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견금여석(見金如石) - 욕심 부리지 않겠다는 네 글자의 다짐 본문

한문놀이터/고사성어

견금여석(見金如石) - 욕심 부리지 않겠다는 네 글자의 다짐

건방진방랑자 2020. 7. 24. 18:17
728x90
반응형

견금여석(見金如石)

욕심 부리지 않겠다는 네 글자의 다짐

 

 

崔鐵城瑩少時, 其父常戒之曰: “見金如土[]” , 常以四字書諸紳, 終身服膺而勿失.

雖秉國政, 威行中外, 而一毫不取於人家, 纔足食而已.

當時宰樞相邀迓, 以棋局消日, 爭設珍饌, 以務豪侈; 公獨邀客, 過午不設饌, 日暮糅黍稻炊飯, 兼陳雜菜, 諸客枵腸盡啖菜飯曰: “鐵城之飯甚甘也.” 公笑曰: “此亦用兵之謀也.”

太祖爲侍中, 嘗占聯云: ‘三尺釖頭安社稷.’ 一時文士皆未對.

公遽曰: “一條鞭末定乾坤.” 人皆嘆服.

公每憤林廉所爲, 盡誅宗族, 及其臨刑之日, 乃曰: “平生未嘗造惡業, 但誅林廉過當耳. 我若有貪欲之心, 則墓上生草; 不然則草不生矣.”

墓在高陽, 至今禿赭無一把茅, 俗謂之紅墳也. 용재총화(慵齋叢話)3

 

 

어릴 때부터 경계하여 가르쳤으므로 최영(崔瑩) 견금여석(見金如石) 네 글자를 큰 띠에 써서 평생을 지니고 다니며 잊지 않았다고 했다.

최영(崔瑩)장군은 국정을 맡아 명성을 떨쳤지만 남의 것을 조금도 탐내지 않고 겨우 먹고 사는 데 만족했다. 당시 재상들은 서로 초대하여 바둑을 두며 지낼 때가 종종 있었는데 모두 성찬으로 대접했다. 장군은 초대하고서도 종일 아무 것도 없다가 날이 저물어서야 기장과 쌀을 섞은 잡곡밥에 소찬으로 내 왔다. 배가 고픈 손님들은 채반이라도 남김없이 잘 먹고는 맛이 있다고 치사했다. 그러자 장군은 웃으며 이것도 용병의 계책이요라고 말했다. 형을 받으면서 최후에 남긴 말도 엄숙하다.

내가 탐욕한 마음이 있었다면 내 무덤 위에 풀이 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풀도 나지 않을 것이다.”

고양군(高陽郡)에 있는 장군의 무덤은 오랫동안 풀도 나지 않아 홍분(紅墳) 또는 적분(赤墳)이라 불렸다.

 

 

겉뜻: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다.

속뜻: 욕심을 절제함. 대의를 위해서 부귀영화를 돌보지 않음.

 

 

 

 

인용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