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도마복음한글역주, 제11장 - 하나와 둘 본문

고전/성경

도마복음한글역주, 제11장 - 하나와 둘

건방진방랑자 2023. 3. 20. 10:13
728x90
반응형

 하나와 둘

구원을 얻었다고 하자! 과연 너는 무엇을 할 것인가?

 

 

어둠만을 강조하고 그것에 반사적으로 빛을 제시하는 것은 하나의 기만일 수가 있다. 빛은 어디에나 있다. 그것은 발견의 문제일 뿐이다. 우리 인생의 문제는 빛 속에 거하게 될 때 과연 우리가 무엇을 할 것이냐에 있다. 구원 그 자체는 의미가 없다. 구원을 얻었을 때 인간은 무엇을 할 것인가? 불교의 해탈도 그것이 하나의 실체로 이해되면 기만적 궁극주의에 불과한 것이다.

 

 

11

1예수께서 가라사대, “이 하늘도 사라지리라. 그리고 이 하늘 위에 있는 저 하늘도 사라지리라. 2죽은 자들은 살아있지 아니 하다. 그리고 살아있는 자들은 죽지 아니 하리라. 3너희가 죽은 것을 먹던 그 날에는 너희는 죽은 것을 살아있는 것으로 만들었도다. 너희가 빛 속에 거하게 되었을 때는 과연 너희는 무엇을 할 것이냐? 4너희가 하나였던 바로 그 날에 너희는 둘이 되었도다. 그러나 너희가 둘이 되었을 때 과연 너희는 무엇을 할 것이냐?”

1Jesus said, “This heaven will pass away, and the one above it will pass away. 2The dead are not alive, and the living will not die. 3In the days when you ate what is dead, you made it alive. When you come to dwell in the light, what will you do? 4On the day when you were one you became two. But when you become two, what will you do?”

 

 

도마복음에서 예수가 말하고 있는 인간은 항상 살아있는 인간이다. 이미 서장에서 예수는 살아있는 예수로서 전제되었고, ‘살아있는 예수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인간은 살아있는 인간일 수밖에 없다. 살아있는 인간은 생명적 인간이다. 죽은 인간이 아니다. 생명적 인간은 모든 고정적 실체를 거부한다. 삶이라는 것, 진리라는 것을 삶의 과정으로서 파악한다. 도마는 하늘을 고정적으로 파악하고, 그 하늘에 천국이라는 고정적 의미를 부여하는 사유를 여지없이 분쇄시킨다.

 

 

저 태양은 매일 새로워진다.

The sun is new each day (Fr.6).

 

 

이것은 헤라클레이토스의 말이다. 그는 또 말한다.

 

 

누구에게나 똑같이 향유되는 이 질서정연한 우주(코스모스)는 하나의 신이나 하나의 사람에 의하여 창조된 것일 수 없다. 그것은 과거에도 그랬고 현재도 그러하고 미래에도 그러할 영원히 살아있는 불이다. 일정 양만큼 켜지고 일정 양만큼 꺼진다(Fr.30).

 

 

이러한 헤라클레이토스적 사유는 헬레니즘세계에도 팽배해있던 사유였다. 도마의 하늘도 사라진다라는 말을 공관복음서는 하늘이 사라져도 내 말은 사라지지 아니 한다’(13:31)라는 내 말의 불변성으로 활용했다. 그러나 도마는 그런 맥락에서 그 말을 사용치 않았다. ‘살아있는 자들은 죽지 아니 하리라.’ 과연 살아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3절은 매우 난해하다. 그러나 독자들은 여기서 도마복음 제7의 메타포를 연상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복되도다 사자여! 사람이 그대를 먹어삼키기에 그대는 사람이 되는도다.” 사자는 내 몸속에 내재하는 욕정(欲情)이었다. 인간의 욕정은 인간을 죽음으로 몰아간다. 내가 나의 욕정을 온전히 제어할 수 없다는 맥락에서 그것은 항상 나로부터 객화(客化)된다. 그 욕정(Id)은 나(Ego)에게 사자처럼 덮친다. 그 덮치는 사자에게 내가 삼킴을 당하면 나는 죽음의 나락으로 떨어진다. 그러나 그 덮치는 사자를 내가 삼켜 먹으면, 나도 구원을 얻고 그 사자도 구원을 얻는다. 그 사자가 바로 사람이 되는 것이다. 건강한 나의 일부로서 갱생의 길을 걷는 것이다. 덮치는 사자를 삼켜라!

 

네가 죽은 것을 먹던 그 날에는 너는 죽은 것을 살아있는 것으로 만들었도다라는 제3절의 메시지는 이러한 맥락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먹는 것도 대부분 죽은 것이다. 채소도 뿌리가 잘리는 순간 이미 죽은 것이고, 고기도 다 죽은 것을 먹는다. 그러나 그것을 우리가 잘 먹었을 때는 그것은 죽은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나의 몸, 즉 생명의 일부가 되는 것이다. 온전하게 살아있는 인간은 끊임없이 죽은 것을 먹으면서 그 죽음을 삶으로 전환시키는 인간이다. 식생활에서뿐만 아니라 정신생활에 있어서도 욕망과 같은 파멸적인 죽음의 요소를 삼킴으로써 그 죽음을 생명으로 만들어버린다. 이렇게 끊임없이 살아있는 자들이야말로 죽지 아니 하리라고 제2절에서 말한 것이다.

 

 

() 이 설계도에서 번이 대회랑, 번이 쿠푸왕 현실(King's Chamber).

(아래) 이것이 바로 쿠푸왕의 현실이다. 넓이가 5m, 길이가 10m, 천정이 400톤짜리 거석 9장으로 마감되어 있는 단촐하지만 웅장한 느낌을 주는 방이다. 쿠푸왕의 석관이 놓여 있다. 알렉산더 대왕도 이 방에서 하루를 잤다고 하고, 나폴레옹도 이 방에서 하루를 잤다고 한다. 나폴레옹이 잔 다음날 아침 그곳에서 나온 그의 얼굴이 너무도 창백하여 부하들이 걱정되어 무슨 일이 있었냐고 물었다: “절대로 말할 수 없어!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아무도 믿지 않을 거야!” 결국 나폴레옹은 그 비밀을 무덤까지 가지고 갔다.

 

 

그 다음에 빛 속에 거하게 되었을 때라는 말이 갑자기 나온다. 왜 그럴까? 그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은 항상 어둠과 대비되어 나타난다. 어둠은 죽음, 빛은 생명이다. 이것은 후대 요한복음의 기저를 이루는 생각이다. 요한복음이 도마복음보다는 훨씬 더 영지주의적이다. 도마는 그렇게 빛과 어둠의 이원성을 강하게 대비시키지 않는다.

 

죽음을 생명으로 전환시키는 살아있는 인간은 당연히 빛에 거하게 된다. 그러나 인간이 어둠의 세상에 있다는 사실만을 강조하고 그 사실에 대하여 대비적으로 을 이야기하는 것은 일종의 공갈이나 협박의 한 형태에 불과하다. 빛을 보라! 어둠의 동굴 속에선 물론 빛 한 줄기만으로도 그 가치는 엄청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은 동굴 속에서 사는 것이 아니라 빛 속에서, 세상에서 산다. 그때 빛이란 너무도 흔한 것이다. 영생을 얻으리라, 생명을 얻으리라는 것은 일종의 클리쉐(cliché: 진부한 문구)에 불과하다. 도마의 문제의식은 빛을 발견하리라’, ‘빛을 얻으리라가 아니다. ‘빛 속에 네가 일상적으로 거하게 되었을 때 과연 너는 무엇을 할 것이냐?’ 정말 충격적인 말이다. 도마의 비판은 동일한 문명권의 한 사유체계인 불교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일체개고(一切皆苦)’만을 강조하고, 거기에 대한 반사적 효과로서 멸집(滅執)의 해탈을 운운하는 것, 그 자체가 일종의 기만이나 협박일 수도 있다. 해탈을 해서 무엇 하겠다는 거냐? 네가 열반을 얻었느냐? 열반해서 도대체 무엇 하겠다는 것이냐? 해탈의 사실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해탈한 인간으로서 과연 너는 무엇을 할 것이냐? ‘과연 너는 무엇을 할 것이냐라는 예수의 질문은 두 번 반복된다. 그 질문은 독자의 사적 공간을 파괴하고 독자의 실존 속으로 직입(直入)하고 있는 것이다.

 

노자(老子)도생일, 일생이(道生一, 一生二)’를 말한다. 유대문학전통에서 하나가 둘이 된다는 것은 자웅동체였던 아담의 갈빗대가 분열되어 이브가 된 것을 말한다(2:21~24). 하나였던 그 순간에 너는 둘이 되었다. ·여가 구비된 현실적 인간으로 화한 것이다. ‘은 원초적 융합의 상징일 수도 있다. 그것은 하나됨을 상징한다. 그러나 하나되는 순간에 우리는 바로 둘이 된다. 즉 분별 속에서 살아가지 아니할 수 없는 것이다. 즉 이 세상에서, 저 하늘 아래, 이 땅위에서 살아가는 인간이 된 것이다. 그러나 예수는 또다시 묻는다: “둘이 되었을 때 과연 너는 무엇을 할 것이냐?”

 

인생의 과제는 오늘 여기 이 땅위에서 네가 무엇을 하느냐에 달려있다. 궁극적인 어떤 구원, 해탈, 열반, 천국의 실체화는 허망한 기만에 불과할 수가 있다. 하나님과도 같은, 궁극적인 어떤 실체가 인생의 목표라는 모든 생각을 도마는 여지없이 무산시켜버리고 만다. 역사적 예수는 과연 어떤 사람이었을까? 숙고해보고 또 숙고해보지 않을 수 없다.

 

 

예루살렘의 딸들아 나를 위하여 울지 말고 너희와 너희 자녀를 위하여 울라”(23:28). 십자가를 지고 가는 예수를 위하여 통곡하는 여인들을 향해 외친 예수의 말이다. 바로 이 말씀이 발설된 예루살렘 골고다 언덕의 비탄의 길(Via Dolorosa)’ 8 지점에서 한 성직자가 여인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있다.

마가 9:34에 보면 제자들끼리 누가 가장 크냐고 쟁론하는 모습이 암시되고 있다. 이후에 과연 누가 지도자가 될 것인가에 관한 논쟁은 4복음서에 나타나지 않는다. 이 논쟁은 도마복음에 유니크한 것이다. 예수의 사후 예루살렘교단을 리드한 야고보의 존재는 초대교회사에서 거의 확실한 사실이다. 독자들은 야고보서를 꼭 한번 읽어주기 바란다. 편지 내용에 유대인 정통주의의 냄새가 없고 탁월하게 아름다운 희랍어가 구사되고 이기 때문에 예수의 동생 야고보의 저작성은 의심되고 있으나, 만약 야고보의 저자성을 인정한다면 그의 설교문들을 누가 편지형식으로 편집한 내용일 것이다. 바울과는 아주 스타일이 다른 지혜의 신학을 말하며, 빈궁한 자들에 대한 깊은 배려가 있다. 매우 점잖고 상식적이며 우리가 의롭게 되는 것은 의롭게 행동하는 것을 통하여 성취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행동 없는 믿음은 죽은 믿음이라는 것이 야고보서는 주요 주제이다. 야고보는 말한다: “아무것도 주지 않으면서 평안히 가서 몸을 따뜻하게 녹이고 배부르게 먹어라하고 말만 한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인용

목차

본문

성경

주제상관도표

기독교성서의 이해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