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종원의 문장관과 영향을 준 책에 대해
답위중립서(答韋中立書)
유종원(柳宗元)
1. 스승 삼길 싫어하는 풍조와 스승의 역할
스승이라뇨, 저는 스승이 될 수 없습니다
二十一日, 宗元白. 辱書云: “欲相師.” 僕道不篤, 業甚淺近, 環顧其中, 未見可師者. 雖嘗好言論 爲文章, 甚不自是也. 不意吾子自京都, 來蠻夷間, 乃幸見取. 僕自卜固無取, 假令有取, 亦不敢爲人師. 爲衆人師, 且不敢, 況敢爲吾子師乎.
후대에 갈수록 스승 삼길 싫어하게 된 풍조와 그것에 발끈한 한유
孟子稱人之患, 在好爲人師, 由魏晉氏以下, 人益不事師, 今之世, 不聞有師, 有輒譁笑之, 以爲狂人. 獨韓愈奮不顧流俗, 犯笑侮, 收召後學, 作「師說」, 因抗顔而爲師. 世果群怪聚罵, 指目牽引, 而增與爲言詞. 愈以是得狂名, 居長安, 炊不暇熟, 又挈挈而東, 如是者數矣.
스승이 된다는 건 소란을 일으킨다는 것
屈子賦曰: “邑犬群吠, 吠所怪也.” 僕往聞“庸ㆍ蜀之南, 恒雨少日, 日出則犬吠.” 予以爲過言. 前六七年, 僕來南二年冬, 幸大雪, 踰嶺, 被南越中數州, 數州之犬, 皆蒼黃吠噬狂走者累日, 至無雪乃已, 然後始信前所聞者. 今韓愈旣自以爲蜀之日, 而吾子又欲使吾爲越之雪, 不以病乎. 非獨見病, 亦以病吾子. 然雪與日, 豈有過哉. 顧吠者犬耳. 度今天下, 不吠者幾人? 而誰敢衒怪於群目, 以召鬧取怒乎.
해석
스승이라뇨, 저는 스승이 될 수 없습니다
二十一日, 宗元白.
21일에 제가 아룁니다.
辱書云: “欲相師.”
편지에서 외람되게 “서로 스승이 될 만합니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僕道不篤, 業甚淺近,
저는 도(道)가 두텁지 못하고 업(業)이 심히 천박하고 지근하여
環顧其中, 未見可師者.
내면을 돌아보아도 스승이 될 만한 것을 볼 수 없습니다.
雖嘗好言論 爲文章, 甚不自是也.
비록 일찍 논의를 말하고 문장을 지었지만 매우 스스로 옳게 여기진 않았습니다.
不意吾子自京都, 來蠻夷間, 乃幸見取.
그런데 뜻밖에 그대는 장안으로부터 외진 땅인 영주(永州)에 오셔서 곧 다행히 취하였습니다.
僕自卜固無取, 假令有取,
제가 스스로 점쳐보니 본래는 취할 게 없었고 가령 취할 게 있다고 해도
亦不敢爲人師.
또한 남의 스승 되기에도 감히 할 수 없습니다.
爲衆人師, 且不敢,
대중들의 스승 되기에도 감히 할 수 없는데
況敢爲吾子師乎.
하물며 그대의 스승 되는 것을 감당하겠습니까.
후대에 갈수록 스승 삼길 싫어하게 된 풍조와 그것에 발끈한 한유
孟子稱人之患, 在好爲人師,
맹자께서 “사람의 근심은 남의 스승 되기를 좋아한다는 데에 있다.”라 하셨고,
由魏晉氏以下, 人益不事師,
위진 시대 이후로는 사람이 더욱 스승 되길 일삼지 않아
今之世, 不聞有師,
지금 세상에 스승이 있다는 말은 듣지도 못했으니,
有輒譁笑之, 以爲狂人.
만약 스승 삼는 사람이 있다면 문득 시끄럽게 비웃으며 미친 사람이라 생각합니다.
獨韓愈奮不顧流俗,
그런데 홀로 한유가 분발하여 시대의 풍속을 돌아보지 않고
犯笑侮, 收召後學,
비웃음과 모욕됨을 무릎 쓰면서 후학을 거두고 불러내어
作「師說」, 因抗顔而爲師.
「사설」을 지어 거만하게 스승이 되었습니다.
世果群怪聚罵,
그러자 세상에선 과연 무리지어 괴이하게 여기고 모여 욕을 하며
指目牽引, 而增與爲言詞.
같은 부류들을 끌어 들인다고 지목하여 덧붙여 말을 만들어냈습니다.
愈以是得狂名,
한유는 이런 이유 때문에 미치광이란 별명을 얻었으며
居長安, 炊不暇熟,
장안에 살 때엔 밥풀이 익을 겨를도 없었고
又挈挈而東, 如是者數矣.
또한 가족을 이끌고서 동쪽으로 가서 이와 같기를 여러 번 했습니다.
스승이 된다는 건 소란을 일으킨다는 것
屈子賦曰: “邑犬群吠, 吠所怪也.”
굴원이 “도읍의 개들이 무리지어 짖는 것은 괴이한 것을 짖는 것이다.”라고 말했고,
僕往聞“庸ㆍ蜀之南, 恒雨少日,
제가 예전엔 들어보니 “용과 촉의 남쪽은 항상 우기로 잠시 해가 뜨는데,
日出則犬吠.” 予以爲過言.
해가 뜨면 개들이 짖는다.”라고 했으니, 저는 잘못된 말이라 생각했습니다.
前六七年, 僕來南二年冬,
그런데 지난 6~7년 전에 제가 남쪽으로 온 지 2년째 되던 겨울에
幸大雪, 踰嶺, 被南越中數州,
다행히 대설이 고개를 넘어 남월의 여러 주(州)에 내리니,
數州之犬, 皆蒼黃吠噬狂走者累日,
여러 州의 개들이 모두 급작스럽게 짖고 물고 미친 듯 달린 것이 여러 날이었고,
至無雪乃已, 然後始信前所聞者.
눈이 녹은 때에 이르러선 곧바로 짖길 그쳤기에 그 후에야 전에 들었던 것을 믿게 되었습니다.
今韓愈旣自以爲蜀之日,
이제 한유는 이미 스스로 촉땅의 해가 되었는데,
而吾子又欲使吾爲越之雪, 不以病乎.
그대는 또한 나를 월땅의 눈이 되게 하려 하니, 해로운 게 아니겠습니까.
非獨見病, 亦以病吾子.
혼자만이 해로운 게 아니라, 또한 그대에게도 해가 될 것입니다.
然雪與日, 豈有過哉.
그러나 눈과 해가 어찌 잘못이 있겠습니까.
顧吠者犬耳.
돌이켜보면 짖는 것은 개일 뿐입니다.
度今天下, 不吠者幾人?
지금의 천하를 헤아려보면 짖지 않는 사람은 몇 사람입니까?
而誰敢衒怪於群目, 以召鬧取怒乎.
누가 감히 여러 사람의 눈에 괴이함을 자랑하여 시끄러움을 불러내고 성냄을 취하겠습니까.
인용
'산문놀이터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답위중립서(答韋中立書) - 3. 유종원에게 영향을 준 책들과 문장관 (0) | 2020.08.24 |
---|---|
답위중립서(答韋中立書) - 2. 스승이란 말을 허여하지 않고 문장을 정의하다 (0) | 2020.08.24 |
답위중립서(答韋中立書) - 解說. 유종원이 문장을 짓는 데에 힘쓴 내역을 찾아가다 (0) | 2020.08.24 |
한유 - 백이송(伯夷頌) (0) | 2020.08.24 |
한유 - 모영전(毛穎傳) (0) | 2020.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