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김만중金萬重: 1637(인조 15)~1692(숙종 18)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중숙(重淑), 호는 서포(西浦).
1637년 | 김장생(金長生)의 증손자인데, 부친 익겸(益兼)이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자결해 죽은 뒤 2월 10일 강화(江華)에서 서울로 가던 중 나루의 배 안에서 태어남. | |
1639년 | 3세 | 모부인 윤씨에게서 글을 배우기 시작함. |
1650년 | 14세 | 진사(進士) 초시(初試)에 합격함. |
1652년 | 16세 | 진사(進士) 초시(初試)에 시로 다시 합격함. 연안 이씨와 결혼. |
1656년 | 20세 | 별시(別試)의 초시(初試)에 부(賦)로 합격함. |
1662년 | 26세 | 증광(增廣) 초시(初試)에 표(表)로 합격. |
1665년 | 29세 | 정시(庭試)에 장원급제. 성균관(成均館) 전적(典籍)ㆍ예조좌랑(禮曹佐郞)에 차례로 임명됨. |
1668년 | 32세 | 교리(校理)ㆍ헌납(獻納)에 차례로 임명됨. |
1674년 | 38세 | 1월에 강원도 금성(金城, 현 고성)으로 3개월 간 유배되었다가 해배됨. 헌납(獻納)ㆍ이조정랑(吏曹正郎)ㆍ교서관 교리(校書館 校理)ㆍ응교(應敎)ㆍ사간(司諫)에 차례로 임명됨. |
1676년 | 40세 | 송시열(宋時烈)로부터 가학(家學)에 힘쓸 것을 권면 받음. |
1686년 | 50세 | 송시열로부터 『주자대전습유(朱子大全拾遺)』와 『율곡선생별집(栗谷先生別集)』의 산정을 부탁받고 산정함. |
1687년 | 51세 | 언사(言事)의 일로 9월 14일 宣川으로 유배됨. |
1688년 | 52세 | 유배생활 중 모부인의 외로움을 위로하기 위해 『구운몽(九雲夢)』을 짓기 시작함. |
1689년 | 53세 | 2월 8일 기사환국(己巳換局)에 연루되어 투옥됨. 3월 7일 남해로 유배됨. |
1690년 | 54세 | 모부인이 지난 해 12월에 별세했다는 부음을 전해 듣고 기절함. |
1692년 | 56세 | 4월 30일 지병인 폐병으로 별세함. |
평가
1. 서인(西人) 계의 대표적인 벌열 가문에 속하였으나 개명적인 사상 견해를 보여줌.
2. 국문으로 문학을 창작해야 옳다는 견해를 표명하여 국문 장편소설 「구운몽(九雲夢)」과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를 씀.
3. 저서로는 『서포집(西浦集)』과 『서포만필(西浦漫筆)』을 남김.
| |
| |
|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한문놀이터 > 인물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창협金昌協: 1651(효종 2)~1708(숙종 34) (0) | 2019.01.18 |
---|---|
홍만종洪萬宗: 1637(인조 15)∼1688(숙종 14) (0) | 2019.01.18 |
김석주金錫冑: 1634(인조 12)~1684(숙종 10) (0) | 2019.01.18 |
송익필宋翼弼: 1534(중종 29)~1599(선조 32) (0) | 2019.01.18 |
송시열宋時烈: 1607(선조 40)~1689(숙종 15) (0) | 2019.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