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11 (8)
건빵이랑 놀자

2025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교육학제1차 시험1교시1문항 20점시험 시간 60분 다음은 ○○ 고등학교에서 경력 교사와 신임 교사가 나눈 대화의 일부이다. 이 내용을 읽고 ‘변화하는 환경에서 교육의 기본에 충실한 교사’라는 주제로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평가, 교육행정에 대한 내용을 구성 요소로 하여 서론, 본론, 결론을 갖추어 논하시오. [20점]경력 교사 : 선생님, 교직 생활의 첫해를 보내면서 어려움은 없으셨나요? 특히,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면서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을 텐데요.신임 교사 : 예. 다행히도 재구성의 방향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사회적 요구와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이 두드러져 보이더군요. 그래서 올해는 이 두 가지와 교과에 대한 저의 전..

제11장 공무원증 1. 근거 가.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제8조의2 제4항 나. 국가공무원 복무규칙 제57조부터 제62조의7까지 2. 공무원증 가. 발급권자 (1) 중앙행정기관의 장 ○ 중앙행정기관과 그 소속기관 소속 공무원의 공무원증을 발급함 -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5급 이상 또는 이에 상당하는 공무원을 장으로 하는 기관의 장에게 그 소속 공무원에 대한 공무원증 발급 권한을 위임할 수 있음 (2) 인사혁신처장 ○ 중앙행정기관의 장의 공무원증 및 「국가공무원 복무규칙」 제57조 제1항에 따라 발급받지 않는 공무원의 공무원증을 발급함 나. 공무원증 규격․제식 및 기재사항 등 ○ 규격 : 가로 54밀리미터, 세로 85.6밀리미터 ○ 기재사항 - 앞면 : 나라문장, 사진(3 × 4㎝), 성명 및 소속기관 ..

제1장 국가공무원 선서 및 복종의 의무 Ⅰ. 국가공무원 선서1. 관련 근거 가. 국가공무원법 제55조 및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제2조제1항 공무원은 취임할 때 소속 기관장 앞에서 선서를 해야 함 나.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제2조제3항 및 국가공무원 복무규칙 제3조~제5조 공무원 선서방식, 절차 등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 다. 선서문(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제2조제2항【별표1】) 선 서 나는 대한민국 공무원으로서 헌법과 법령을 준수하고, 국가를 수호하며, 국민에 대한 봉사자로서의 임무를 성실히 수행할 것을 엄숙히 선서합니다. 2. 국가공무원 선서이행 가. 선서의 시기 및 장소 ○ 행정부 소속 국가공무원(이하 ‘공무원’이라 함)은 최초 임용되어 임명장을 수여받을 때 소속 기관의 장 앞에..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지제2외국어 / 한문 영역(한문Ⅰ)성명 수험번호 1. 그림과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에 들어갈 것은? [1점]교사 : 조선 후기 화가 홍득구의 작품을 감상해 볼까요?우림 : 도포를 걸친 사람이 관복을 입은 사람을 배웅하려는지 마주 보고 있어요. 예나 : 아래에는 관복을 입은 사람이 타고 갈 것으로 보이는 말과 그를 기다리는 시종들이 있어요. 교사 : 그래요. 그림 위쪽에 친구를 떠나보내는 아쉬운 마음을 담은 시도 있어요. 이처럼 ‘이별하여 보내는 상황을 표현한 그림’을 ‘(㉠)圖’라고 하지요. ① 打作② 送別③ 觀水④ 騎牛⑤ 船遊 2. 상반되는 뜻을 지닌 한자끼리 연결한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점]ㄱ. 江 - 河ㄴ. 問 - 答ㄷ. 思 -..

公平生嗜好惟在書籍。聞人有書。或購而置之。或借而傳錄。藏書幾千卷。而聘家多畜書。終不一借。語諸子曰。此吾所以避嫌處也。露頂公素善書。嘗借人趙松雪帖。未及還而棄世。帖主亦歿而無嗣。公聞其有 踈族。袖其帖而往歸之。家有韓濩帖。妹婿宋君甞愛玩不已。公欲贈而心之久矣。宋君歿。祭文道其意而遺之。此等事皆屬微細。而非人人可能也。公養疾居閑。非甚病。書未嘗一日去手。與人談論。援據古今。出入經史。至於百家稗乘雜說。無不淹貫

當勝而反敗하고 當安而倒危하며 變亡而爲存하고 化小而成大가 在覆掌之間耳라 何可不畏而重之乎아近事甚明이라 足以爲鑑이니 往歲爲天下所患하여 咸謂除之則可致昇平者는 李正己李寶臣梁崇義田悅이 是也注요往歲爲國家所信하여 咸謂任之則可除禍亂者가 朱滔李希烈이 是也注러니

銘金人云:“無多言, 多言多敗;無多事, 多事多患。” 至哉斯戒也!能走者奪其翼, 善飛者減其指, 有角者無上齒, 豐後者無前足, 蓋天道不使物有兼焉也。古人云:“多爲少善, 不如執一;鼫鼠五能, 不成伎術。”近世有兩人, 朗悟士也, 性多營綜, 略無成名,經不足以待問, 史不足以討論, 文章無可傳於集錄, 書跡未堪以留愛翫,卜筮射六得三, 醫藥治十差五, 音樂在數十人下, 弓矢在千百人中,天文、畫繪、棋博、鮮卑語、胡書, 煎胡桃油, 鍊錫爲銀, 如此之類, 略得梗槪, 皆不通熟。惜乎! 以彼神明, 若省其異端, 當精妙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