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법에 의해 다시 태어나라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8-1.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뇨? 만약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 가득찬 칠보로써 보시한다면, 이 사람이 얻을 복덕이 많다 하겠느냐? 그렇지 않다 하겠느냐?”
“須菩堤! 於意云何? 若人滿三千大千世界七寶, 以用布施. 是人所得福德寧爲多不?”
“수보리! 어의운하? 약인만삼천대천세계칠보, 이용보시. 시인소득복덕녕위다불?”
이 장에서 우리의 ‘악취공(惡取空)’의 가능성을 경계한다. 법(法)을 버리고 비법(非法)을 떠난다 해서 그럼 우리 인간은 아무 것도 하지 말란 말인가? 무위(無爲)란 정말 ‘아무 것도 하지 말라’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우리의 현실적 도덕적 행위는 결코 의미 없는 것이 아니다. 단지 그것을 행하는 자세가 보살승에 올라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항상 진리에 의하여 다시 태어나야 하는 것이다.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는 인도인의 과장벽이 심한 우주관의 한 전형이다. 중국인들은 매우 소박한 천지(天地), 즉 음양의 하늘과 땅만을 생각했다. 그러나 인도인의 우주관은 오늘 현대물리학에서 말하는 갤럭시이론들과 비슷하다. 그 과장된 표현이 심하지만, 실은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의 실상에 보다 가까운 표현이라 해야 할 것이다.
수미산(須彌山)이 가운데 우뚝 솟아 있고, 그것을 동심원으로 둘러싸는 일곱 개의 산맥이 있다. 그리고 제일 외연에는 철위산(鐵圍山)이 둘러쳐 있다. 이 구산(九山)의 사이사이에 팔해(八海)가 있다. 또 그 제일 바깥쪽 바다에는 사대주(四大洲)가 떠있다. 요것이 우리가 살고 있는 하나의 수미세계(須彌世界)이며, 위로는 색계(色界)의 초선천(初禪天)으로부터 아래로는 대지하(大地下)의 풍륜(風輪)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 하나의 수미세계를 1,000개 모은 것을 소천세계(小千世界)라고 한다. 이 소천세계(小千世界)를 또 1,000개 모은 세계가 중천세계(中千世界)이며, 이 중천세계(中千世界)를 또 1,000개 모은 세계가 대천세계(大千世界)이다. 이 대천세계(大千世界)는 소(小)ㆍ중(中)ㆍ대(大) 3종의 천세계(千世界)로부터 이루어지기 때문에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즉 ‘세 개의 천세계(千世界)로 이루어지는 대천세계(大千世界)’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 대천세계(大千世界)는 우리가 살고 있는 수미 세계의 1,000의 3승, 즉 10억 개의 수미세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이 바로 한 부처님의 교화의 범위가 된다.
‘칠보(七寶)’도 경전마다 이동(異同)이 심하고 순서도 다르지만, 대체로 귀금속이나 보석, 즉 가장 값이 비싼 것들 7종(種)을 가리키는 것이다.
보통 1) 금(金, suvarṇa), 2) 은(銀, rūpya), 3) 유리(瑠璃, vaiḍūrya), 4) 파려(頗黎, sphaṭika), 5) 차거(硨磲, musāragalva, 인도에서 나는 조개), 6) 산호(珊瑚, lohitamuktikā), 7) 마노(瑪瑙, aśmagarbha)를 가리킨다.
이렇게 삼천대천세계에 가득찰 수 있는 칠보만큼의 많은 물질적 재산으로 어떤 사람이 보시를 한다면 과연 이 사람의 복덕은 많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인가? 여기서 우리는 예수가 돈 많은 청년에게 한 말을 상기해볼 수 있다.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부자는 천국에 들어가기가 어려우니라. 다시 너희에게 말하노니 약대가 바늘귀로 들어가는 것이 부자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쉬우니라 하신대(「마태」 19:23~24).
또 예수의 산상수훈에:
너희를 위하여 보물을 땅에 쌓아 두지 말라. 거기는 좀과 동록이 해하며 도적이 구멍을 뚫고 도적질 하느니라. 오직 너희를 위하여 보물을 하늘에 쌓아 두라. 저기는 좀이나 동록이 해하지 못하며 도적이 구멍을 뚫지도 못하고 도적질도 못하느니라. 네 보물 있는 그곳에는 네 마음도 있느니라(「마태」 6:19~21).
‘하늘에 보물을 쌓아둔다’ 했을 때의 하늘은 저 푸른 구름 위가 아니다. 그 구름 위에는 싸늘하고 희박한 공기가 있을 뿐이다. 그 하늘은 바로 ‘대승(大乘)의 마음’인 것이다. 예수가 보물 있는 그 곳에 네 마음이 있다 한 것도 바로 그것을 말함이다. 보물을 오직 세속적인 향락을 위하여 쌓아둔다면 내 마음은 오직 그 세속적 향락과 함께 있을 뿐이다. 여기 ‘하늘’이라 함은 보이지 않는 보편적 진리의 세계이다. 칠보(七寶)공덕의 궁극적 효용은 보이는 물질세계의 풍요를 위한 것이 아니다. 어떻게 인간이 인간다웁게 깨닫고 사느냐 하는 형상을 넘어선 마음의 세계에 있는 것이다. 그 형상을 넘어선 마음의 세계를 예수는 ‘하늘’이라 한 것이다(Heaven = Mind).
그런데 일단 칠보공덕의 세속적 효용을 붓다와 수보리는 긍정하는 자세로 대화를 진행한다.
인용
'고전 > 불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강해, 제팔분 - 8.3 若復有人 ~ 其福勝彼 (0) | 2022.11.17 |
---|---|
금강경 강해, 제팔분 - 8.2 甚多 ~ 是故如來說 福德多 (0) | 2022.11.16 |
금강경 강해, 제칠분 - 7.3~4. 如來所說法 ~ 而有差別 (0) | 2022.11.16 |
금강경 강해, 제칠분 - 7.2 如我解佛所說義 ~ 亦无有定法如來可說 (0) | 2022.11.16 |
금강경 강해, 제칠분 - 7.1 於意云何 ~ 如來有所說法耶 (0) | 2022.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