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조성립 - 비분탄(悲憤歎) 본문

한시놀이터/서사한시

조성립 - 비분탄(悲憤歎)

건방진방랑자 2021. 8. 16. 15:07
728x90
반응형

왜군을 맞서다 당당하게 죽은 김제군수 정담을 기리며

비분탄(悲憤歎)

 

조성립(趙成立)

 

悲來乎憤長歎! 슬프구나! 비분강개한 긴 탄식이여!
截彼熊峴遙相望 깎아지른 저 곰치는 아득히 서로 바라보이네
蠢玆海寇分三道 꿈틀대는 해적은 삼도로 나누어져
一陣直向豐沛鄕 한 진은 곧장 전주로 향하네.
東萊已摧釜山陷 동래는 이미 꺾였고 부산도 함락되어
所過列郡爭走藏 지나친 마을은 다투어 도주하거나 숨는다지.
公獨有國不有身 김제군수 정담(鄭湛)은 홀로 나라만 소유하고 몸은 소유하질 않아
尺劍直欲前鋒當 한 척 검으로 곧장 군대의 선두에서 감당하려 했다네.
提携步卒不滿萬 보병들 끌어모아도 만 명이 채 되지 않지만
戰陣義勇何堂堂 전투 진영의 의기와 용기가 어찌나 당당한지.
冠衆我寡勢難敵 적군은 많고 우리들은 적으니 기세 대적하기 어려워
斬木設栅先備防 나무 베어 목책 설치하고서 먼저 방어 대비하네.
白馬一將樹紅旗 흰 말의 한 적진의 장수가 붉은 깃발 세우고
排陣突入馳中央 진을 등지고 돌입하며 중앙으로 달려드니
射必輒中中必殺 정담은 활 쏴 반드시 대번에 적중시키니 적중한 이는 반드시 죽고
賊騎喪膽驚奔惶 기마병들 겁 먹은 채 놀라 분주하고 바들바들 떠네.
賊不敢退不敢進 적은 감히 물러나지도 못하고 감히 나가지도 못하는데
嶺湖兩界崎嶇岡 영남과 호남의 양쪽 경계는 삐죽하게 솟아 있지.
忽自羅州陣疎處 문득 나주로부터 진이 엉성한 곳
彼營一邊飛騰揚 저들이 한쪽 끝을 공격하여 의기가 날 듯 떠올랐다지.
鎭錦兩賊如雲合 진안과 금산의 두 군데의 적들이 구름이 합하듯 모여
頭局已摧勢蒼黃 행렬 앞 부분[각주:1]이 이미 꺾여 세력이 허둥지둥대네[각주:2].
將士一時皆何處 장수와 사졸이 한 때에 모두 어디 가서
李菶數人見在傍 이봉 몇 사람만이[각주:3] 곁에 있는 게 보이네.
縱有拔山超海勇 가령 산을 뽑아버리고 바다를 건널만한 용기가 있더라도
矢盡兵散空拳張 화살은 떨어졌고 병졸은 흩어져 부질없이 주먹만 큰 것을.
隻手集持裨將劍 한 손으로 비장의 검을 모아 가져다가
左衝右突紛星鋩 왼쪽으로 치고 오른쪽으로 부딪치니 별무더기 칼 끝에 분주하네.
殺賊兩將兵數百 적의 두 장군과 병사 수백을 죽였지만
膽勇消盡賊益强 담과 용기는 소진되어 적은 더욱 강성하기만 해.
長鎗叢集炮大雷 긴 창 모아 큰 우레의 포화
牢坐罵賊天蒼蒼 굳게 앉아 적을 혼내키는 데 하늘은 푸르디 푸르렀네.
於古巡遠顏杲卿 옛날에 장순과 허원[각주:4]과 안고경[각주:5]
百鍊金鐵同心腸 백련검과 금색 철 지녀 같은 마음의 속내였지.
今日金堤即常山 오늘 김제는 곧 상산이니
此地熊峴實睢陽 이 땅의 곰치는 실제론 수양성이라네.
是事何以傳始終 이 일을 어떻게 처음과 끝을 전해졌는가?
生還將卒言其詳 살아 돌아와 장차 마치며 자세한 것을 말한 것이겠지.
悲來乎憤長歎 슬프구나! 비분강개한 긴 탄식이여!
郡守之死死綱常 군수의 죽음, 이 죽음은 떳떳한 도리여라.竹菴公實記

 

 

 

 

인용

목차

해설

 

 

  1. 두국(頭局): 예전에, 군진의 행렬 중 앞쪽 부분을 이르던 말 [본문으로]
  2. 창황(蒼黃): 미처 어찌할 사이도 없이 매우 급작스러움 [본문으로]
  3. 이봉수인(李菶數人): 이봉은 당시 김제군수 종사관이었다. 그때 상황을 보고한 자료에 “나주 군사의 방어진이 허술한 곳으로 적군이 돌진해 들어오자 장졸이 모두 흩어졌다. 비장 1인이 급히 달려와 '저쪽 진이 이미 무너져 적의 예봉이 충돌해오니 후퇴하여 형세를 관망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런데 군수는 눈을 부릅뜨고 크게 꾸짖었다. 종사관 이봉 및 비장 약간 명과 굳건히 서서 동요하지 않았다.'고 쓰여 있다. [본문으로]
  4. 순원(巡遠): 중국 당나라 안록산(安祿山)의 난리에 수양성(睢陽城)에서 끝까지 싸우다가 장렬하게 죽은 장순(張巡)과 허원(許遠)을 가리킨다. [본문으로]
  5. 고경(杲卿): 당(唐) 나라 안고경(顔杲卿)을 가리킨다. 안녹산(安祿山)의 난 때 상산태수(常山太守)로 누차 공을 세워 의기를 떨치다가 마침내는 식량과 화살이 떨어져 포로로 잡힌 뒤 끝까지 항거하며 꾸짖다가 죽음을 당하였다. -『구당서(舊唐書)』 卷187下 「안고경전(顔杲卿傳)」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