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항번호 |
6 |
|
| |||||||||||||||||||||||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
한문 문법 |
평가 영역 |
품사론 | |||||||||||||||||||||||
평가 내용 요소 |
허사 및 품사의 종류와 쓰임을 알고 문장 독해에 활용할 수 있다. | |||||||||||||||||||||||||
평가 목표 |
‘차(此)’자의 문법 지식을 활용하여, 사마광의 『자치통감』에 수록된 문장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 |||||||||||||||||||||||||
행동 요소 |
지식. 이해 |
문항유형 |
정답형 |
정답률 |
상, 중, 하 | |||||||||||||||||||||
문 항 |
다음 글의 ㉠과 ㉡이 가리키는 것이 모두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
정 답 |
④ | |||||||||||||||||||||||||
정답과 오답에 대한 설명 |
이 문장에서 ‘此’는 근칭(近稱)의 지시어로 쓰이고 있다. ㉠과 ㉡은 모두 바로 앞에 쓴 구절의 내용들을 가리키고 있다. ㉠은 ‘역이기(酈食其)가 육국의 후예를 세워 주자고 권한 것[勸立六國後]’을 가리키는 것이고, ㉡은 바로 앞에 제시된 ‘장량의 간언 [留侯諫]’을 가리킨다. 따라서 ㉠과 ㉡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④번이다. | |||||||||||||||||||||||||
출제 근거 |
한문 문법 학습과 문장 독해에서 ‘차(此)’자에 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此’는 동주(東周) 이후 금문(金文)에서 간혹 출현하고 있고, 『상서(尙書)』와 『시경(詩經)』에서 사용되었으며, 『대학(大學)』을 위시하여 각종 선진(先秦) 시대 문헌에서도 ‘차(此)’자가 많이 쓰이고 있다. 예시문은 사마광의 『자치통감』「진기(晉紀)」에 나오는 문장으로, ‘此’의 문법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 |||||||||||||||||||||||||
교사 자격 기준 중 관련 항목 |
6. 한문과 교사는 한문 문법에 관한 지식과 활용능력을 갖춘다. |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