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궁극적으로 언어의 노예다. 자기가 만들어 놓은 언어의 굴레를 맴돌 뿐이다. -28쪽
곽점죽간의 하나인 『語叢 二』의 제29간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喜生於性, 樂生於喜, 悲生於樂” 이것은 性에서 발현된 “기쁨喜”이라는 감정이, “즐거움樂”으로 발전되고, 또 그것이 “슬픔悲”으로 전환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옛 사람들이 情이라는 것을 단순하고 맹목적인 “쾌락”으로 생각한 것이 아니라, 매우 복잡한 인식론적 중층성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인간학적 과제상황으로서 파악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82쪽
인간을 교육시킨다고 하는 문제는 결코 이성적 인간을 만드는 데만 그 목적이 있지 아니 하다. 이성은 상식이다. 우리가 배양해야 할 것은 情感의 윤리성과 심미성이다. 심미적 감성을 결여한 윤리는 독선적이고 맹목적일 수 있으며, 윤리적 당위를 결여한 심리는 나른하고 자기기만적일 수 있다. -83쪽
‘맛’은 ‘멋’이며, ‘힘’이다. ‘맛’은 ‘몸’의 가치의 총화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맛은 힘을 창출한다. 소기된 바의 목적을 낭비없이 달성함으로써 힘을 증대시키며 또 동시에 힘을 제약시킨다. 절제없는 맛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119쪽
‘好問’이란 끊임없이 가슴을 열고 타인에게 자문을 구하는 것이다. 중대사에 있어서 홀로의 판단에 의지하지 않는다. ‘호문’이라 해서 자신의 판단을 흐리지는 않는다. 판단의 주체는 어디까지나 나 자신이다. 타인의 앎을 ‘물음’을 통하여 나의 것으로 만드는 덕성이 지도자의 가장 중요한 요건이라는 것이다. -135쪽
영재교육? 나는 단연코 반대다! 사람들이 평범한 지혜를 물을 줄을 모르고, 도사랍시고 음양오행, 주역 운운하며 우스꽝스러운 개량한복이나 입고 뻥끗거리는 족속들이 결국 이 사회의 분위기를 흐려놓는 것이다. 남들보다 대학교를 10년 더 먼저 나온다 한들, 10년 더 빨리 학문이 성취되는 것도 아니요, 10년만큼 더 많이 이 사회에 이바지하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10년 더 빨리 출세하는 것도 아니다. -136쪽
『노자』를 주해한 왕필의 다음과 같은 명언에 한번 귀를 기울여 볼 필요가 있다: “사랑하지 마라! 사랑을 하기만 하면 반드시 만들고, 세우고, 베풀고 감화를 주면, 만물은 스스로 자기를 잘 가꾸어 나가는 데 오히려 그들의 참모습을 파괴하는 것이 된다. 은혜가 있고 함이 있으면, 사물들이 치우치게 되어 공존의 미덕을 상실한다. 不仁也. 仁者, 必造立施化, 有恩有爲. 造立施化, 則 物失其眞; 有恩有爲, 則 物不具存.”(제5장)
순자는 그의 책 「修身」편에서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을 하였다: “천리마는 하루에 천리를 간다고 뽐낸다. 그러나 조랑말이라도 열심히 가기만 하면 열흘이면 같은 목적지에 너끈히 도달할 수 있다. 夫驥一日而千里, 駑馬十駕則亦及之矣.”
문제는 가는 목적지가 명확히 있느냐의 문제일 뿐이다. 아무리 천리마라도 가는 목적지를 명확히 정하지 않고 천방지축으로 날뛰기만 하다 보면 골근이 다 상하여 도중에 뒈지게 되어 있다. 사실 순자가 이 말을 했을 때는 ‘천리마의 존재’를 사실상 부정한 것이다. 인간세에 천리마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은 신화일 뿐이다. 있다 하더라도 그것은 별 기능이 없다. 인간세의 참된 모습이라는 것은 조랑말들이 부지런히 자신에게 주어진 길을 착실하게 가고 있는 것일 뿐이다. 천리마처럼 보이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이 조랑말들의 범용성의 위대함, 그 근원적 방향성을 파악하지 못하면 허공의 신화로 끝나버리고 마는 것이다. 이 땅에 아무런 임팩트를 주지 못하는 것이다. 아인슈타인도 성적이 좋지 못한 범용한 소년이었다는 것을 상기하자! -267쪽
‘誠之者’는 성해지려고 노력하는 과정process이다. ‘之’는 앞의 말을 동사화시키는 작용이 있다. 그러니까 ‘誠者’는 성 그 자체이며 하느님 그 자체이다. 그것은 우주의 신성Divinity 그 자체이다. 그러나 ‘성지자’는 성해지려고 끊임없이 발버둥치는 인간의 노력이다. 그래서 그것을 ‘사람의 길人之道’이라고 말한다. 인생이란 무엇인가? 인생이란 결국 誠이라는 종착역을 향해 칙칙폭폭 끊임없이 달려가는 誠之호 열차의 모습이다. 그 종착역을 도달할지 안 할지는 여기 질문의 대상이 되질 아니 한다. 왜냐 열차는 달리는 한에 있어서만 열차이기 때문이다. 열차는 과정이다. 인생은 과정이다. 인생의 목적이란 그 과정에 내재하는 것이다. ‘성자’는 ‘성지자’에 내재하는 것이다. -278쪽
인용
'책 > 밑줄긋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일기 2, 김용옥, 통나무, 2015 (0) | 2019.06.12 |
---|---|
중국일기 1, 김용옥, 통나무, 2015 (0) | 2019.06.12 |
거문고 줄 꽂아 놓고, 이승수, 돌베개, 2006 (0) | 2019.06.12 |
사랑의 기술, 에리히 프롬, 문예출판사, 2006 (0) | 2019.06.12 |
꿈이 있는 공동체 학교, 윤구병, 휴머니스트, 2010 (0) | 2019.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