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청출어람(靑出於藍)
스승의 실력을 넘어선 제자
君子曰: “學不可以已.”
靑, 取之於藍, 而靑於藍; 冰, 水爲之, 而寒於水.
木直中繩, 輮以爲輪, 其曲中規. 雖有槁暴, 不復挺者, 輮使之然也.
故木受繩則直, 金就礪則利, 君子博學而日參省乎己, 則智明而行無過矣.
故不登高山, 不知天之高也; 不臨深谿, 不知地之厚也; 不聞先王之遺言, 不知學問之大也. 干越夷貉之子, 生而同聲, 長而異俗, 敎使之然也.
詩曰: “嗟爾君子, 無恆安息. 靖共爾位, 好是正直. 神之聽之, 介爾景福.” 神莫大於化道, 福莫長於無禍. 『순자(荀子)』 「권학(勸學)」
학문에 뜻을 둔 사람은 끊임없이 발전과 향상을 목표로 하여 노력해야 하고 중도에서 그만두어서는 안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사람의 학문은 더욱 깊어지고 순화되어 한 걸음씩 완성에 가까워질 수 있다. 여기서 ‘푸름과 얼음’의 비유가 등장한다. 이 두 가지는 모두 사람에게 있어서는 학문과 마찬가지로 그 과정을 거듭 쌓음으로써 그 성질이 더욱 깊어지고 순화되어 가는 것이다. 스승에게 배우기는 하지만 그것을 열심히 익히고 행함으로써 스승보다 더 깊고 높은 학문과 덕을 갖게 될 수 있다.
겉뜻: 푸른색은 쪽풀에서 나온다.
속뜻: 제자가 스승보다 뛰어나다.
유의어: 출람(出藍), 출람지예(出藍之譽), 출람지재(出藍之才), 후생각고(後生角高), 출람지영예(出藍之榮譽)
인용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한문놀이터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의반박(解衣槃礴) - 옷을 풀어해치고 그림을 그리는 자유로운 경지 (0) | 2020.07.23 |
---|---|
토사구팽(兎死狗烹) - 필요할 땐 쓰지만 필요 없어지면 가차없이 버려지는 존재 (0) | 2020.07.23 |
전화위복(轉禍爲福) - 불행이 행복으로 바뀔 수 있다 (0) | 2020.07.23 |
절부지의(竊鈇之疑) - 한 번 의심하기 시작하니 모든 게 의심스럽다 (0) | 2020.07.23 |
와신상담(臥薪嘗膽) - 목표를 이루기 위해 힘듦을 참고 견디다 (0) | 2020.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