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홍대용 - 대동풍요서大東風謠序 본문

산문놀이터/조선

홍대용 - 대동풍요서大東風謠序

건방진방랑자 2019. 5. 29. 14:22
728x90
반응형

大東風謠序

 

천기에서 나온 노래가 우수한 것이다

歌者言其情也 情動於言 言成於文 謂之歌 舍巧拙忘善惡 依乎自然 發乎天機 歌之善也 故詩之國風 多從里歌巷謠 或囿涵泳之化 亦有諷刺之意 雖有遜於康衢謠之盡善盡美 固皆出於當世性情之正也

 

주나라 이전까진 시의 교화가 위에서 아래까지 행해졌다

是以邦國陳之 太師採之 被之管絃而用之宴樂 使庠塾絃誦之士 田野褦襶之氓 俱得以歡欣感發而日遷善而不自知 此詩敎之所以自下達上也

 

주나라 이후엔 천기가 참다움을 잃었다

自周以後 華夷雜糅 方言日以益變 風俗澆薄 人僞日以益滋 方言變而詩與歌異其體 人僞滋而情與文不相應 是以其聲律之巧 格韻之高 用意雖密而愈失其自然 理致雖正而愈喪其天機 欲以此而紹風雅而化邦國 則不亦遠乎

 

글이 옛 것을 본받지 않았다고 배척하며 시교가 멸망했다

顧里巷歌謠之作 出於自然之音響節族者 腔拍雖間於華夷 邪正多從其風俗 分章叶韻而感物形言者 固異曲同工而所謂今之樂猶古之樂也 乃以其文不師古 詞理鄙俗也 邦國不陳 太師不採 使當時無有比音律獻天子 則後世無以考治亂得失之迹 盖詩敎之亡 於是乎極矣 朝鮮固東方之夷也 風氣褊淺 方音侏𠌯 詩律之工 固已遠不及中華而詞操之體 益無聞焉 其所謂歌者 皆綴以俚諺而間雜文字 士大夫好古者 往往不屑爲之 而多成於愚夫愚婦之手 則乃以其言之淺俗而君子皆無取焉 雖然 詩之所謂風者 固是謠俗之恒談 則當時之聽之者 安知不如以今人而聽今人之歌耶

 

천기가 드러난 시는 부족해도 그대로 작품이다

惟其信口成腔而言出衷曲 不容安排 而天眞呈露 則樵歌農謳 亦出於自然者 反復勝於士大夫之點竄敲推言則古昔而適足以斲喪其天機也 苟善觀者不泥於迹而以意逆志 則其使人歡欣感發而要歸於作民成俗之義者 初無古今之殊焉 且其取比起興之意 傷時懷古之辭 或出於賢人君子之口 則其忠君愛上之意 又渢渢乎言有盡而意有餘 盖已深得乎風雅遺意 而其辭淺而明 其意順而著 使婦人孺子皆足以聞而知之 則所謂詩敎之達于上下者 舍此奚以哉

 

이 책으로 바라는 것

謹採古今所傳 集成二册 名以大東風謠 凡千有餘篇 又得別曲數十首以附其後 以備太師之採 庶有補於聖朝觀風之政 若其調戱淫褻之辭 亦夫子不去鄭衛詩之意 晦翁所謂思所以自反而有以勸懲之者 尤在上者之所不可不知也云爾 -湛軒書

 

 

 

 

해석

 

천기에서 나온 노래가 우수한 것이다

 

歌者言其情也 情動於言 言成於文 謂之歌

노래[]란 그 정()을 말하는 것이다. ()이 말에 움직이고 말이 글에 이루어지는 것을 노래라 한다.

 

舍巧拙忘善惡 依乎自然 發乎天機 歌之善也

교졸(巧拙)을 버리고 선악(善惡)을 잊으며 자연을 따르고 천기(天機)를 발하는 것은 노래의 우수한 것이다.

 

故詩之國風 多從里歌巷謠

그런 까닭에 시경(詩經)의 국풍(國風)은 허다히 이항(里巷)의 가요(歌謠)를 따랐으므로

 

或囿涵泳之化 亦有諷刺之意

혹은 덕성(德性)을 함양하는 교화가 있고 또 아름답지 못함을 풍자하는 뜻도 있다.

 

雖有遜於康衢謠之盡善盡美[각주:1]

그러니 진선진미한 강구요(康衢謠)에 비하면 비록 손색은 있으나

 

固皆出於當世性情之正也

진실로 모두가 그 당시의 정당한 성정(性情)에서 나온 것이다.

 

 

 

주나라 이전까진 시의 교화가 위에서 아래까지 행해졌다

 

是以邦國陳之 太師採之[각주:2]

이런 때문에 방국(邦國)이 아뢰면 태사(太師)가 이를 채취하여

 

被之管絃而用之宴樂

관현(管絃)에 올려서 연락(宴樂)에 사용하여,

 

使庠塾絃誦之士 田野褦襶之氓

상숙(庠塾)에서 거문고를 타고 글을 외우는 선비나 전야(田野)에서 패랭이를 쓰고 농사짓는 백성들로 하여금

 

俱得以歡欣感發而日遷善而不自知

모두 기뻐하고 감동하여 날로 착함에 옮기되, 스스로 그 연유를 알지 못하게 하였던 것이다.

 

此詩敎之所以自下達上也

이는 시()의 교화가 아래로부터 위에까지 통달한 것이다.

 

 

 

주나라 이후엔 천기가 참다움을 잃었다

 

自周以後 華夷雜糅 方言日以益變

() 나라 이후로는 화ㆍ가(華夷)자 뒤섞여 방언(方言)이 날로 더욱 변하고,

 

風俗澆薄 人僞日以益滋

풍속이 각박하여 거짓말이 날로 더욱 늘어났다.

 

方言變而詩與歌異其體 人僞滋而情與文不相應

방언이 변함으로 시()와 노래의 그 체()가 다르게 되고, 거짓말이 늘어나므로 정과 글이 서로 응하지 않았다.

 

是以其聲律之巧 格韻之高

이런 때문에 성률(聲律)만 교묘하고 격운(格韻)만 높았으니,

 

用意雖密而愈失其自然

생각함은 비록 세밀하나 그 자연스러움은 더욱 없어지고,

 

理致雖正而愈喪其天機

소리는 비록 올바르나 그 천기(天機)의 참다움은 더욱 잃어버렸다.

 

欲以此而紹風雅而化邦國 則不亦遠乎

이로써 풍아(風雅)를 잇고 나라를 변화시키고자 한다면 또한 너무나 동떨어진 것이 아니겠는가!

 

 

 

글이 옛 것을 본받지 않았다고 배척하며 시교가 멸망했다

 

顧里巷歌謠之作 出於自然之音響節族者

돌이켜 보건대, 이항(里巷)에서 지은 가요는 자연의 소리 그대로 나온 것이므로

 

腔拍雖間於華夷 邪正多從其風俗

곡조와 박자(拍子)는 비록 화ㆍ가(華夷)가 간격이 있을지라도 간사하고 정직함은 그 풍속을 많이 따르는 것이었다.

 

分章叶韻而感物形言者

()으로 나누어 운()에 맞게 하고 사물(事物)에 감동되어 말로 형용한 것은

 

固異曲同工而所謂今之樂猶古之樂也

진실로 곡조는 다르나 이른바, ‘오늘날의 음악과 같다.’는 것이다.

 

乃以其文不師古 詞理鄙俗也

이에 그 글이 옛것을 본받지 않고 문장으로 만들은 것이 조잡하고 속되다 하여,

 

邦國不陳 太師不採

방국에서 아뢰지 않고 태사(太師)도 채취하지 아니하여,

 

使當時無有比音律獻天子

그 당시에 있어서도 음률에 맞추어서 천자(天子)에게 드릴 수 없게 하고,

 

則後世無以考治亂得失之迹

후세의 사람도 치란(治亂)과 득실(得失)의 자취를 상고할 수 없도록 하였으니,

 

盖詩敎之亡 於是乎極矣

대개 시교(詩敎)의 멸망함이 여기에서 극도로 된 것이었다.

 

朝鮮固東方之夷也 風氣褊淺

조선(朝鮮)은 본디 동방(東方)의 오랑캐[]이다. 풍기(風氣)가 좁고 얕으며

 

方音侏𠌯

방음(方音)도 분명치 못해서 알아듣기가 어렵다.

 

詩律之工

그러므로 시률(詩律)의 공교함이

 

固已遠不及中華而詞操之體 益無聞焉

중화(中華)에 비교하면 동떨어지게 미치지 못했으니, 사조(詞藻)로 된 체재(體裁)는 더욱 들을 것이 없다.

 

其所謂歌者 皆綴以俚諺而間雜文字

그 소위 노래란 것은 모두 항간에 퍼져 있는 상말로 엮었는데, 간혹 문자가 섞여 있다.

 

士大夫好古者 往往不屑爲之

옛 것을 좋아하는 사대부(士大夫)로서는 가끔 짓기를 좋아하지 않았고

 

而多成於愚夫愚婦之手

어리석은 사람의 손에서 많이 이루어졌던 것이다.

 

則乃以其言之淺俗而君子皆無取焉

이러므로 그 말이 얕고 속되다 하여 군자(君子)는 모두 취하지 않는다.

 

雖然 詩之所謂風者 固是謠俗之恒談

그러나 시경(詩經)에 이른 풍()이란 것도 본디 풍속을 노래한 보통 말이었다.

 

則當時之聽之者 安知不如以今人而聽今人之歌耶

그렇다면 그 당시에 듣던 자도 지금 사람이 지금 사람의 노래를 듣는 것처럼 아니하였으리라는 것을 어찌 알겠는가.

 

 

 

천기가 드러난 시는 부족해도 그대로 작품이다

 

惟其信口成腔而言出衷曲 不容安排

오직 그 입에서 나오는 대로 노래가 이뤄진다 하더라도 말이 마음에서 우러나오고, 혹 곡조에 알맞게 되지 못했다 하더라도

 

而天眞呈露 則樵歌農謳 亦出於自然者

천진(天眞)이 드러나면 초동(樵童)과 농부(農夫)의 노래라 할지라도 또한 자연에서 나온 것이니,

 

反復勝於士大夫之點竄敲推言則古昔而適足以斲喪其天機也

말은 비록 옛 것이니 그 천기(天機)를 깎아 없앤 사대부로서 이것저것 주어 모아 애써 지은 것보다는 도리어 나을 것이다.

 

苟善觀者不泥於迹而以意逆志

진실로 잘 관찰하는 자가 자취에 구애하지 않고 뜻으로써 미루어 간다면

 

則其使人歡欣感發而要歸於作民成俗之義者

그 사람으로 하여금 기뻐하고 감발(感發)하여 결국 백성답게 되고 풍속을 이룸에 돌아가도록 하는 의의는

 

初無古今之殊焉

애당초 고금이 다르지 않은 것이다.

 

且其取比起興之意 傷時懷古之辭

또 그 비유함을 취하고 흥()을 일으키는 뜻과 시대를 슬퍼하고 예전을 생각하는 말이

 

或出於賢人君子之口 則其忠君愛上之意

혹 현인ㆍ군자의 입에서 나온다면 임금에게 충성하고 어른을 사랑하는 뜻이

 

又渢渢乎言有盡而意有餘

또한 아름답고 알맞게 되어서 말은 끝난다 해도 뜻은 남음이 있는 것이다.

 

盖已深得乎風雅遺意

이것은 대개 풍아(風雅)의 남긴 뜻을 깊이 얻는 것이니,

 

而其辭淺而明 其意順而著

그 말이 얕으면서도 밝고 그 뜻이 순하면서도 나타나서

 

使婦人孺子皆足以聞而知之

부인과 어린애가 들어도 모두 알 수 있게 되었다.

 

則所謂詩敎之達于上下者 舍此奚以哉

그런즉 이른바, ‘시교(詩敎)가 위아래에 통한다.’는 것은 이를 버리고 무엇으로써 하겠는가?

 

 

이 책으로 바라는 것

 

謹採古今所傳 集成二册

옛부터 지금까지 전해 온 것을 삼가 뽑아 모아서 두 책을 만들고

 

名以大東風謠

대동 풍요(大東風謠)라 이름했는데,

 

凡千有餘篇 又得別曲數十首以附其後

무릇 천 편이 넣는다. 또 별곡(別曲)으로 된 수십 편을 그 끝에 붙여서

 

以備太師之採 庶有補於聖朝觀風之政

태사(太師)의 채택함에 대비하니, 성조(聖朝)에서 풍속을 살피는 정사에는 거의 도움이 있을 것이다.

 

若其調戱淫褻之辭

그 희롱하고 음탕한 말 같은 것은 또한

 

亦夫子不去鄭衛詩之意[각주:3]

부자(夫子)께서 정ㆍ위(鄭衛)의 시()를 버리지 않았던 뜻인 것이다.

 

晦翁所謂思所以自反而有以勸懲之者[각주:4]

회옹(晦翁)이 이른바, ‘스스로 권선징악을 반성해야 한다.’는 것은

 

尤在上者之所不可不知也云爾 -湛軒書

더욱 윗사람으로서는 몰라서는 아니 될 것이리라.

 

 

인용

11137

 

 

 

 

 

  1. 康衢謠: 중국 고대 이상적인 요순 시대에 백성들이 태평함을 즐기던 노래. [본문으로]
  2. 太師: 고대 중국에서 악(樂)을 맡은 벼슬 이름. [본문으로]
  3. 鄭衛: 시경 국풍(國風) 중에서 음탕하다고 칭해진 정풍(鄭風)과 위풍(衛風). [본문으로]
  4. 晦翁: 주자(朱子)를 존칭함이다.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