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백광호 -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 연구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백광호 -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 연구

건방진방랑자 2020. 1. 15. 19:38
728x90
반응형

한문과(漢文科)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問題中心學習法) 연구(硏究)

 

백광호(白光鎬)

전주대학교 한문교육과 부교수

E-mail : khbaek@jj.ac.kr

 

 

국문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문과에 적용 가능한 문제중심학습법을 살피고, 문제중심학습 법을 적용한 한문과 교수ㆍ학습 사례를 소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필자의 선행 연구(한문과에 적용가능한 웹기반수업과 문제중심학습)에 이어지는 것으로, 선행 연구가 가진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등장한 핵심역량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제중심학습법의 특징과 한문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개관한 후,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한 문 수업 사례를 소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문과 교육과정 내용 중에 한문 산문’, ‘한시’, ‘한자’, ‘어휘’, ‘언어생활과 한자문화에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했다. ‘한문 산문은 주몽 이야기를 통해 사전문에 등장하는 사건이나 인물의 의미를 파악한 후에 이를 대본으로 구성하는 문제를 구안하였고, ‘한시는 작가와 작품에 대한 사전적인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한시의 내용과 주제를 파악한 후에 자신만의 참신한 시평을 작성해보는 문제를 구안하였고, ‘한자는 한자의 짜임을 배운 후에 기존에 알고 있던 한자를 활용하여 새로운 한자를 개발하는 문제를 구안하였고, ‘어휘는 국어사전에 등재할 주제별 성어를 새롭게 만드는 문제를 구안하였고, ‘언어생활과 한자문화는 동음이의어와 다의 어를 학습한 후에 한국어를 익히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자 어휘로 구성된 다의어와 동음이의어를 재미있게 가르쳐보는 문제를 구안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직접 수행하는 활동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한문과 수업에 대한 연구 방향 또한 학생이 수업 시간에 실제 수행함으로써 배움을 경험할 수 있는 교수ㆍ학습 방법을 다양하게 개발하는 것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향후 이러한 교수ㆍ학습 방법 연구가 풍성해지길 기대한다.

 

주제어 :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핵심역량, 문제중심학습법, 한문 산문, 한시, 한자문화

 

본고는 20156202015 한문과 교육과정을 위한 교수ㆍ학습 이론과 사례라는 주제로 영남대학교에서 열린 한국한문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기획주제로 발표한 글을 수정ㆍ보완한 것이다. 토론을 맡은 김경익 선생님을 비롯하여 발표문에 대한 의견을 주신 여러분들에게 이 지면을 통해 감사를 표한다.

 

 

 

. 서론(序論)

 

최근 학교 현장에서는 질문이 있는 교실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교육방향 교육지표., ‘학생 중심 교육과정경기도교육청(2015), 경기교육 8대 중점정책,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 13., ‘학생 역량 강화를 통한 미래 인재 양성부산광역시교육청, 부산교육의 기본방향(http://www.pen.go.kr/down/2015-1.jpg). 등 교수자 중심이 아니라 학습자의 역량을 키우는 교육과정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은 교사가 일 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이 아니라, 학생이 주도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탐색하여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한문과도 이에 걸맞은 교수ㆍ학습 방법을 모색해야 하겠다.

 

필자는 한문과에 적용가능한 웹기반수업과 문제중심학습이라는 논문을 발표한 적이 있다백광호(2000).. 논문 제목에 웹기반수업’, ‘문제중심학습이라는 용어가 노출되어 있기는 하지만, ‘문제중심학습문제라고 명명(命名)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아 중등학교 현장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하기는 어렵다.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문제중심학습이 등장하였고, 학습자 중심의 교수ㆍ학습 방법을 적용하고자 하는 한문 교사들이 문제중심학습이라는 교수ㆍ학습 방법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정도의 연구 의의가 있음을 자위(自慰)한다.

 

 

이 글은 한문과에 적용 가능한 문제중심학습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한문과에 적용가능한 웹기반수업과 문제중심학습의 후속 연구라고도 할 수 있다. 어떤 주제에 대한 첨예(尖銳)한 논점을 가진 글이라기보다는 2015 한문과 교육과정에 등장한 핵심 역량을 구현할 수 있는 교수ㆍ학습 방법에 대한 기초 연구의 성격을 가진 글이다.

 

본고는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이 발표된 시점에서, 한문과에 적용 가능한 교수ㆍ학습 방법의 하나인 문제중심학습법을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제중심학습법(이하 ‘PBL’略稱.)과 관련된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PBL의 특징과 한문과(漢文科) 교육과정(敎育課程)과의 관련성을 개관(槪觀)한 후, PBL을 적용한 한문수업사례(漢文授業事例)를 살펴보겠다.

 

특히 이 연구는 대학에 있는 연구자와 중등학교 현장에 있는 실천가가 협력하여 이론과 실천을 함께 다루는 데에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먼저, 고등학교 교사와 함께 한문교과서(漢文敎科書)에서 PBL을 적용할 만한 글감이나 단원을 선별하였다. 다음으로 대학의 연구자는 고등학교 한문과에 적용할 만한 문제 상황을 개발하고, 현장 교사는 개발된 문제 상황을 중등학교 현장 에 적합하게 수정한 후 그에 맞는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설계하여 PBL 수업을 진행하였다. 대학의 연구자는 이를 이론적으로 보완하였다. 이 글이 PBL을 적용한 한문과(漢文科) 수업(授業)을 시도하려는 교사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문제중심학습법(問題中心學習法)과 한문과(漢文科) 교육(敎育)의 접점(接點)

 

 

이제 선행 연구 성과와 PBL의 특징, 그리고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PBL과 관련된 내용은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겠다.

 

한문과에서 PBL을 다룬 연구 성과는 많지 않다. 학술논문은 전무(全無)하고, 학위논문은 송분화의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고사성어(故事成語) 교육 방안이 있다. 선행 연구 성과가 적은 이유로는 PBL이 한문과(漢文科) 교육(敎育)과 맞지 않은 것이라 여겨서 그럴 수도 있고, 연구 주제로 삼기에 매우 지엽적인 것이라 여겨서 그럴 수도 있다. 하지만 PBL과 같은 PBL이 아니더라도 학습자 주도의 교수ㆍ학습 방법을 적용하고, 적용하고 난 뒤의 학습자 반응 양상을 소개하고, 학습 결과를 공유하는 것은 한문과교과교육연구(漢文敎科敎育硏究)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처럼 한문과에서는 PBL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지는 않았지만, 타 교과의 연구 성과는 비교적 풍부하다. 다양한 교과에서 교과별 특성에 맞는 PBL 연구 성과가 있는데, 공통적으로 실제적인 문제를 제시한 후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협동 학습을 중심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보인다. 조혜경에 따르면, 문제중심학습에서 그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문제는 학생들이 실생활이나 가까운 미래에 직면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학생들은 학급 단위보다는 개별적이거나 소집단 별로 각각의 수준에 맞는 활동을 하되, 그 구성원들은 문제중심학습을 하는 과정 전체에 대해 일정 수준의 책임감을 가지고 성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조혜경(2002), 442.. 한문과에 맞는 PBL 문제를 개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다.

 

문제중심학습은 문제를 중심으로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므로, ‘문제를 만들어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문제중심학습에서의 문제의 특징은 백광호(2000)에 기술되어 있다. ‘문제중심학습학습자들에게 실제적인(authentic) 문제를 제시하고, 그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들 상호간에 공동으로 해결 방안을 강구하고, 개별 학습과 협동 학습을 통해 공통의 해결안을 마련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게 되는 학습방법이다이재경(2015), 24.. 이 글에서 공을 들인 것은 바로 이 문제이다.

 

PBL을 위해 개발될 문제 상황은 재미있는 문제, 문제를 위한 문제가 아니다. 그 문제는 해당 수업을 통해 도달해야 할 학습목표와 관련되어야 하며, 수업 시간에 다룰만한 가치가 있어야 하며, 진정성 있는, 진짜 같은 문제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 상황을 통해서 학생들은 과제를 수행하고,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각하며 배우는 힘, 예를 들어 문제해결능력, 창의적 사고, 의사소통능력, 프레젠테이션 능력, 협업 능력 등을 기르게 된다. PBL은 일반적으로 Barrow 모형이 많이 활용되는데, 이 모형은 문제 해결 과정을 세분화하여 능동적인 학습 형태를 유도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개별 교과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수정ㆍ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전개 과정은 다음과 같다이재경(2015), 위 자료, 27..

 

 

수업전개
1. 수업 소개
2. 수업분위기 조성(교사의 역할 소개)
문제제시
1. 문제 제시
2. 학생들이 문제를 내재화하도록 문제에 대한 주인(소유)의식을 느끼도록 한다.
3. 마지막에 제출할 과제물에 대한 소개를 한다.
4. 모둠 내 각각의 역할을 분담시킨다.
생각(가정들) 사실 학습과제 실천계획
주어진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기록: 원인과 결과, 가능한 해결안 등 개인 혹은 모둠 학습을 통해 제시된 가정을 뒷받침 할 지식과 정보를 종합한다.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들 자신이 더 알거나 이해해야 할 사항을 기록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취해야 할 구체적 실천 계획
5. 주어진 문제의 해결안에 대하여 깊이 생각한다.: 칠판에 적은 다음 사항에 대하여 과연 무엇을 할 것인가를 생각해본다.
생각(가정들) 사실 학습과제 실천계획
확대/집중시킨다. 종합/재종합한다. 규명과 정당화한다. 계획을 공식화한다.
6. 가능할법한 해결안에 대한 생각을 정비한다.
7. 학습과제를 규명하고 분담한다.
8. 학습 자료를 선정, 선택한다.
9. 다음번 토론시간을 결정한다.
문제 후속 단계
1. 활용된 학습 자료를 종합하고 그에 대한 의견 교환을 한다.
2. 주어진 문제에 대하여 다시 새롭게 접근을 시도한다.: 다음 사항에 대하여 나는 무엇을 할 것인지를 생각해 본다.
생각(가정들) 사실 학습과제 실천계획
수정한다. 새로 얻은 지식을 활용하여 재종합한다. (필요하다면) 새로운 과제 규명과 분담을 한다. 앞서 세웠던 실천안에 대한 재설계
결과물 제시 및 발표
조사한 내용에 대해 각자 돌아가며 발표를 한다.
문제 결론과 해결 이후
1. 배운 지식의 추상화(일반화)와 정리 작업(정의, 도표, 목록, 개념, 일반화, 원칙들을 만들어본다.)
2. 자기평가(모둠원들로부터의 견해를 들은 후에)
ㆍ문제해결과정에 대한 논리적 사고
ㆍ적합한 학습 자료를 선정하여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얻었는가?
ㆍ주어진 과제를 잘 수행함으로써 모둠원들에게 협조적이었는가?
ㆍ문제해결을 통해 새로운 지식 습득이 이루어졌는가? 혹은 심화학습이 되었는가?

1PBL 전개 과정

 

이처럼 PBL은 교수자가 중심이 되는 수업이 아니라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학습 활동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PBL을 위해선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이 기존 수업과 다름을 인지해야한다.

 

교수자는 지식 전달자에서 학습 촉진자의 역할을 한다. 일방적인 강의를 통해 지식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로 하여금 문제를 더 잘 이해하고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질문을 하여 학습을 촉진한다. 그리고 교육 목표와 내용, 운영, 평가방법 등 수업 전반에 대한 설계자이기도 하다. 교수자는 기존의 전통적인 수업을 PBL로 전환하기도 하고, PBL을 위한 새로운 수업 과정을 만들어낼 수 있다. 학습자 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되는 전통적인 강의 수업에 비해 운영자의 역할보다 설계자의 역할이 더욱 강화된다.

 

학습자는 교수자의 수업만 듣는 수동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학습을 구성하고 목표에 도달하는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PBL은 문제해결을 통한 학습 방법이므로, 학습자는 PBL 수업에서 문제해결자가 된다. 그리고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분석하고 정보를 찾아야 하므로 자기주도적 학습자의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모둠 활동을 통해 수업이 진행되므로 다른 학습자들과 협력하는 협력적 학습자가 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한문과 교육과정에는 PBL이 어떻게 서술되어 있을까?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는 PBL에 관련된 내용이 서술되어 있지 않다.

 

2007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서에 PBL과 관련된 내용은 없지만, 협동 학습과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간략한 설명이 있다. 한문과 교육과정 문서에 이러한 해설이 제시되는 것이 좋겠다.
교사는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문한문지식영역에 알맞은 교수ㆍ 학습 방법을 적용하되, 학습 현장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교수ㆍ학습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강의 학습 : 교사가 모든 학습 내용을 언어를 통해 전달하는 학습법이다.
2) 현장 학습 : 한문 문화의 현장을 방문하여 체험하는 학습법이다.
3) 협동 학습 : 모둠별로 협동을 통해 내용을 습득하도록 하는 학습법이다.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는 PBL에 관한 언급이 있지만, 이를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는 나와 있지 않다.

 

교육과학기술부(2011), 한문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 교육과학기술부, 4546.
중학교 한문’, ‘고등학교 한문에도 나와 있지만, 문제중심학습법이 가장 많이 언급된 고등학교 한문를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자가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되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교수ㆍ학습 방법을 계획한다.
(중략)
문화 영역의 한자 문화는 토론 학습법, 비교 학습법, 웹 기반 중심 학습법, 문제 중심 학습법 등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여, 전통문화의 이해와 계승 및 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중략)
학습자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강의법, 토론 학습법, 현장 학습법, 협동 학습법, 웹 기반 중심 학습법, 문제 중심 학습법 등 다양한 교수ㆍ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지도한다.
문화 영역의 한문학의 이해는 토의 학습법, 토론 학습법, 독자 반응 중심 학습법, 웹 기반 중심 학습법, 문제 중심 학습법 등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여 한국한문학의 대표적인 고전 작품을 문체와 형식, 주제와 내용을 이해하도록 하며 작품의 주제와 가치를 일상생활과 연계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과 교육 목표는 중ㆍ고등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바탕으로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와 언어생활에 활용하며, 한문 자료를 이해하고 향유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고,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계승ㆍ발전시키며,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증진 시키는 데에 있다교육과학기술부(2011), 위의 책, 19.. 여기에 등장하는 언어생활 활용’, ‘한문 자료 이해 및 향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 함양’, ‘전통문화 이해 및 계승ㆍ발전’, ‘한자문화권 내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등은 교사가 관련 지식 그 자체를 전달해 주기보다는 학생들로 하여금 그 지식을 구성해 가는 데에 필요한 창의성,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정보 분석 능력, 정보 처리 능력 등을 기르게 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 따라서 PBL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자기 주도적 학습과 문제해결능력은 한문과의 목표나 한문과에서 다루 는 내용과 일맥상통(一脈相通)함을 알 수 있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르면,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흥미도를 제고하고, 창의융 합적 사고와 바른 인성 등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 함량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5), 16..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한문 교과 역량 요소 및 의미, 하위 요소를 2와 같이 소개하고 있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5), 4..

 

역량 요소 의미 하위 요소
의사 소통 능력 한자와 한문 자료 및 언어생활에서 사용되는 한자 어휘를 활용하여 생각과 감정 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이해하며 소통하는 능력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한문 고전 작품 이해 / 타 교과 학습 용어의 이해ㆍ활용 능력
정보 처리 능력 한자와 한문 자료 및 언어생활에서 사용되는 한자 어휘 자료에서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ㆍ분석하여 그 의미를 평가ㆍ선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활용하는 능력 논리적, 비판적 사고를 통한 문제 인식 / 정보 수집, 분석, 활용 등을 통한 문제 해결 방안의 탐색 / 해결 방안의 실행, 평가 / 매체 활용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한자와 한문 자료에 담겨 있는 다양한 영역의 폭넓은 지식과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소양을 바탕으로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해 내고, 다양한 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창의적 사고기능(인지적능력):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유추성 / 창의적 사고성향(정의적 특성): 민감성, 개방성, 독립성, 자발성
인성 역량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여 자신의 삶에 필요한 기초적 능력 및 자질을 지속적으로 계발ㆍ관리함으로써 변화하는 사회에 유연하게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는 능력
한문 기록에 담긴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며,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수용ㆍ실천함으로써, 공동체의 문제 해결 및 발전을 위해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는 능력
자아정체성 확립, 자기 절제, 기본 생활 습관, 진로개발능력
윤리의식, 봉사정신, 환경 의식, 규범 및 질서의식, 협동, 배려, 참여와 책임, 가치 다양성의 이해와 존중, 타 문화와 다문화 이해
심미적 감성 다양한 유형의 한문 고전 작품이 지닌 아름다움과 가치를 향유함으로써 삶의 질과 행복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 정서적 안정감, 예술적ㆍ문화적 감수성과 상상력, 타인의 경험에 대한 공감 능력

2한문 교과 역량 요소 및 의미, 하위 요소에 대한 세부 설명 자료

 

 

선행 연구 성과에 따르면, PBL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 방법보다 학습자들에게 더 많은 지식을 획득하게 하고 기억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1에 제시된 전개 과정을 한문 수업에 맞게 재구성하여 PBL을 적용한다면,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찾는 활동을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특히 PBL에서는 실제 문제 상황이 주어지고, 학생들은 그 탐구 문제를 자발적인 발견과 사고에 의해 해결책을 마련하여 실제 생활에 적용해 보는 경험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한문 교과 역량 요소를 기르는 데에 적절하다.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교과 수업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정보처리 능력 등을 기르도록 되어 있는데, 한문과에서 이러한 능력이 어떻게 길러질지 의문이 들 수 있다. 하지만 3에서 알 수 있듯이 PBL은 의사소통 능력이나 창의력과 같은 사고력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습 기능과 연구 기능을 훈련할 수 있기 때문에손정우(2015), 33., 문제중심학습법을 통해서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역량을 기를 수 있다. 다만 한문과에 맞는 PBL을 적용하기에 앞서, PBL의 여러 난점들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최연주(2014), 1213. 문제중심학습이 효과적인 교수ㆍ학습 방법이지만 수업 적용 과정에서의 난점도 있다. 난점들은 여러 연구를 통해 나타나고 있는데 이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첫째,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이 부족한 학습자는 문제 해결에 어려움이 있다. / 둘째, 소극적이고 의존적인 성격과 성향의 학습자들은 수업 참여도가 낮다. / 셋째, 모둠별 과제 해결 시 높은 능력 학습자에게 묻어가려는 무임승차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 넷째, 교사는 PBL 문제를 개발하고 PBL 수업 평가 방법에 대해 어려움이 있다. / 다섯째, 교사는 PBL 수업에서 학습 능력이 다른 각각의 학습자들에게 어느 정도의 개입을 해야 하는지 어려움이 있다. / 여섯째, 교사들은 PBL 수업으로 인해 학업 성적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는 학부모들의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난점들은 PBL을 적용하고자 하는 한문과 수업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한문과 수업에 PBL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 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훈련 기능 내용 훈련 기능 내용
사고력 훈련 창의력 연구기능 훈련 도서관 기술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력
커뮤니티 자원
비판적, 논리적 사고력
 
학습기능 훈련
듣기, 관찰, 지각하기  
의사소통 훈련
서면
언어
읽기, 필기, 요약
면담, 조사
시각
데이터분석, 구성

3PBL에서의 훈련 기능

 

 

 

. 문제중심학습법(問題中心學習法)을 적용(適用)한 한문과(漢文科) 수업사례(授業事例)

 

 

이제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한문과(漢文科) 수업사례(授業事例)를 소개해 보겠다. 이 수업은 1년 동안 수행된 수업 사례이다. 연구자는 현장 실천가가 사용하는 고등학교 한문』Ⅰ(두산동아) 교과서의 단원 가운데 PBL을 적용할만한 단원을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세 영역과 영역별 내용을 기준으로 선별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에게 단순한 사실 정보의 기억만을 요구하는 문제가 아닌, 실제 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로 학생의 진로와 연계하였다. 또한, 고차적 능력(비판적 사고력, 문제분석력,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 등)이 기존의 학습 목표와 적절하게 결합될 수 있는지를 고려하였다.

 

PBL 문제를 만들기 위해선 창의성이 매우 높게 요구된다. 소설, 신문기사, 잡지, 라디오, TV 등의 다양한 자료에서 아이디어를 착안해 교과 목표와 연결된 재미있고 실제적인 문제를 개발해야하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학습목표와 내용과 관련해 실생활과의 연관성을 생각하며 PBL 문제를 구안하였다. 그리고 구안한 문제가 학습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해결할 수 있는지, 협동이 필요한지, 실제로 가능한 사례인지 등을 자문(自問)하면서 문제를 선별하였다. 그 결과는 4와 같다.

 

영역 내용 PBL 문제
 
 
독해
읽기 한시 한시 칼럼리스트로 한시 시평 쓰기
한문산문 사전문 패러디 드라마 대본 작성하기 교지 기자로 인물 탐방 리포트 작성하기
 
이해
실용문 예비 부모가 되어 미래의 자식에게 당부 편지쓰기
잡기문 지역 공무원이 되어 우리 마을 살리기 프로젝트! 우리 동네 옛 모습 소개합니다
경전
제자백가
공자, 맹자, 장자, 순자 고전연구원이 되어 일반인들에게 동양사상 프리젠테이션 하기
문화 한자 문화 한자문화권의 문화 이해 학생외교사절단으로 외국인에게 알리고 싶은 전통 문화 UCC 제작하기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 다의어와 동음이의어 한국어 강사로써 외국인에게 한자 어휘 가르치기
한문 지식 한자 한자의 짜임 광고 기획 새로운 한자를 찾아라
어휘 성어의 유래 국립국어원 학예사로 사전에 등재할 주제별 성어 개발
문장 한문 문장의 구조 한문교사가 되어 쉽고 재미있는 기초 한문 문법책 집필하기

4PBL 문제 선별

 

PBL 수업 준비와 진행은 다음과 같다. 교사는 PBL 활동을 위한 문제 (과제) 시나리오를 실제 상황으로 가정하여 소개하고, 학생들은 문제해결을 위한 계획을 세운다. 개별학습과 모둠 학습을 통해 최종 문제 해결안을 도출하도록 하고, 발표를 통해 학습 결과를 확인하고 활동 평가를 한다. 과제를 함께 수행할 모둠은 46명으로 구성하고, 친근하고 허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학습자들의 학습능력을 파악하여 모둠 내에 리더 역할을 할 학습자, 내성적이거나 외향적인 학습자, 학습에 대한 의욕이 높거나 부진한 학습자 등으로 적절히 분배하여 상호 학습을 꾀한다. 효과적인 PBL 수업이 되기 위해선 적절한 문제 개발이 중요하다. 장에서도 언급했지만, 이때의 문제는 도달해야 할 학습목표와 관련되어야 하며, 학습자가 언젠가 경험할만한 진짜 같은 문제이면서도,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어야 한다.

 

문제에서 요구하는 과제를 가정 사실 학습할 내용의 형태로 정리하며, 실천 계획을 세우고 학습내용 추론을 진행한다. 학습내용 추론은 모둠 내에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의견을 나누는 것이다. 우선, 학습할 내용을 분담하고, 모임 시간 및 자료 공유방법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모둠원 들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한편 모둠 내에서 나온 모든 내용을 기록하고,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에 동의 여부나 추가 의견을 제시한다. 자신이 담당한 부분에 분석 자료가 있을 경우 다른 모둠원에게 제시하고, 모둠 구성원들의 발표 내용을 분석하고, 모둠에서 발표할 공동 모둠안을 작성한다.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기 주도적으로 인터넷, 참고문헌, 사전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조사한다. 그 후 모둠별로 문제에서 요구 한 해결안을 작성하며 과제를 수행한다. 개인별ㆍ모둠별 작업이 완료되면 하나의 모둠안으로 요약ㆍ종합하여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발표한다. PBL에서의 평가는 과제 수행의 모든 과정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평가로, 문제 분석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과제 수행 과정과 결과를 평가한다.

 

 

1. ‘독해(讀解)’ 영역(領域) 한문산문(漢文散文) 교수(敎授)ㆍ학습(學習) 사례(事例)

 

독해독해영역 성취 기준은 문장의 어조에 맞게 소리 내어 읽고, 읽은 글을 문장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할 수 있으며, 글을 구성하는 단어, 구절,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여 우리말로 풀이하고, 다양한 유형의 글을 글의 내용과 형식에 따라 적절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비판적으로 읽고 그 내용과 가치를 평가하고 감상할 수 있다.’이다. 이 같은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한문 산문을 풀이하고 그 내용과 가치를 평가하고 감상할 수 있는 문제를 부여하였다.영역의 내용은 읽기이해인데, 이 가운데 이해를 대상으로 PBL을 적용한 한문 산문 교수ㆍ학습 사례이다. 교수ㆍ학습 과정안은 5와 같다. 제재는 고등학교 한문』Ⅰ 교과서의 . 역사와 소설이 다. 현장 실천가는 주몽 이야기가 학생들이 잘 알고 있는 건국 신화이고, 드라마의 소재로도 사용되었기 때문에 PBL 문제로 구안하여 수업에 적용하면 사전문에 등장하는 사건이나 인물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는 학습 목표 달성에 유의미하다는 의견을 주었다. 연구자는 학생들이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통해 데이터 분석과 구성 능력 그리고 시각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등을 기를 수 있다고 판단한다. 이 수업에서의 문제 상황은 드라마 혹은 영화 시나리오 작가, 제작자 등을 진로로 할 때 자신이 고등학교 때 배운 한문 지식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가정하고, 실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PBL문제로 적합하다.

 

대단원명 . 역사와 소설 장소 및 대상 2-교실, 2-학생
소단원명 18. 고구려의 시조 주몽 차시 2/3, 3/3차시(100)
학습 목표 사전문에 등장하는 사건이나 인물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수업모형형태 문제중심학습법 PBL 훈련기능-내용 학습기능 훈련 - 데이터분석, 구성
학습 자료 다양한 과제해결보조학습자료 의사소통 훈련- 시각
학습단계 활동내용 시간
배움열기 전시학습확인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의 이야기를 통해 고구려 건국 신화를 배우고 그 속에 담긴 신화의 내용을 이해하였다. 건국 신화의 신화적인 요소를 이해하고 주몽이라는 인물을 바탕으로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 수 있었다. 10
동기유발 사전문은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의 행적을 서술한 글로, 글 속에 등장하는 사건이나 인물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흥미롭게 알 수 있다. 역사적 인물과 관련한 대본을 작성하면서 역사적인 사건이나 인물의 행적에 대해 조사해보며 전통문화의 가치를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를 갖도록 한다
목표제시 사전문에 등장하는 사건이나 인물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배움활동 문제제시 드라마 <주몽>45천 평 대지 위 오픈 세트에서 한민족 역사에 얽힌 이야기를 담고자 하였다. 일대일 대결 장면에서 느껴지는 긴장은 영화처럼 잘 계산되었고 대형 전투 장면 스케일 역시 웅장했다. 최완규 작가는 비빌 언덕이 없었다.”며 참고 자료 부족과 고증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제작진은 고대 문헌의 몇 줄 기록이 전부인 고구려 탄생에 대한 이야기를 개연성 있는 상상력으로 채워 넣어 달라고 스타 청소년 프로덕션에 주문하였다.
이 드라마에서 주몽이 자신을 해치려는 이복형제들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려고 탈출하는 장면을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좋을지 대본을 작성하시오.
 
(추가 PBL)
여러분들은 학교의 교지를 담당하는 교지 기자입니다. 역사적 인물을 만나 가상 인터뷰한 후 인물탐방리포트를 작성해볼 것입니다. 인물을 만나기 전에 짝과 함께 인물에 대한 사전 조사를 하고 인터뷰를 마친 후 작성한 인물탐방리포트는 기자 블로그에 올려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도록 합니다.
10
학습내용추론 (수업 소개) 교사는 학생들이 주몽 이야기 중 주몽이 자신을 해치려는 이복형제들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려고 탈출하는 장면을 대본으로 작성하여 같은 반 학생들과 공유할 예정임을 공지한다.
(가정) 학생들은 드라마 혹은 영화 제작자가 되어 주몽 이야기를 어떻게 각색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할지 생각한다.
(사실) 학생들은 부여된 문제 해결을 위해 인터넷 등 다양한 과제해결 보조학습자료를 활용하여 대본 작성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정리한다. 역사적 사실과 주제를 심하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패러디할 수 있다.
(학습할 내용) 역사적 인물과 관련한 대본을 작성하면서 역사적인 사건이나 인물의 행적에 대해 조사해보며, 전통문화의 가치를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를 갖도록 한다. 이후 자발적인 인물탐방리포트 작성 문제도 함께 생각한다
70
개별학습-소그룹활동
정리 결과물 발표ㆍ평가 모둠별로 작성한 대본을 발표하고 그 중 영상으로 만들 만한 것을 선정하여 직접 제작한다. 완성된 영상을 함께 감상하면서 문제해결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창의력 발휘가 충분히 이루어졌는지 등을 평가한다.(자기평가, 동료평가)
이후 학생들 스스로 새로운 역사 인물에 대해 조사하고 인물탐방리포트를 작성해보면서 자발적인 전통문화의 가치를 이해하는 시간을 갖도록 안내한다.
10

5독해영역 한문 산문 PBL 교수ㆍ학습 과정안

 

교사는 학생들이 제작한 대본 가운데 주몽 이야기를 실감나게 표현했거나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패러디패러디는 원작을 재구성하는 것으로 창조적인 모방이라 할 수 있다. 원작의 기본 구조와 인물은 빌려 쓰면서 원작에 대한 풍자, 비판 등을 담을 수 있다. 고전 원전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이야기로 확대하여 재창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활동은 학생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자극하고, 재해석을 통한 새로운 문화 콘텐츠(영화, 연극, 음악, 게임 등) 생산의 초석이 될 수 있다. 가운데 창의성이 돋보이는 몇 편을 뽑아, 학생들이 직접 드라마 영상을 만들어보는 활동도 실시하였다. 그리고 완성된 영상을 시청각실에서 상영하여 영화나 드라마 제작자가 꿈인 학생들에게 진로 체험을 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 때, 학생들이 만든 영상을 보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영상을 제작한 학생들의 자기 평가와 영상을 보는 학생들의 별점 평가 활동을 통해 해당 활동의 긴장감과 활력을 갖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주몽에 대한 이야기를 자유롭게 나누고, 자신들만의 개성이 담긴 대본을 작성하였다. 평소 드라마나 영화 제작자가 꿈인 학생들이 적 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한문 독해가 어렵다고 여기던 학생들도 이 활동을 통해 한문 독해의 필요성을 조금이나마 느끼게 되었다.

 

이 수업을 시도하고자 한다면, 학생들이 창의적인 대본을 작성하고 좀 더 질 높은 영상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특히, 학생들에게 시나리오 혹은 대본 작성 방법과 동영상 제작과 관련된 연수를 제공해준다면, 수업 진행에 도움이 될 것이다.

 

 

2. ‘독해(讀解)’ 영역(領域) 한시(漢詩) 교수(敎授)ㆍ학습(學習) 사례(事例)

 

다음은 한문과 교육과정의 이해를 대상으로 PBL을 적용한 한시 교 수ㆍ학습 사례이다. 교수ㆍ학습 과정안은 6과 같다. 제재는 고등학교 한문』Ⅰ 교과서의 . 한시와 자연이다. 현장 실천가는 작가와 작품에 대한 사전적인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한시의 내용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는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한시를 배우고 시평을 작성해보는 활동이 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주었다. 특히 이 수업에서의 문제 상황은 학생들이 신문 혹은 잡지사에 투고ㆍ기고할 때 자신이 고등학교 때 배운 한문 지식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한 것으로, 시평(詩評)을 쓰면서 한시 감상의 맛을 느껴보는 활동이다. 해당 수업의 학습목표가 잘 녹아 있으면서도 실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PBL문제로 적합하다.

 

대단원명 . 한시와 자연 장소 및 대상 2-교실, 2-학생
소단원명 12. 산사의 밤
13. 덕산 계정에서
14. 봄비를 맞으며
차시 4/4차시(50)
학습 목표 작가와 작품에 대한 사전적인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한시의 내용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수업모형형태 문제중심학습법 PBL 훈련기능-내용 사고력 훈련-비판적, 논리적 사고력
학습 자료 인터넷 신문 기사
학습단계 활동내용 시간
배움열기 전시학습확인 한시 소리 내어 읽기, 한시 끊어 읽기, 한시의 형식 등에 대해 배웠음을 확인한다. 또한, ‘산사의 밤, 덕산 계정에서, 봄비를 반기며의 주제를 상기해본다. 5
동기유발 한시는 간결한 어휘로 함축적인 표현을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한시를 풀이할 때에는 우선 직역의 단계를 충실히 거친 후, 한시 속에 함축된 뜻이 시적으로 드러나도록 의역하는 단계에 이르도록 해야 한다. 한시를 감상하고 그 속에 담긴 속뜻을 바탕으로 시평을 쓰면서 한시 감상의 멋을 느끼도록 한다.
목표제시 작가와 작품에 대한 사전적인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한시의 내용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배움활동 문제제시 당신은 한시를 전공한 칼럼리스트입니다. ○○신문사에서 신문에 실을 5언절구(偶吟-송한필)에 대한 시평 의뢰가 들어왔습니다. 한시에 대한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알기 쉽고 재미있는 시평을 써야 합니다. 당신이 이해하고 감상한 내용을 어떻게 설명, 서술할 것인지를 고민하여 개성 만점의 시평을 써 봅시다.
 
花開昨夜雨, 花落今朝風
可憐一春事, 往來風雨中
10
학습내용추론 (수업 소개) 배운 한시의 특징을 바탕으로 한시를 풀이하고 그 속에 담긴 주제를 찾아내어 여러 사람들과 함께 한시가 지닌 맛과 멋을 느껴보도록 하는 데에 수업 목표가 있다. 옛사람들은 한시를 통하여 자연의 아름다움을 비유적인 방법으로 묘사하기도 하고, 자신의 정감을 자연 경물에 기대어 묘사하기도 함을 알고 처음 접한 5언절구의 한시를 자신의 감정과 상상력을 동원하여 시평을 쓴다. 이를 통해 한시를 쓴 작가의 마음을 함께 공유해보도록 한다.
(가정) 학생들은 한시 칼럼리스트가 되어 자신의 감상평을 어떻게 하면 쉽고 재미있게 서술하고 개성 있게 표현할지 생각한다.
(사실) 학생들은 부여된 문제 해결을 위해 인터넷 신문 검색을 통한 다양한 시평 자료들을 활용하여 자신의 감상평을 표현하는 데에 사용할 자료를 수집정리한다. 모둠별로 시평 자료를 공유한 후, 각자 최상의 시평을 쓸 수 있도록 한다.
(학습할 내용) 모둠별로 詩評이 무엇인지, 어떻게 쓰는 것인지 등과 관련한 내용을 서로 공유한다. 인터넷 신문기사 속 詩評 혹은 인터넷 블로그 속 詩評 등을 함께 읽고 토론한다. 시평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완료된 모둠원들은 각자 개성을 담은 시평을 손 글씨로 쓴다.
25
개별학습-소그룹활동
정리 결과물 발표ㆍ평가 개인별로 한시를 직접 손 글씨로 옮겨 적으며 풀이하고, 작성된 시평을 모둠원들과 공유하고 서로의 느낌을 나누어보도록 한다. 교사는 모둠별로 두 세편의 시평을 골라 읽어주며, 감상을 공유한다. 문제 해결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비판적논리적 사고력이 충분히 발휘되었는지 등을 평가한다. (자기평가, 동료평가) 10

6독해영역 한시 PBL 교수ㆍ학습 과정안

 

연구자는 교사에게 기존 신문에 연재된 시평을 학생들에게 예시(例示)로 보여주고 읽어보도록 안내하였다. 시평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PBL 활동을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학생들이 모둠별로 한시를 풀이한 후, 토론을 통해 한시의 형식, 운자, 주제를 찾으며 한시와 관련된 다양한 지식들을 자기 주도적으로 익힌다. 그리고 모둠별로 활발한 소통과 토론으로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한시와 관련된 자신의 견해를 쓴 후, 각자 작성한 시평을 통해 한시 감상을 공유한다. 학생들이 쓴 시평은 매우 참신하였다사계절 중 지나가는 것이 가장 아쉬운 계절이 있다면 그건 봄이다. 사실 봄에, 가장 진정한 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될까? 초봄에는 꽃샘추위로 겨울과 다르지 않은 날을 몇 주 보내고 조금 꽃이 피려고 하면 시험 기간도 함께 다가와 안타까울 뿐이다. 사계절 중 가장 좋은 향기를 내는 봄이 지나가는 것은 이 시의 작가가 그렇듯이, 나도 마찬가지로 아쉽다. 작가는 봄날의 일이 가련하다.’는 표현을 했는데 정말 그런 것 같다. 꽃이 필 때까지는 그렇게 오래 걸리더니, 지는 것은 너무도 빨리 진다. 봄을 보내는 이들의 마음 모두 그렇지 않을까. 학생 .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해 5언 절구를 직접 풀이하면서 한자가 가지고 있는 뜻을 시의 주제에 맞게 의역하여 작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보다 효과적으로 드러내야 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다만 한시를 직역하기 위해 자전(字典)에서 한자가 가진 뜻을 찾는 과정이 쉽지 않아서 한시 감상의 즐거움이 다소 감소한 듯하다. 따라서 이 수업을 시도하고자 한다면, 교사는 학생들이 한시에 나온 한자의 음과 뜻을 좀 더 빠르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의역이 필요할 때에는 학생의 창의력 이나 상상력이 잘 발휘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3.‘한문지식영역 한자(漢字) 교수(敎授)ㆍ학습(學習) 사례(事例)

 

다음은 한문지식한문 지식영역 성취 기준은 한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어의 짜임, 품사의 활용, 허사, 성어, 문장의 구조, 문장 성분의 도치, 문장의 수사 등 보다 확장된 문법에 대한 지식을 익혀 한문을 바르게 풀이하고 이해ㆍ감상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이다. 이와 같은 성취 기준은 독해영역 및 문화영역의 밑바탕이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문 독해와 문화 이해의 바탕이 되는 한문 문법에 대한 지식을 정확하게 익힐 수 있는 문제를 개발하였다.영역의 한자(漢字)’를 대상으로 PBL을 적용한 교수ㆍ학습 사례이다. 제재는 고등학교 한문』Ⅰ 교과서의 첫 대단원인 . 한자의 주춧돌이다. 이 수업의 학습 목표는 한자의 짜임을 알고 한자의 3요소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이다. 한자를 배우면서 흥미를 유발하고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PBL 문제를 구안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연구자는 이 수업에서의 문제 상황을 학생들이 광고 회사에 취직했을 때로 설정하고, 자신이 고등학교 때 배운 한문 지식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가정한 것이다.

 

수업 결과, 학생들은 한자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보다 확실하게 기억할 수 있었다. 특히 회의자(會意字)를 만드는 것이 형성자(形聲字)를 만드는 것보다 수월했는지,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표현하여 제출한 글자는 회의자가 월등히 많았다. 이 수업을 시도하고자 하는 교사는 학생들에게 자전(字典), 전자사전(電子辭典), 인터넷 등을 이용해 필요한 한자를 조사할 수 있는 시간을 넉넉하게 제공해서 보 다 창의적인 한자를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어야 하겠다. 한자의 제자원리를 이해하는 데에 이론으로만 배우는 것보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배우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는 것을 학생들의 소감을 통해 알 수 있다그동안 이론으로만 배워왔던 한자의 제자원리를 직접 적용하여 창의적으로 나만의 글자를 만든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처음에는 상식으로 알고 있던 한자가 부족해 회의자, 형성자를 만들어내기가 어려웠지만, 한자 교과서와 사전을 찾아보며 내가 표현하고 싶은 한자를 만들 수 있게 되어, 만든 뒤에 뿌듯함도 느꼈다. 다른 친구들의 기발한 아이디어로 만들어진 한자까지 함께 공유하는 재미도 있어 즐겁고 유익한 수업이었다.”. 그림 1은 학생들이 만든 창의 한자이다.

 


貝生 言多 玄心
(불에) 데이다() 부유하다() 잔소리() 흑심()
+
() +
+
(재물)+()
+
()+(많다)
+
(검다)+(마음)

그림 1학생들이 만든 창의 한자

 

대단원명 . 한문의 주춧돌 장소 및 대상 1-교실, 1-학생
소단원명 2. 한자의 구조 차시 2/3, 3/3차시(블록타임 90)
학습 목표 한자의 짜임을 알고 한자의 3요소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수업모형형태 문제중심학습법 PBL 훈련기능-내용 학습기능 훈련 - 데이터분석, 구성
학습 자료 교과서, 유인물, 자전 사고력 훈련 - 창의력
학습단계 활동내용 시간
배움열기 전시학습확인 이미 만들어진 한자의 음, 뜻을 활용하여 새로운 한자를 만드는 원리인 회의, 형성에 대한 질문을 통해 배운 내용을 확인한다.
한자의 짜임은 한자의 3요소를 익히는데 도움이 됨을 상기시킨다
5
동기유발 기존의 한자를 활용하여 새로운 회의자와 형성자를 만들어 보면서 한자의 짜임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한자의 3요소에 대한 학습 흥미를 높이도록 한다.
목표제시 한자의 짜임을 알고 한자의 3요소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배움활동 문제제시 여러분은 한국 최고의 광고 회사인 한국기획에 이제 막 입사한 인턴 사원이다. 국내 잡지의 지면 광고를 주로 담당하는 부서에 배치된 여러분은 이제 막 새로운 광고 기획을 맡은 B팀에 소속되었다. B팀은 이번에 탈모샴푸 회사로부터 동아시아국가를 대상으로 홍보할 지면 광고를 의뢰받았다. B팀은 아이디어 회의를 거쳐서 동아시아의 보편 문자인 한자를 이용하여 지면 광고를 만들기로 하고, 각자 다음 주까지 새로운 한자를 만들어 와서 아이디어 회의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B팀 팀장은 아래와 같은 한자를 보여주면서, 각자 개발할 한자는 이처럼 1차적으로 친숙한 한자를 결합하되, 결합한 글자를 보고 어떤 뜻을 갖고 있는지 쉽게 떠오르면서도 아이디어가 참신한 글자를 개발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여러분은 고등학교 때 한자의 짜임을 배우면서 기존의 한자를 활용하여 새로운 한자를 만드는 회의 원리나 형성 원리를 배운 경험이 있기에, 아이디어가 번뜩이는 한자를 새롭게 개발할 자신이 있다. 어떤 한자를 새롭게 만들 수 있을까?

目光
뻔뻔하다() (장님)눈뜨다()
남자와 여자가 함께 걷고 있는데 더 이상 걸을 힘이 없다며 남자가 여자에게 뻔 뻔하게 업어달라고 해서 ()이라는 뜻과 ()이라는 음이 만나 장님이 눈을 떴다는 글자가 됨
5
학습내용추론 (수업 소개) 교사는 학생들이 회의와 형성의 원리를 이용해 창의적인 한자를 만들고 같은 반 학생들과 공유할 예정임을 공지한다.
(가정) 학생들은 자신이 만들고자 하는 한자의 뜻 혹은 음을 생각하고 정리한다.
(사실) 학생들은 부여된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한자를 자기 주도적으로 한자 자전이나 전자사전, 인터넷 등을 활용하여 조사한다.
(사실) 학생들은 부여된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한자를 자기 주도적으로 한자 자전이나 전자사전, 인터넷 등을 활용하여 조사한다.
(학습할 내용) 회의자는 이미 만들어진 한자의 뜻과 뜻을 조합해서 만들어야 하고, 형성자는 이미 만들어진 한자의 뜻과 음을 조합해 만들어야함을 정확하게 알고, 문제에서 요구하는 한자를 만든다.
70
개별학습-소그룹활동
정리 결과물 발표ㆍ평가 개별적으로 만든 문자를 공유하고 학생의 개성과 창의성이 잘 표현되었다고 생각되는 결과물에 대해 스티커를 붙여 주어 칭찬하도록 한다.(자기평가, 동료평가) 10

7한문지식영역 한자 PBL 교수ㆍ학습 과정안

 

 

4. ‘한문지식영역 어휘(語彙) 교수(敎授)ㆍ학습(學習) 사례(事例)

 

다음으로 한문과 교육과정의 어휘(語彙)’ 가운데 成語를 대상으로 PBL을 적용한 교수ㆍ학습 사례이다. 제재는 고등학교 한문』Ⅰ(두산동아) 교과서의 . 성어로 세상 보기이다. 연구자는 관련 유래를 가진 성어의 겉뜻을 아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그 성어가 가지고 있는 고사(故事)와 속뜻을 함께 알 수 있는 문제 상황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학생들이 국립국어원 학예사가 되었다는 상황을 설정하고, 옛일을 배경으로 하는 고사성어가 아니라 지금 살고 있는 현재를 배경으로 한 성어를 새롭게 구성하는 프로젝트를 해결하는 것으로 문제 상황을 개발하였다.

 

성어 학습은 PBL문제에 적합한 문제 상황을 개발하기가 상당히 어려웠다. 성어뿐만 아니라 독해영역도 그러하다. 한문과의 목표인 한문독해능력 신장을 실제적인 상황으로 어떻게 구성해야 할까? ‘한문학과 신입생인 여러분은 입학 전 O.T 기간에 며칠 동안 서당에 들어가 대학(大學)을 배우게 되었고, 학우들과 돌아가면서 성독(聲讀)하고 문장을 풀이해야 한다. 어떻게 수행할 수 있을까?’ 정도가 될 것이다. 타 교과에 비해 한문과는 PBL에 맞는 문제 상황을 개발하는 데에 애로사항(隘路事項)이 많기에, 한문 교사들이 머리 를 맞대고 아이디어를 함께 개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수업의 학습목표는 성어의 겉뜻뿐만 아니라, 유래를 통해 그 속뜻을 알 수 있다.’이다. 학생들은 성어가 가진 유래를 35자로 함축하여 표현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깨닫고, 옛 성현들의 지혜를 느낄 수 있는 수업이었다. 다만, 학생들이 글자 수에 얽매이다보니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에 해당하는 한자를 찾고 조합하는 데에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한다. 이 수업을 시도하고자 하는 교사는 학생들이 먼저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유래)를 발굴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학생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에 맞는 한자(漢字)를 탐색할 때에 평소 접하기 어려운 낯선 한자를 찾지 않도록 안내해야 한다.

 

대단원명 . 성어로 세상 보기 장소 및 대상 도서관, 2-학생
소단원명 5. 백아, 거문고 줄을 끊다. 차시 3, 4차시(100)
학습 목표 성어의 유래를 알고 속뜻을 말할 수 있다.
수업모형형태 문제중심학습법 PBL 훈련기능-내용 의사소통 훈련- 시각
학습 자료 교과서, 자전 사고력 훈련 - 창의력
학습단계 활동내용 시간
배움열기 전시학습확인 성어는 유래를 가지고 있고 그와 관련해 속뜻이 있음을 배웠으므로 성어 학습을 할 때는 단순히 겉뜻만 아는 데 그치지 말고, 그 고사의 내력이나 고문헌에서 유래된 속뜻을 알 수 있어야 한다. 5
동기유발 가상의 이야기를 만들고 거기에서 유래된 한자 성어를 창의적으로 만들어 보면서 성어의 특징을 이해하고 속뜻을 알고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목표제시 성어의 유래를 알고 속뜻을 말할 수 있다.
배움활동 문제제시 여러분은 한 나라의 국어를 연구하고 사전을 편찬하는 국립국어원의 학예사입니다. 이번 과제는 국어사전에 등재할 주제별 성어를 새롭게 만드는 것입니다. 아래에 있는 성어를 주제별로 정리한 후, 주제문을 만듭니다. 그리고 난 후, 여러분이 만든 주제문을 가장 잘 압축해서 표현할 수 있는 창의 한자 성어를 만들어 봅시다.
 
望雲之情 / 輾轉反側 / 伯牙絶絃 / 燈火可親 / 韋編三絶 / 昏定晨省 / 寤寐不忘 / 管鮑之交
 
해당성어 表裏不同(표리부동)        
口蜜腹劍(구밀복검)        
주제 겉과 속이 다름 효도 우정 그리움 학문에 힘씀
주제문 선생님 앞에선 Good Girl,
친구들에겐 Bad Girl.
       
 
10
학습내용추론 (수업 소개) 교사는 모둠별로 창의 한자 성어를 만들고, 관련 유래를 네 컷 만화로 표현하여 다른 학생들이 보다 쉽고 재미있게 창의 한자 성어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설명한다. 물론 제시된 주제 외에도 모둠별로 표현하고 싶은 주제를 정해도 무방하다.
(가정) 주어진 문제에 대해 모둠별로 협의 및 역할 분담을 한다.
(사실) 창의 한자 성어를 만들기 위해 가상의 이야기(유래)를 만들고, 관련한 내용을 함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한자를 한자 자전, 인터넷 등을 활용해 조사정리한다.
(학습할 내용) 학습 자료를 종합하고 그와 관련한 의견을 교환하여 모둠별 과제물을 정리하고 체계화한다. 유래와 창의 한자 성어를 한글로 작성하고, 네 컷의 만화로 유래를 표현한 후에 작업한 출력물에 붙인다
75
개별학습-소그룹활동
정리 결과물 발표ㆍ평가 모둠별로 돌아가며 대표적인 창의 한자 성어를 1개씩 발표한다. 모둠은 자기평가, 구성원간의 평가를 한다. 교사는 관찰 평가를 하고, 다음 문제해결 과제수행에 반영한다 10

8한문지식영역 어휘 PBL 교수ㆍ학습 과정안

 

 

5. ‘문화영역 언어생활(言語生活)과 한자문화(漢字文化) 교수(敎授)ㆍ학습(學習) 사례(事例)

 

한문과 교육과정의 문화문화영역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전통문화와 관련한 다양한 배경지식을 자기 주도적으로 찾아 학습하게 하고, 자부심을 가지고 알리고 싶은 전통문화를 소개하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는 우리나라 언어의 특징을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정확하게 구사할 수 있도록 하며, 다문화 사회에 대처하는 자세를 생각해볼 수 있는 문제를 개발하였다.영역 가운데 언어생활과 한자문화를 대상으로 PBL을 적용한 교수ㆍ학습 사례이다. 제재는 고등학교 한문』Ⅰ 교과서의 . 한문의 주춧돌이다. 연구자는 소단원에 나온 여러 한자 어휘 가운데 다의어(多義語),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를 대상으로 하여 한자를 학습함으로써 어휘력이 확장될 수 있음을 스스로 깨닫도록 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나아가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점차 늘어나는 현재 상황과 관련해 만약 자신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라면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들에게 어떻게 한자 어휘 중 동음이의어를 쉽고 재미있게 알려줄 것인지 생각해보는 문제 상황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현장 실천가는 이 수업의 학습 목표가 한자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 바르게 활용할 수 있다.’이므로 학생들이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통해 읽기ㆍ필기ㆍ요약의 학습기능과 언어와 관련한 의사소통능력 등을 기를 수 있다고 하였다. 해당 수업은 학습목표가 잘 녹아 있으며, 오늘날 일어날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와 연결되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PBL문제로 적합하다.

 

이 수업은 한자문화(漢字文化)에서 유래한 어휘를 정확히 알고 언어생활에 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이다.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이 바로 한자 어휘이다. 특히, 소리는 같은데 뜻이 다른 동음 이의어는 한국 사람들도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모둠 토론을 통해 자주 쓰이는 동음이의어나 다의어를 선정하여 어떻게 하면 쉽고 재미있게 설명할 수 있을지를 시연을 통해 보여준다. 토론을 통해 예상 시나리오를 영어로 작성하고, 모둠별로 다양한 상호 의견 교환을 통해 합의를 도출한 후, 프레젠테이션을 완성한다.

 

대단원명 . 한자의 주춧돌 장소 및 대상 2-교실, 2-학생
소단원명 한자의 이해 차시 2/4, 3/4, 4/4차시(150)
학습 목표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알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다
수업모형형태 문제중심학습법 PBL 훈련기능-내용 학습기능 훈련 - 읽기, 필기, 요약
학습 자료 인터넷, 백과사전, PT자료 의사소통 훈련- 언어
학습단계 활동내용 시간
배움열기 전시학습확인 한자의 이해를 배우면서 우리말의 70% 이상이 한자 어휘임을 알 수 있었다. 한자 어휘의 뜻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개인적 차원의 일상 언어생활에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차원의 언어생활에도 크게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15
동기유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외국인들이 특히 어려워하는 것이 바로 동음이의어, 다의어이다. 외국인들에게 우리 말 한자 어휘를 어떻게 하면 쉽고 재미있게 설명하고 가르쳐줄 수 있을까를 고민하면서 한자 어휘 학습의 중요성을 생각해보자.
목표제시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알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다.
배움활동 문제제시 세계 각국에 한국어 가르치는 학교 각국에 한국어 가르치는 학교 늘었다4년 새 2배로
자카르타 한복판서 한국어 배우기열풍 일어난 까닭은
수단에서 온 밀짚모자 사나이 무사씨의 한국어 배우기
 
위의 문장은 인터넷 신문기사의 헤드라인입니다. 이처럼 한국어 배우기 열풍이 불고 있어 많은 외국인들이 현지에서 배우기도 혹은 한국으로 유학을 오기도 합니다. 여러분은 ○○한국어 학당에서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강사입니다. 처음 한국에 와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5명을 지도합니다.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다 배운 상태여서 한글로 표기된 글자는 읽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읽을 때 발음은 같은데 뜻이 다른 경우, 하나의 글자인데 여러 가지 뜻이 있는 경우를 매우 혼동하며 어려워하는 상황입니다. 외국인들이 힘들어하는 한국어 어휘 익히기. 그 이유는 바로 한자 어휘가 대부분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한자 어휘로 된 동음이의어, 다의어를 쉽고 재미있게 가르쳐줄 수 있을까요?
30
학습내용추론 (수업 소개) 교사는 학생들이 외국인을 가르치는 한국어 강사가 되어 영어로 다양한 한자 어휘(다의어, 동음이의어)를 설명하고 소개해야함을 공지한다.
(가정) 학생들은 외국인들을 가르치는 한국어 강사가 되어 어떻게 하면 한자 어휘 중 다의어와 동음이의어를 쉽고 재미있게 설명할 것인지 교수학습방법을 고민한다.
(사실) 학생들은 부여된 문제 해결을 위해 인터넷 등을 활용하여 외국인들이 혼동하는 동음이의어, 다의어를 찾아 수집정리한다. 영어로 외국인에게 동음이의어, 다의어를 설명하는 것이므로 한국어 강사가 알아야할 교실영어표현을 찾아 연습한다.
(학습할 내용) 모둠별로 외국인들에게 설명해주고 싶은 동음이의어 혹은 다의어를 45개 정도 선정하도록 한다. 영어 시나리오를 먼저 작성하여 영어교사에게 첨삭을 받을 수 있도록 사전 양해를 구한다. 그리고 영어사전을 활용하여 한자 어휘의 뜻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둠별 발표 진행시 청중들은 모두 외국인처럼 반응하여 발표자들이 실제 외국인들에게 어휘를 가르치는 현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50
개별학습-소그룹활동
정리 결과물 발표ㆍ평가 도서관 빔 프로젝터를 활용하여 모둠별로 외국인에게 어휘 가르치기 프레젠테이션 발표를 하였다. 모둠원들은 각자 역할을 나누어 짧게라도 발표에 참여하도록 한다. 모둠별 평가와 자기 평가지를 작성한다.
모둠별 발표내용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언제든지 상대 모둠 혹은 자기 모둠 평가 시 돌려볼 수 있도록 하였다.
영어발음과 유창성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얼마만큼 한자 어휘를 상세하고 재미있게 표현하여 외국인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를 중점적으로 평가함을 주지시킨다.
30

9문화영역 언어생활과 한자문화 PBL 교수ㆍ학습 과정안

 

 

 . 결론(結論)

 

 

이상(以上)으로 한문과(漢文科)에서의 PBL 연구 성과와 PBL과 한문과(漢文科) 교육과정(敎育課程)과의 관련성, 그리고 PBL을 적용한 고등학교(高等學校) 한문(漢文) 수업사례(授業事例)를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타 교과의 PBL 관련 연구 성과에 비해 한문과에서의 PBL 연구 성과는 매우 적지만,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하는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이 교과 수업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정보처리 능력 등을 기르도록 되어 있다는 점에서, PBL을 적용한 한문과 수업은 앞으로 많은 연구와 실천 사례가 축적되어야 함이 분명하다.

 

학기 중의 모든 수업에 PBL을 적용하여 진행할 수는 없다. 물론, 그럴 필요도 없다. 다양한 교수ㆍ학습 방법을 능숙하게 갖춘 후, 어떤 글감이나 주제는 강의식이나 토의ㆍ토론 학습법으로, 또 다른 글감이나 주제는 역할 놀이 학습법이나 PBL로 진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학습자 스스로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학습자가 1시간의 수업을 통해 아무리 작은 내용이라도 수업을 듣기 전에 비해 얻은 것이 있고, 지식이든 태도이든 변화된 것이 있다면, 그 수업은 충분한 의의가 있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습 효율성은 강의 듣기5%이고, ‘실제 해보기75%이다. 한문과 수업의 나아가야 할 길 은 학생이 수업을 통해 배움을 경험하고 변화될 수 있도록 실제 해볼 수 있는 교수ㆍ학습 방법을 다양하게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장 교사들이 안주(安住)하지 않고 학사(學師)’가 되길 기대해 본다學師 : ‘배우는 교사(stucher)’라는 의미로, 새롭게 創案한 용어이다. 백광호(2008; 59)에서 처음 사용하였다. “學師學生敎師를 합친 용어이다. 외국에서 들어온 표현인 교사 연구자(Teacher as a researcher)’에 사용된 ‘researcher’는 실천을 보다 중요시하는 현장의 교사들에겐 뭔가 모를 거부감이 있어, 발표자가 생각해 낸 신조어이다. ‘saladent(샐러던트)’라는 신조어처럼 ‘stucher(스튜처)’로 표현할 수도 있다. 두산세계대백과사전에 따르면, ‘saladent’월급 생활자를 뜻하는 ‘Salaried man’학생을 뜻하는 ‘Student’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말로 공부하는 직장인을 의미한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 과정이 고시(告示)된 이 시점에서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될 다양한 교수ㆍ학습 방법이보다 상세하고 체계적으로 기술되기를 희망하면서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을 정리하는 것으로 이 글을 맺고자 한다.

 

 

그림 2학습 효율성 피라미드(출처 : EBS 다큐프라임)

 

 

1. 문제중심학습법의 정의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은 학습자들에게 실제적인 문제가 발생한 상황을 제시하고, 학습자는 개별 학습과 협동 학습을 통해 공통의 해결안을 마련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방법이다.

 

2. 문제중심학습법의 절차 및 고려사항

1) 초기 활동 : 모둠 구성, 친근하면서 허용적인 분위기 조성, 역할 부여

2) 문제 제시 및 문제에의 접근 : 학습목표와 연관되면서 실제적이며 수업 시간에 다룰 가치가 있는 문제 상황 제시

3) 문제에서 요구하는 학습내용 추론 : 과제수행계획서 작성

4) 자기주도학습 : 실천계획에 따라 개인별ㆍ모둠별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

5) 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지식 적용 및 문제해결계획 반추 : 수집한 자료를 종합하고 그에 대해 의견 교환, 주어진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시도

6) 문제 해결안 작성 및 발표 : 모둠별로 통일된 하나의 결과물 제시 및 발표

7) 종합 정리 : 교수자의 총평 및 강의

 

3. 문제중심학습법의 유의점

1) 가장 중요한 것은 문제 개발이다. 이때의 문제는 문제중심학습법에 적합해야 한다.

2) 모든 학생이 문제를 명확히 이해하고, 분담한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전체를 놓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지도한다.

3) 자료를 수집ㆍ분석하고, 모둠 내에서 의견을 교환하고, 급우들 앞에서 발표를 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핵심 역량인 의사소통 능력, 정보처리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인성 역량, 심미적 감성등을 키울 수 있도록 지도한다.

4)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중에 한문독해능력신장이라는 한문과의 기본 학습 목표를 충분히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4. 문제 예시

여러분은 한국 최고의 광고 회사인 한국기획에 이제 막 입사한 인턴 사원이다. 국내 잡지의 지면 광고를 주로 담당하는 부서에 배치된 여러분은 이제 막 새로운 광고 기획을 맡은 B팀에 소속되었다. B팀은 이번에 탈모샴푸회사로부터 동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홍보할 지면 광고를 의뢰받았다. B팀은 아이디어 회의를 거쳐서 동아시아의 보편 문자인 한자를 이용하여 지면 광고를 만들기로 하고, 각자 다음 주까지 새로운 한자를 만들어 와서 아이디어 회의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B팀 팀장은 아래와 같은 한자를 보여주면서, 각자 개발할 한자는 이처럼 1차적으로 친숙한 한자를 결합하되, 결합한 글자를 보고 어떤 뜻을 갖고 있는지 쉽게 떠오르면서도 아이디어가 참신한 글자를 개발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여러분은 고등학교 때 한자의 짜임을 배우면서 기존의 한자를 활용하여 새로운 한자를 만드는 회의 원리나 형성 원리를 배운 경험이 있기에, 아이디어가 번뜩이는 한자를 새롭게 개발할 자신이 있다. 어떤 한자를 새롭게 만들 수 있을지 작성해 보자.

 

5. 교수ㆍ학습 과정안 예시

7참고.

 

 

[참고문헌]

 

단행본

경기도교육청(2015), 경기교육 8대 중점정책, ª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4, 13.

교육과학기술부(2011), 한문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 교육과학기술부, 4546.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5a),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시안 검토 공청회(연구자료 ORM 2015-56-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________________(2015b), 2015 개정 한문과 시안 개발 연구Ⅱ』(연구자료 CRC 2015-25-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학술논문

백광호(2000), 漢文科에 적용가능한 웹기반수업과 문제중심학습, 한문교육연구15, 한국한문교육학회, 453470.

______(2008), 漢文 敎科敎授學的 內容 知識 開發을 위한 中學校 漢文 授業理解, 청람어문교육38, 청람어문교육학회, 59.

손정우(2015), 자기 주도적 학습 지원을 위한 과학교과서, 교과서 연구79, 한국교과서연구재단, 33.

송분화(2008),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故事成語 교육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재경(2015), “Flipped classroomPBL의 접목”, 학습자 중심의 창의적 교수법워크숍 발표자료, 24.

조혜경(2002), PBL 활용 수업에서 자기규제학습 능력에 따른 성취도, PBL 학습요소별 인식의 차이 및 성취도와 인식차의 관계분석, 이화교육논총12,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442.

최연주(2014), PBL 적용 난점을 보완한 효과적인 음악과 수업 모형 개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13.

 

전자자료

부산광역시교육청, 부산교육의 기본방향(http://www.pen.go.kr/down/2015-1.jpg)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교육방향 교육지표(http://www.sen.go.kr/web/services/page/viewPage.action?page=kor/intro/intro_04.html)

 

 

[Abstract]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Sino-Korean

 

Baek, Kwang-ho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Jeonju Un iversity / E-mail : khbaek@jj.ac.kr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in Problem-Based Learning in Sino- Korean, and introduce Sino-Korean teaching and learning case of applied Problem-Based Learning.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Problem-Based Learning to "Classical Chinese Prose ','Classical Chinese poetry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Language Life & Chinese character culture' in the Chinese Classics Education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It showed that the students are actively involved through the activities carried out directly in class. Therefore, the research direction for the Sino-Korean class needs to concentrate on teaching students a variety of development and learning how to learn by experience the actual performance in the classroom.

 

Key Word: Revised 2015 Chinese Classics Education Curriculum, Core competence, Problem-Based Learning, Classical chinese prose, Classical chinese poetry, Language life & Chinese character culture

 

 

투고일 : 51
심사일 : 624
심사완료일 : 627

 

 

 

 

인용

목차 / 지도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