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금강경 강해, ‘금강’의 의미? - 1. 콘체가 다이아몬드로 번역한 이유 본문

고전/불경

금강경 강해, ‘금강’의 의미? - 1. 콘체가 다이아몬드로 번역한 이유

건방진방랑자 2022. 6. 16. 19:57
728x90
반응형

금강의 의미?

 

 

1. 콘체가 다이아몬드로 번역한 이유

 

 

20세기 구미(歐美) 반야경전학의 최고 권위라 할 수 있는 에드워드 콘체(Edward Conze, 1904~1979, 영국에서 출생한 독일인. 맑시즘과 부디즘의 대가)금강경‘The Diamond Sutra’로 번역하였다. 그래서 사람들이 금강(金剛)’다이아몬드"를 일치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엄밀히 말하면, 이것은 오역(誤譯)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물론 콘체 선생이 이것이 오역인 것을 모르고 그렇게 번역하신 것은 아니다.

 

우리가 흔히 다이아몬드라고 부르는 광물이 오늘날과 같이 우리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보편적인 보석으로서 자리잡게 된 것은 대강 19세기 중엽 이후, 1867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오렌지강() 상류지역에서 대량의 다이아몬드가 발견되고부터의 일이다. 그리고 오늘날과 같이 휘광(輝光, Brilliancy), 분산(分散, Dispersion), 섬광(閃光, Scintillation) 등의 전문용어로 불리우는 다이아몬드보석의 찬란함을 느끼게 해주는 것은, 들어간 빛이 하부로 새지 않고 상면으로 다시 나오게 고안된 58면의 브릴리언트 커트(Brilliant Cut)라고 하는 특수 연마방식이 개발된 후의 사건이므로, 그것도 17세기 말 이상을 거슬러 올라갈 수가 없다. 다시 말해서 그 이전에는 원석의 형태로만 존재했을 것이고, 그 원석의 아름다움은 오늘 우리가 보석에서 느끼는 그러한 느낌을 발할 수가 없었다.

 

원래 다이아몬드는 성분으로 말하면 흑연(graphite)과 아무런 차이가 없다. 단지 양자에 공통된 성분인 카본(carbon)의 원자가 공유결합하는 방식이 다를 뿐이다. 흑연은 벌집모양의 6면체 평면결합이 중첩되어 있는 방식인데, 다이아몬드는 정삼각형 4개를 합쳐놓은 것과 같은 정삼각 뿔의 정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원자가 등거리의 4개의 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입체적 방식이다. 따라서 흑연이 쉽게 마멸되는 반면, 다이아몬드는 놀라운, 아니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체로서는 가장 강도가 높은, 경성(hardness)을 과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다이아몬드가 형성되는 일차적 조건은 고도의 압력이다. 1955년 제너랄 엘렉트릭에서 1평방인치에 60~150만 파운드의 압력과, 750~2750의 고온의 조건을 만들어 다이아몬드를 합성해내는 데 성공하였고, 오늘날은 약 1억캐럿량()의 인조다이아몬드가 제조되어 공업용으로 쓰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미루어 볼 때, 자연상태에서 킴벌라이트 암석 속에 들어있는 다이아몬드는 최소한 지하 120km 이상의 깊이의 압력의 조건에서 형성된 것이다. 그것이 대개는 화산폭발시에 지상(地上)으로 밀려나와 형성된 1차 광상(礦床, 파이프 광상)이나 2차 광상(충적沖積광상, 표사漂沙광상)에서 채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사실은 이러한 희귀한 광물이 역사적으로 인도(印度)에서만이 채취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오늘날 현존(現存)하는 최고(最古)의 다이아몬드로서 알려진 코이누르(Koh-i-noor)의 역사는 14세기 초로 소급된다. 무굴제국등의 파란만장의 역사를 타고 흘러내려오다가 1849년 영국이 펀잡지방을 병합하면서 획득된 것이다. 그러나 그때만 해도 코이누르는 191캐럿의 분산광택이 없는 투박한 것이었다. 1852년 그것은 109캐럿의 브릴리언트 커트로 다듬어졌고, 1937년 퀸 엘리자베드(엘리자베드 2세의 엄마)의 대관식 왕관에 박히게 되었다. 인도에는 역사적으로 골콘다(Golconda(지방의 퇴적사토(堆積砂土)에서 다이아몬드가 채취되었다. 그러나 서구문헌에 나오는 다이아몬드가 정확하게 이 인도산 다이아몬드를 가리키는 것인지도 확실치 않다. 출애굽기28 18절에, 대사제의 법의(法依)인 에봇에 걸치는 가슴받이에 박히는, 이스라엘 12지파를 상징하는 12개의 보석이야기가 나오는데, 둘째 줄에 박히는 보석이름에 다이아몬드가 들어 있다우리나라 개역판 성경홍마노(紅瑪瑙)’로 번역하였고 금강석(金剛石)’이라 주를 달아 놓았다. 물론 이것도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다이아몬드를 가리키는 것이 아닌, 색깔을 중시하여 선정된 어떤 여타 보석류일 것으로 생각된다.

 

오늘날 우리가 다이아몬드라고 부르는 이름은 ‘adamas’(ἀδάμας)라는, ‘정복할 수 없는 것’(the invincible)이라는 뜻의 희랍어에서 왔다. 하여튼 더이상 없는 강도의 어떤 광물의 존재에 대한 인식이 고대로부터 희미하게 있었던 것은 우리가 상정할 수 있고, 그 근원에는 인도산 다이아몬드가 있었다는 것은 말할 수 있으나, 인류의 고대(古代) 세계에 있어서 다이아몬드가 보편적 개념으로서 자리잡고 있었다는 것은 상정하기 힘들다. 그리고 다이아몬드는 기껏 커봐야 어린애 주먹 이상의 크기는 없고 대강은 아주 좁쌀 같은 작은 것이므로 그것이 어떤 무기나 큰 물체의 이미지로 형상화되기는 어렵다.

 

금강경의 범본제명(梵本題名)‘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인데 금강에 해당되는 말은 바즈라(vajra)’이다. 발절라(伐折羅), 발도라(跋闍羅), 발일라(跋日羅), 벌절라(伐折羅), 부일라(嚩日囉) 등의 음역 표기가 한역불전에 나타난다. 그런데 이 바즈라의 원래 의미는 벼락(thunderbolt)’이다. 벼락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대기 중에 음전하체와 양전하체 사이에 방전이 생겨 발생한 막대한 에너지가 절연파괴(絶緣破壞, dielectric breakdown: 과도한 전압에 의하여 절연체가 전기를 전함) 현상에 의하여 대기를 타고 땅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 바즈라의 일차적 의미는 쩨디까’(cchedikā) , ‘능단(能斷)’(자른다)이다. 사실 금강경의 올바른 번역은 벼락경벽력경(霹靂經)이 되었어야 하는 것이다. 청천벽력처럼 내려치는 지혜! 그 지혜는 인간의 모든 집착과 무지를 번개처럼 단칼에 내려 자르는 지혜인 것이다. 인도인들의 신화적 상상력 속에서는 벼락은 인드라신이 휘두르는 원판모양의, 혹은 엑스자모양(X)의 어떤 무기와도 같은 것이었다.

 

사실 콘체가 금강다이아몬드로 번역한 것은, ‘다이아몬드의 현실적 기능이 그 최고도의 경성으로 인하여, 여타의 모든 물체를 자를 수 있다고 하는 이미지, 여타 석물은 다이아몬드를 자를 수 없어도, 다이아몬드는 여타 석물을 자를 수 있다고 하는 성격이 벼락에 상응한다고 하는 전제하에서 그렇게 번역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인용

목차

금강경

반야심경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