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귤북지(南橘北枳)
환경의 중요성
晏子將使楚, 楚王聞之, 謂左右曰: “晏嬰, 齊之習辭者也. 今方來, 吾欲辱之, 何以也?”
左右對曰: “爲其來也, 臣請縛一人, 過王而行, 王曰: ‘何爲者也?’ 對曰: ‘齊人也.’ 王曰: ‘何坐?’ 曰: ‘坐盜.’”
晏子至, 楚王賜晏子酒, 酒酣, 吏二縛一人詣王. 王曰: “縛者曷爲者也?” 對曰: “齊人也, 坐盜.”
王視晏子曰: “齊人固善盜乎?”
晏子避席對曰: “聞之 橘生淮南則爲橘, 生于淮北則爲枳, 葉徒相似, 其實味不同. 所以然者何? 水土異也, 今民生長于齊, 不盜, 入楚則盜, 得無楚之水土, 使民善盜耶?”
王笑曰: “聖人非所與熙也, 寡人反取病焉.” 『안자춘추(晏子春秋)』 「내편(內篇)」 잡하(雜下)
춘추시대 말기, 제(齊)나라에 안영(晏嬰)이란 유명한 재상이 있었다.
어느 해, 초(楚)나라 영왕(靈王)이 그를 초청했다. 안영이 너무 유명하니까 만나보고 싶은 욕망과 코를 납작하게 만들고 싶은 심술이 작용한 것이다. 수인사가 끝난 후 영왕이 입을 열었다.
초영왕: 제(齊)나라에는 그렇게도 사람이 없소?
안영: 사람이야 많이 있지요.”
초영왕: (안영이 키가 작은 걸 비웃듯) 그렇다면 경과 같은 사람밖에 사신으로 보낼 수 없소?”
안영: 예, 저의 나라에선 사신을 보낼 때 상대방 나라에 맞게 사람을 골라 보내는 관례가 있습니다. 작은 나라에는 작은 사람을, 큰 나라에는 큰 사람을 보내는데 신(臣)은 그 중에서도 가장 작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뽑혀서 초나라로 왔습니다.
초영왕: (마침 포박되어 지나가는 죄인을 보며) 여봐라! 그 죄인은 어느 나라 사람이냐?
관리: 예, 제(齊)나라 사람이온데, 절도 죄인입니다.
초영왕: (안영을 모욕주려) 제나라 사람은 원래 도둑질을 잘 하오?
안영: (태연하게) 강남에 귤(橘)이 있는데 그것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枳]가 되고 마는 것은 토질 때문입니다. 제(齊)나라 사람이 제(齊)나라에 있을 때는 원래 도둑질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자랐는데 그가 초(楚)나라에 와서 도둑질한 것을 보면, 역시 초나라의 풍토 때문인 줄 압니다.
초영왕: (안영의 기지와 패기에 놀라며) 애당초 선생을 욕보일 생각이었는데 결과는 과인이 욕을 당하게 되었구려.”
크게 잔치를 벌여 안영을 환대하는 한편 다시는 제나라를 넘볼 생각을 못했다.
겉뜻: 남쪽의 귤과 북쪽의 탱자.
속뜻: 남쪽에 심으면 귤이 되지만 북쪽에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사람은 환경에 따라 바뀐다는 뜻이다.
유의어: 귤화위지(橘化爲枳), 마중지봉(麻中之蓬)
인용
'한문놀이터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묘항현령(猫項懸鈴) - 실행될 수 없는 탁상공론 (0) | 2020.08.05 |
---|---|
문일지십(聞一知十) - 지혜롭고 총명하다 (0) | 2020.08.05 |
선종외시(先從隗始) - 가깝고 지근한 일부터 시작하라 (1) | 2020.08.05 |
일자천금(一字千金) - 가치가 있는 글 (0) | 2020.08.04 |
두주불사(斗酒不辭) - 주량이 매우 세다 (0) | 2020.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