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외시(先從隗始)
가깝고 지근한 일부터 시작하라
燕子之爲王三年, 國內大亂, 齊王伐燕取子之, 醢之, 遂殺燕王噲.
燕人共立太子平, 是爲昭王. 昭王於破燕之後, 卽位, 弔死問孤, 與百姓同甘苦, 卑身厚幣, 以招賢者.
謂郭隗曰: “齊因孤之國亂, 而襲破燕, 孤極知燕小力少, 不足以報, 然誠得賢士, 與共國, 以雪先王之恥, 孤之願也. 先生視可者, 得身事之.”
郭隗曰: “古之人君, 有以千金使涓人, 求千里馬者. 馬已死, 買其骨五百金而返, 君大怒. 涓人曰: ‘死馬, 且買之, 况生者乎. 馬今至矣.’ 不期年, 千里之馬至者三. 今王必欲致士, 先從隗始. 况賢於隗者, 豈遠千里哉.”
於是昭王爲隗, 改築宮而師事之, 於是士爭趣燕, 樂毅自魏往, 劇辛自趙往, 昭王以樂毅, 爲亞卿, 任以國政. 『통감절요(通鑑節要)』 「주기(周紀)」 난왕(赧王) 3년
燕昭王弔死問生, 卑辭厚幣以招賢者.
問郭隗曰: “齊因孤之國亂而襲破燕, 孤極知燕小不足以報. 誠得賢士與共國, 以雪先王之恥. 孤之願也. 先生視可者, 得身事之.”
隗曰: “古之君, 有以千金使涓人求千里馬者, 買死馬骨五百金而返, 君怒. 涓人曰: ‘死馬且買之, 況生者乎? 馬今至矣.’ 不期年, 千里馬至者三. 今王必欲致士, 先從隗始. 況賢於隗者, 豈遠千里哉?” 於是昭王爲隗改築宮, 師事之, 於是士爭趨燕.
樂毅自魏往, 以爲亞卿, 任國政. 已而使毅伐齊, 入臨淄, 齊王出走. 毅乘勝, 六月之間, 下齊七十餘城, 惟莒ㆍ卽墨不下. 『십팔사략(十八史略)』
燕昭王收破燕後卽位, 卑身厚幣, 以招賢者. 欲將以報讎, 故往見郭隗先生曰: “齊因孤國之亂, 而襲破燕, 孤極知燕小力少, 不足以報. 然得賢士與共國, 以雪先王之耻, 孤之願也. 敢問以國報讎者奈何?”
郭隗先生對曰: “帝者與師處, 王者與友處, 霸者與臣處, 亡國與役處. 詘指而事之, 北面而受學, 則百己者至; 先趨而後息, 先問而後嘿, 則什己者至; 人趨己趨, 則若己者至; 馮几據杖, 眄視指使, 則厮役之人至; 若恣睢奮擊, 呴藉叱咄, 則徒隸之人至矣. 此古服道致士之法也. 王誠博選國中之賢者, 而朝其門下, 天下聞王朝其賢臣, 天下之士, 必趨於燕矣. 昭王曰:“寡人將誰朝而可?”
郭隗先生曰: “臣聞古之君人, 有以千金求千里馬者, 三年不能得, 涓人言於君曰: ‘請求之.’ 君遣之. 三月得千里馬, 馬已死, 買其首五百金, 反以報君. 君大怒曰: ‘所求者生馬, 安事死馬而捐五百金?’ 涓人對曰: ‘死馬且買之五百金, 況生馬乎? 天下必以王爲能市馬, 馬今至矣.’ 於是不能期年, 千里之馬至者三. 今王誠欲致士, 先從隗始; 隗且見事, 況賢於隗者乎? 豈遠千里哉!”
於是昭王爲隗築宮而師之. 樂毅自魏往, 鄒衍自齊往, 劇辛自趙往, 士爭湊燕. 燕王弔死問生, 與百姓同其甘苦. 二十八年, 燕國殷富, 士卒樂佚輕戰, 於是遂以樂毅爲上將軍, 與秦ㆍ楚ㆍ三晉合謀以伐齊, 齊兵敗, 閔王出走於外. 燕兵獨追北, 入至臨淄, 盡取齊寶, 燒其宮室宗廟. 齊城之不下者, 唯獨莒ㆍ卽墨.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
전국시대 연(燕)나라 소왕(昭王)은 안으로는 내분으로 혼란스럽고, 밖으로는 제(齊)나라에 많은 영토를 빼앗겨 국력이 약해진 상태에서 왕위에 올랐다.
소왕은 재상 곽외에게 실지 회복에 필요한 인재 등용 방책을 물었다. 곽외가 대답했다. “옛날에 어떤 왕이 천 금으로 천리마를 구하려고 하였으나 3년 동안이나 구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러자 하급 관리 하나가 천리마를 구해 오겠다고 했습니다. 왕은 그에게 말을 사 오라고 보냈습니다. 그는 석 달 뒤에 천리마가 있는 곳을 알아냈으나 천리마는 이미 죽고 없었습니다. 그는 죽은 말의 뼈를 오백 금을 주고 사 왔습니다. 왕은 대로해 말했습니다. ‘산 말을 사 오라고 했더니 죽은 말을 오백 금이나 주고 사다니.’ 관리가 대답했습니다. ‘죽은 말의 뼈를 오백 금이나 주고 샀으니 천리마를 가진 자들이 몰려들 것입니다.’ 과연 1년도 지나지 않아 천리마가 세 필이나 이르렀다고 합니다. 이제 왕께서 선비들을 모으려 하신다면 먼저 이 외(隗)부터 시작하십시오. 제가 대우를 받는 것을 보면 저보다 현명한 사람들이 천 리를 멀다 하지 않고 몰려올 것입니다.” 소왕은 새로 궁실을 짓고 곽외를 스승으로 모셨다.
소왕은 제자의 예로써 곽외를 섬기고, 친히 대청에 꿇어앉아 가르침을 받고, 식사 때면 손수 곽외에게 밥상을 갖다 바치고 아침저녁으로 문안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소왕은 역수(易水)가에다 높은 대를 세우고 그 위에 많은 황금을 쌓아 두었다. 곧, 천하의 어진 인물을 구하기 위해서라면 그 황금을 아끼지 않겠다는 뜻이었다. 그래서 그 대를 초현대(招賢臺), 혹은 황금대(黃金臺)라고 한다.
소왕이 어진 선비를 구한다는 소문은 천하에 두루 퍼졌다. 위(魏)나라에서는 명장 악의(樂毅)가, 조(趙)나라에서 극신(劇辛)이, 주(周)나라에서는 소대(蘇代)가, 제(齊)나라에서는 추연(鄒衍)이 오는 등, 천하의 선비들이 연나라로 속속 모여들었다. 소왕은 이들의 힘을 빌려 국가를 부강하게 만든 다음, 악의를 상장군으로 삼고, 진(秦)나라 초(楚)나라 삼진(三晉)과 연합하여 제나라를 쳐 즉묵(卽墨)을 제외한 70여 개 성을 함락시키고 지난날의 원한을 설욕했다.
겉뜻: 먼저 곽외로부터 시작하다.
속뜻: 일을 시작하려면 가까운 곳에서부터 착수해야 함. 큰일을 이루려면 먼저 작은 일부터 시작하여야 함.
유의어: 선종자시(先從自始), 매사마골(買死馬骨), 등고자비(登高自卑), 천리지행시어족하(千里之行始於足下)
인용
'한문놀이터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일지십(聞一知十) - 지혜롭고 총명하다 (0) | 2020.08.05 |
---|---|
남귤북지(南橘北枳) - 환경의 중요성 (0) | 2020.08.05 |
일자천금(一字千金) - 가치가 있는 글 (0) | 2020.08.04 |
두주불사(斗酒不辭) - 주량이 매우 세다 (0) | 2020.08.04 |
과하지욕(袴下之辱) - 큰 뜻을 이루기 위해 작은 치욕을 견뎌내다 (0) | 2020.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