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위령공 - 16. 함께 모여 시답잖은 얘기를 한 이에게 본문

고전/논어

논어 위령공 - 16. 함께 모여 시답잖은 얘기를 한 이에게

건방진방랑자 2021. 10. 13. 19:38
728x90
반응형

16. 함께 모여 시답잖은 얘기를 한 이에게

 

 

子曰: “羣居終日, 言不及義, 好行小慧, 難矣哉!”

, 去聲.

小慧, 私智也. 言不及義, 放辟邪侈之心, . 好行小慧, 則行險僥倖之機, . 難矣哉者, 言其無以入德, 而將有患害也.

 

 

 

 

해석

子曰: “羣居終日, 言不及義, 好行小慧, 難矣哉!”

공자께서 여럿이 거처하며 하루를 마칠 때에 말이 의로움에 미치지 못하고 작은 은혜 행하기만 좋아한다면 환란이 있을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 去聲.

小慧, 私智也.

소혜(小慧)는 사사로운 지혜다.

 

言不及義,

말이 의에 미치지 못하면

 

放辟邪侈之心, .

맘대로 행동함과 간사함과 사치함이 불어난다.

 

好行小慧, 則行險僥倖之機, .

작은 지혜 행하길 좋아하면 험괴한 걸 행하고 요행한 기미가 익는다.

 

難矣哉者, 言其無以入德,

난의재(難矣哉)는 덕에 들어갈 수 없어

 

而將有患害也.

장차 근심과 해가 있다는 말이다.

 

조선의 정조대왕은 젊은 관료가 모이기만 하면 천한 농담이나 주고받는 모습을 보고 개탄했다. 그래서 규장각 신하들을 질책하여 명망가의 출신으로 요직에 오른 젊은 관료들이 자기 몸을 단속하지 않고 그저 익살 부리는 것이나 좋아해서 몸은 모범이 될 만한 행실을 쌓지 못하고 입은 비속한 말을 익혀 옛 사대부의 기풍이 모조리 없어졌다고 지적했다. 정조의 우려는 논어’ ‘위령공(衛靈公)’에서 공자가 한탄한 뜻과 통한다.

군거(群居)는 여러 사람이 한데 모여 있음이다. 언불급의(言不及義)는 말이 의리에 미치지 않아 대화의 내용이 도덕이나 의리와 관계가 없음을 뜻한다. 소혜(小慧)는 소혜(小惠)로 되어 있는 판본이 있어 혹자는 소혜(小慧)와 소혜(小惠)를 구분해서 소혜(小惠)가 옳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주자는 소혜(小慧)를 소지(小智)로 보았다. 작고 하찮은 재지(才智)라는 뜻으로 풀이한 것이다. 정약용도 그 설을 따랐다. 난의재(難矣哉)는 덕()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장차 환해(患害)가 있으리라는 뜻이다. , ‘곤란하구나라는 정도의 뜻을 지닌 탄식의 말로 보아도 좋다.

주자는 이 장()을 풀이하여, 말이 의리에 미치지 않으면 방벽(放辟)하고 사치(邪侈)한 마음이 불어나게 되고, 작은 지혜를 행하기 좋아하면 위험함을 행하고 요행을 바라는 기미(幾微)가 무르익게 된다고 경고했다. 방벽(放辟)은 자기 멋대로 함, 사치(邪侈)는 간사하고 사치함이다. 물론 여럿이 모여 엄숙하게 도의(道義)만 논할 수는 없다. 하지만 여럿이 모여 하찮은 이야기나 나누고 작은 지혜나 부린다면 우리는 시들어가고말 것이다. 박인환의 목마와 숙녀시에서 세월은 가고 오는 것, 한때는 고립을 피하여 시들어가고, 이제 우리는 작별하여야 한다는 구절이 묘한 감흥을 불러일으킨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

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