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갑 하(太甲下)
제1장(第一章)
伊尹이 申誥于王曰 嗚呼라 惟天은 無親하사 克敬을 惟親하시며 民罔常懷하여 懷于有仁하며 鬼神은 無常享하여 享于克誠하나니 天位艱哉니이다
申誥는 重誥也라 天之所親과 民之所懷와 鬼神之所享이 皆不常也라 惟克敬, 有仁, 克誠而後에 天親之하고 民懷之하고 鬼神享之也라 曰敬, 曰仁, 曰誠者는 各因所主而言이라 天謂之敬者는 天者는 理之所在니 動靜語黙에 不可有一毫之慢이요 民謂之仁者는 民非元后면 何戴리오 鰥寡孤獨이 皆人君所當恤이요 鬼神謂之誠者는 不誠無物이니 誠立於此而後神格於彼라 三者所當盡이 如此하니 人君이 居天之位하여 其可易而爲之哉아 分而言之하면 則三이요 合而言之하면 一德而已라 太甲이 遷善未幾에 而伊尹이 以是告之하니 其才固有大過人者歟인저
인용
제2장(第二章)
德이면 惟治하고 否德이면 亂이라 與治로 同道하면 罔不興하고 與亂으로 同事하면 罔不亡하나니 終始에 愼厥與는 惟明明后니이다
德者는 合敬仁誠之稱也라 有是德則治하고 無是德則亂이니 治는 固古人有行之者矣요 亂亦古人有行之者也라 與古之治者로 同道하면 則無不興하고 與古之亂者로 同事하면 則無不亡이라 治而謂之道者는 蓋治因時制宜하여 或損或益하여 事未必同이나 而道則同也요 亂而謂之事者는 亡國喪家가 不過貨色遊畋作威殺戮等事하니 事同이면 道無不同也라 治亂之分이 顧所與如何耳니 始而與治면 固可以興이나 終而與亂이면 則亡亦至矣니 謹其所與하여 終始如一은 惟明明之君이 爲然也라 上篇은 言惟明后하고 此篇은 言惟明明后하니 蓋明其所已明하여 而進乎前者矣라
인용
제3장(第三章)
先王이 惟時로 懋敬厥德하사 克配上帝하시니 今王이 嗣有令緖하시니 尙監玆哉인저
敬은 卽克敬惟親之敬이니 擧其一하여 以包其二也라 成湯이 勉敬其德하여 德與天合이라 故로 克配上帝하시니 今王이 嗣有令緖하니 庶幾其監視此也라
인용
제4장(第四章)
若升高必自下하며 若陟遐必自邇하니이다
此는 告以進德之序也라 『中庸』論君子之道에 亦謂譬如行遠必自邇하고 譬如登高必自卑라하니 進德修業之喩 未有如此之切者라 呂氏曰 自此는 乃伊尹畵一以告太甲也라
인용
제5장(第五章)
無輕民事하사 惟難하시며 無安厥位하사 惟危하소서
無는 毋通이라 毋輕民事而思其難하고 毋安君位而思其危라
인용
제6장(第六章)
愼終于始하소서
人情이 孰不欲善終者리오마는 特安於縱欲하여 以爲今日엔 姑若是하고 而他日엔 固改之也라 然始而不善而能善其終者寡矣라 桐宮之事는 往已어니와 今其卽政臨民하니 亦事之一初也라
인용
제7장(第七章)
有言이 逆于汝心이어든 必求諸道하시며 有言이 遜于汝志어든 必求諸非道하소서
鯁直之言은 人所難受요 巽順之言은 人所易從이라 於其所難受者엔 必求諸道요 不可遽以逆于心而拒之며 於其所易從者엔 必求諸非道요 不可遽以遜于志而聽之라 以上五事는 蓋欲太甲이 矯乎情之偏也라
인용
제8장(第八章)
嗚呼라 弗慮면 胡獲이며 弗爲면 胡成이리오 一人이 元良하면 萬邦이 以貞하리이다
胡는 何也라 弗慮何得은 欲其謹思之也요 弗爲何成은 欲其篤行之也라 元은 大요 良은 善이요 貞은 正也라 一人者는 萬邦之儀表니 一人元良이면 則萬邦以正矣리라
인용
제9장(第九章)
君罔以辯言으로 亂舊政하며 臣罔以寵利로 居成功이라사 邦其永孚于休하리이다
弗思弗爲하여 安於縱弛면 先王之法이 廢矣요 能思能爲하여 作其聰明이면 先王之法이 亂矣니 亂之爲害 甚於廢也라 成功은 非寵利之所可居者니 至是에 太甲이 德已進일새 伊尹이 有退休之志矣니 此는 咸有一德之所以繼作也라 君臣이 各盡其道면 邦國이 永信其休美也라
○ 吳氏曰 上篇에 稱嗣王不惠于阿衡이라하니 必其言이 有與伊尹背違者니 辯言亂政은 或太甲所失이 在此라 罔以寵利居成功이라하니 己之所自處者已素定矣라 下語旣非泛論이면 則上語必有爲而發也니라
인용
'고전 > 서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 상서, 태갑 상 - 전문 (0) | 2020.06.30 |
---|---|
서경, 상서, 태갑 중 - 전문 (0) | 2020.06.30 |
서경, 상서, 함유일덕 - 전문 (0) | 2020.06.30 |
서경, 상서, 반경 상 - 전문 (0) | 2020.06.30 |
서경, 상서, 반경 중 - 전문 (0) | 2020.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