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백광호,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 연구 - Ⅳ. 결론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백광호,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 연구 - Ⅳ. 결론

건방진방랑자 2020. 1. 15. 19:40
728x90
반응형

  

 

. 결론(結論)

 

 

이상(以上)으로 한문과(漢文科)에서의 PBL 연구 성과와 PBL과 한문과(漢文科) 교육과정(敎育課程)과의 관련성, 그리고 PBL을 적용한 고등학교(高等學校) 한문(漢文) 수업사례(授業事例)를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타 교과의 PBL 관련 연구 성과에 비해 한문과에서의 PBL 연구 성과는 매우 적지만,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하는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이 교과 수업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정보처리 능력 등을 기르도록 되어 있다는 점에서, PBL을 적용한 한문과 수업은 앞으로 많은 연구와 실천 사례가 축적되어야 함이 분명하다.

 

학기 중의 모든 수업에 PBL을 적용하여 진행할 수는 없다. 물론, 그럴 필요도 없다. 다양한 교수ㆍ학습 방법을 능숙하게 갖춘 후, 어떤 글감이나 주제는 강의식이나 토의ㆍ토론 학습법으로, 또 다른 글감이나 주제는 역할 놀이 학습법이나 PBL로 진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학습자 스스로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학습자가 1시간의 수업을 통해 아무리 작은 내용이라도 수업을 듣기 전에 비해 얻은 것이 있고, 지식이든 태도이든 변화된 것이 있다면, 그 수업은 충분한 의의가 있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습 효율성은 강의 듣기5%이고, ‘실제 해보기75%이다. 한문과 수업의 나아가야 할 길 은 학생이 수업을 통해 배움을 경험하고 변화될 수 있도록 실제 해볼 수 있는 교수ㆍ학습 방법을 다양하게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장 교사들이 안주(安住)하지 않고 학사(學師)’가 되길 기대해 본다學師 : ‘배우는 교사(stucher)’라는 의미로, 새롭게 創案한 용어이다. 백광호(2008; 59)에서 처음 사용하였다. “學師學生敎師를 합친 용어이다. 외국에서 들어온 표현인 교사 연구자(Teacher as a researcher)’에 사용된 ‘researcher’는 실천을 보다 중요시하는 현장의 교사들에겐 뭔가 모를 거부감이 있어, 발표자가 생각해 낸 신조어이다. ‘saladent(샐러던트)’라는 신조어처럼 ‘stucher(스튜처)’로 표현할 수도 있다. 두산세계대백과사전에 따르면, ‘saladent’월급 생활자를 뜻하는 ‘Salaried man’학생을 뜻하는 ‘Student’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말로 공부하는 직장인을 의미한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 과정이 고시(告示)된 이 시점에서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될 다양한 교수ㆍ학습 방법이보다 상세하고 체계적으로 기술되기를 희망하면서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을 정리하는 것으로 이 글을 맺고자 한다.

 

 

그림 2학습 효율성 피라미드(출처 : EBS 다큐프라임)

 

 

1. 문제중심학습법의 정의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은 학습자들에게 실제적인 문제가 발생한 상황을 제시하고, 학습자는 개별 학습과 협동 학습을 통해 공통의 해결안을 마련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방법이다.

 

2. 문제중심학습법의 절차 및 고려사항

1) 초기 활동 : 모둠 구성, 친근하면서 허용적인 분위기 조성, 역할 부여

2) 문제 제시 및 문제에의 접근 : 학습목표와 연관되면서 실제적이며 수업 시간에 다룰 가치가 있는 문제 상황 제시

3) 문제에서 요구하는 학습내용 추론 : 과제수행계획서 작성

4) 자기주도학습 : 실천계획에 따라 개인별ㆍ모둠별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

5) 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지식 적용 및 문제해결계획 반추 : 수집한 자료를 종합하고 그에 대해 의견 교환, 주어진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시도

6) 문제 해결안 작성 및 발표 : 모둠별로 통일된 하나의 결과물 제시 및 발표

7) 종합 정리 : 교수자의 총평 및 강의

 

3. 문제중심학습법의 유의점

1) 가장 중요한 것은 문제 개발이다. 이때의 문제는 문제중심학습법에 적합해야 한다.

2) 모든 학생이 문제를 명확히 이해하고, 분담한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전체를 놓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지도한다.

3) 자료를 수집ㆍ분석하고, 모둠 내에서 의견을 교환하고, 급우들 앞에서 발표를 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핵심 역량인 의사소통 능력, 정보처리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인성 역량, 심미적 감성등을 키울 수 있도록 지도한다.

4)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중에 한문독해능력신장이라는 한문과의 기본 학습 목표를 충분히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4. 문제 예시

여러분은 한국 최고의 광고 회사인 한국기획에 이제 막 입사한 인턴 사원이다. 국내 잡지의 지면 광고를 주로 담당하는 부서에 배치된 여러분은 이제 막 새로운 광고 기획을 맡은 B팀에 소속되었다. B팀은 이번에 탈모샴푸회사로부터 동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홍보할 지면 광고를 의뢰받았다. B팀은 아이디어 회의를 거쳐서 동아시아의 보편 문자인 한자를 이용하여 지면 광고를 만들기로 하고, 각자 다음 주까지 새로운 한자를 만들어 와서 아이디어 회의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B팀 팀장은 아래와 같은 한자를 보여주면서, 각자 개발할 한자는 이처럼 1차적으로 친숙한 한자를 결합하되, 결합한 글자를 보고 어떤 뜻을 갖고 있는지 쉽게 떠오르면서도 아이디어가 참신한 글자를 개발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여러분은 고등학교 때 한자의 짜임을 배우면서 기존의 한자를 활용하여 새로운 한자를 만드는 회의 원리나 형성 원리를 배운 경험이 있기에, 아이디어가 번뜩이는 한자를 새롭게 개발할 자신이 있다. 어떤 한자를 새롭게 만들 수 있을지 작성해 보자.

 

5. 교수ㆍ학습 과정안 예시

7참고.

 

 

[참고문헌]

 

단행본

경기도교육청(2015), 경기교육 8대 중점정책, ª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4, 13.

교육과학기술부(2011), 한문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 교육과학기술부, 4546.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5a),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시안 검토 공청회(연구자료 ORM 2015-56-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________________(2015b), 2015 개정 한문과 시안 개발 연구Ⅱ』(연구자료 CRC 2015-25-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학술논문

백광호(2000), 漢文科에 적용가능한 웹기반수업과 문제중심학습, 한문교육연구15, 한국한문교육학회, 453470.

______(2008), 漢文 敎科敎授學的 內容 知識 開發을 위한 中學校 漢文 授業理解, 청람어문교육38, 청람어문교육학회, 59.

손정우(2015), 자기 주도적 학습 지원을 위한 과학교과서, 교과서 연구79, 한국교과서연구재단, 33.

송분화(2008),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故事成語 교육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재경(2015), “Flipped classroomPBL의 접목”, 학습자 중심의 창의적 교수법워크숍 발표자료, 24.

조혜경(2002), PBL 활용 수업에서 자기규제학습 능력에 따른 성취도, PBL 학습요소별 인식의 차이 및 성취도와 인식차의 관계분석, 이화교육논총12,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442.

최연주(2014), PBL 적용 난점을 보완한 효과적인 음악과 수업 모형 개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13.

 

전자자료

부산광역시교육청, 부산교육의 기본방향(http://www.pen.go.kr/down/2015-1.jpg)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교육방향 교육지표(http://www.sen.go.kr/web/services/page/viewPage.action?page=kor/intro/intro_04.html)

 

 

[Abstract]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Sino-Korean

 

Baek, Kwang-ho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Jeonju Un iversity / E-mail : khbaek@jj.ac.kr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in Problem-Based Learning in Sino- Korean, and introduce Sino-Korean teaching and learning case of applied Problem-Based Learning.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Problem-Based Learning to "Classical Chinese Prose ','Classical Chinese poetry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Language Life & Chinese character culture' in the Chinese Classics Education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It showed that the students are actively involved through the activities carried out directly in class. Therefore, the research direction for the Sino-Korean class needs to concentrate on teaching students a variety of development and learning how to learn by experience the actual performance in the classroom.

 

Key Word: Revised 2015 Chinese Classics Education Curriculum, Core competence, Problem-Based Learning, Classical chinese prose, Classical chinese poetry, Language life & Chinese character culture

 

 

투고일 : 51
심사일 : 624
심사완료일 : 627

 

 

 

 

인용

목차 / 지도

. 서문

. 문제중심학습법과 한문과 교육의 접점

.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한문과 교수 사례

. 결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