신화는, 현대인에게 있어서의 과학(science)과 대비되는 신화(myth)가 아니라, 그냥 일상적 어휘였고 상식적 인식방법이었다. 따라서 교회운동을 하기 위하여서는 그들에게 아필될 수 있는 어떤 신화적, 아니면 그에 필적하는 어떤 새로운 개념이 필요했다.

 

 

 지금 다 헐려 사라졌지만 내가 쳐다보고 있는 감실(龕室)이 판신전 내부의 신상이 모셔져 있던 곳이다.

  

 

이 개념이 바로 그리스도라는 것이다. 그리스도(christos)는 메시아(māšȋaḥ)라는 히브리말의 헬라어 번역이며 그 뜻은 기름 부음을 받은 자(the anointed)’라는 뜻이다. 왕이 될 때, 그 머리 위에 기름을 붓는 대관례(大冠禮)에서 비롯된 것인데, 기름 부음을 받는 동시에 하나님의 아들(son of God)’이라는 칭호를 얻었다(삼상 10:1, 16:1~13, 2:7, 89:26). 이 전통은 사울에게서 시작하여 다윗 때 확립된 것이다. 따라서 유대인들에게 메시아 = 그리스도라는 개념은 다윗처럼 이민족을 물리치고 이 팔레스타인 지상 위에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새로운 왕국을 건설하는 지도자를 의미했다. 이러한 개념은 예수시대가 마침 로마라는 이민족의 지배를 받는 식민지시대였기 때문에 당연히 로마군단을 다윗이 골리앗을 쓰러뜨리듯이 물리칠 수 있는, 현실적인 대로마항쟁의 투사적 왕(a belligerent King)을 의미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과연 역사적 예수는 그러한 투사(鬪士)적 왕이었을까? 구약의 신화들을 철석같이 믿었던 유대인들에게는 야훼라면 로마군단 정도는 간단히 해치울 수 있어야 한다.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라면 어찌하여 그러한 하나님의 권능을 과시할 수 없단 말인가?

 

그러나 예수는 AD 30년경 맥아리 없이 죽고 말았다. 아무런 정치적 변화를 일으키지 못하고, 식민지 상태로부터 벗어나는 하등의 사회변화를 초래하지 못하고 시시하게 죽고만 것이다. 그러니까 예수운동을 하는 일부 사람들에게는 이런 문제가 매우 고민거리였다. 죽어버린 예수를 가지고서는 메시아운동이 성립하지 않는다. 메시아운동이란 사람들에게 정치적 해방의 기쁨이나 소망을 던져주어야 한다. 최소한 그러한 희망의 환상이라도 심어줄 수 있어야 한다. ‘정치적 해방이란 결국 삶의 해방이다. 삶의 해방이란 정신적 자유를 획득하는 것이다. 결국 메시아니즘은 이런 모든 가치와 연계되어 있었다. 따라서 예수를 메시아로서, 그러니까 그리스도로 만드는 가장 현명한 방법은, 예수가 그의 삶의 소신에 따라 의리있게 죽었다는 바로 그 사실을 이용하는 것이다.

 

죽었기 때문에 부활할 수 있고, 부활했기에 승천할 수 있고, 승천했기에 다시 올 수 있는 것이다. 다시 옴을 재림(再臨) 즉 파루시아(parousia)라고 불렀는데24:3, 살전 4:15, 5:7 등에 이 단어의 용례가 있다, 에클레시아 즉 교회라는 것은 재림사상이 없이는 성립할 수 없는 회중이었다. 이 긴박한 재림사상(the imminent Second Coming)이야말로 그 시대 사람들의 신화적 상식과 미래에 대한 희망과 현실적 공동체의 결속력을 창출할 수 있는 최적의 옵션이었다. 불트만은 그의 대저 신약성서신학(Theology of the New Testament)에서 아주 간결하게 말한다: “초기교회는 종말론적 회중이었다(The earliest Church regarded itself as the Congregation of the end of days).”

 

여기 종말론이라는 뜻은 재림의 다른 표현이다. 재림이란 그냥 단순히 다시 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다시 옴의 사건과 함께 인간세의 역사 즉 시간의 종말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즉 우리가 사는 이 더러운 세상을 싹 쓸어버린다는 것이다. 말끔히 자취없이 끝내버린다는 것이다. 오늘날의 상식으로 보면 재림 = 종말을 공포가 아닌 희망으로 삼는다는 것은 참 어색하고 아둔하기 그지없는 인간들의 소치(所致)로 느껴지지만, 그 당시의 현실적 절망감이 그것을 공포 아닌 희망으로 만들었다면 그러한 종말론적 역사적 상황이 이해될 만도 한 것이다. 교회가 선포하는 것은 예수가 아닌 그리스도였다. 선포하던 예수가 이제 선포되기에 이른 것이다(The proclaimer became the proclaimed), 교회는 예수를 메시아로 선포했다. 이러한 분위기는 이미 바울의 서한과 공관복음서에 충분히 반영되어 있다.

 

그러니까 바울은 산 예수를 만난 것이 아니라 죽은 예수를 만났다. 그가 다메섹으로 가는 도중에 홀연히 하늘에서 비추는 빛 속에서 들은 음성이, 그가 만난 예수의 전부였다. 바울은 죽은 예수를 만났기 때문에 바울이 교회운동에서 천착한 핵심적 테마는 부활일 수밖에 없었다. 그에게 현현한 예수는 육신으로 죽었다가 부활한 예수였던 것이다. 따라서 그 부활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그는 생각하고 또 생각했다. 그리고 예수 부활의 의미를 우리 삶 속에서 실천하는 것이야말로 그가 교회의 회중에게 선포하는 신앙의 내용이었던 것이다. 그러기 때문에 바울의 예수는 추상적이고 철학적인 그리스도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여기 도마복음서는, 우리에게 오히려 익숙치 않은, 새로운 예수를 선포한다. 죽은 예수가 아니라, 살아있는 예수를 선포하는 것이다. ‘살아있는 예수는 죽음의 전제조차 없는 예수다. 그의 말씀을 듣는 살아있는 회중 속에서 살아 움직이는 예수다. 이 살아있는 예수에게는 죽음의 전제가 없기 때문에 부활도 있을 수 없다. 부활을 운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승천도 재림도 있을 필요가 없다. 일체의 신화적 장치가 사라지고 마는 것이다. 일체의 종말론적 전제나 개념이 없어지는 것이다. 그 대신 남는 것은 오로지 하나! 살아있는 예수의 말씀(로기온)인 것이다.

 

 

 가이사랴 빌립보의 우거진 녹음, 암반에서 솟아나는 물길 따라 걷는 기분은 우리 조선땅 금수강산의 축복된 봄의 향연을 만끽하는 것과도 같은 감동이다. 로마가 제국문명을 확립하면서 유럽과 근동에 13개의 가이사랴 도시를 건설하였다. 그 중 두 개가 팔레스타인 땅에 있는데 하나는 지중해 연안에 아우구스투스황제를 위하여 헤롯대왕이 건설한 것이고 또 하나가 그의 아들 빌립보(Philip)가 건설한 것이다. 여기에는 아우구스투스신전을 비롯, 판신전, 제우스신전, 네메시스재판소, 판과 님프의 광장, 그리고 판의 자연동굴 지성소가 있었다. 자연동굴에서 희생양을 바치는데 주변 샘들에서 피가 안 비치면 판신이 희생을 받으신 것이고, 피가 비치면 희생을 거절한 것으로 여겼다. 이곳에서 베드로가 예수를 그리스도로 고백했을 때 예수는 그 고백내용을 비밀로 간직할 것을 당부하였다. 왜 그랬을까? 이 예수의 당부는 20세기 초 ‘메시아비밀’이라는 신학논쟁을 유발시켰다. 다음 편의 주제다.

  

 

인용

목차

본문

성경

주제상관도표

기독교성서의 이해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