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조선전기 사대부(士大夫) 문학
임형택
1. 문학관
1. 사대부의 성격 규정
대부(大夫) | 사(士) |
출(出) | 처(處) |
치군택민(致君澤民) 사명응제(辭命應製) |
한유자적(閒遊自適) 음풍농월(吟風弄月) |
관각문학(館閣文學) | 처사문학(處士文學) |
경국(經國)의 문장으로 불후(不朽)의 성사(盛事)를 장식하는 문학 | 일세(逸世)의 정취를 추구하고 한적한 인생을 자락(自樂)하는 문학 |
2. 처(處)의 분화
산림(山林) | 관(官) | 처(處) |
도의와 심성에 편안히 즐기는 자(山林處士) | 현허(玄虛)와 고상을 사모하여 즐기는 자(方外人) | |
아유(阿諛) 문학과 시군(時君)에 영합하는 문장 | 전호(佃戶)와 노비(奴婢)에 기생, 예악(禮樂)에 속박 | |
⇒방달불기(放達不羈) |
3. 문학관: 한문학을 본령으로 삼고 우리의 감정을 담아 우리 문학으로서의 개성을 살림.
2. 문학관
1. 문장관
고려조: 사장문학(詞章文學)
조선조
관각(館閣) | 사림(士林) | |
초기 | 재도지문(載道之文): 문학의 정치 복무 원명(元明) 교체기 역사적 사명을 자기들이 주체적으로 담당하려 함. |
|
15C | 도문일치(道文一致) | 도본문말(道本文末) |
성현 「문변(文變)」: 문학은 다채로운 특색을 구현해야 함. | 김종직 「윤선생상시집서(尹先生詳詩集序)」: 경전이 뿌리임을 밝힘. | |
※ 여전히 문(文)이 강하였기에 관각파는 수정주의 노선이었고 사림을 아예 바꾸려함. | ||
댜앙성만 인정했을 뿐 이론의 결핍 | 이론적으로 치밀히 무장하여 반론 | |
사화(四禍)의 발생 | ||
16C 中 | 사림의 승리, 문학은 도학 이론의 규정을 받게 됨. 이 후 관각 문학 역시 도학자적인 구기(口氣)를 띰. |
2. 양기론(養氣論): 장관(壯觀)을 체험함으로 길러짐. 도덕적 품성 함양(굳건한 의지와 불굴의 기질.)
인용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한문놀이터 >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영주, 한문학에 나타난 이속의 수용 양상 - 3.2.1 함축과 비유, 참신성의 조성 (0) | 2019.06.15 |
---|---|
임형택 - 여항문학과 서민문학 (0) | 2019.06.14 |
논문 - 고려시대 고문의식 (0) | 2019.06.14 |
논문 - 한문소설약사(漢文小說略史) (0) | 2019.03.16 |
논문 - 당나라 시풍 정리 (0) | 2019.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