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한글역주, 선진 제십일 - 5. 남용이 백규의 시를 여러 번 읊다 본문

고전/논어

논어한글역주, 선진 제십일 - 5. 남용이 백규의 시를 여러 번 읊다

건방진방랑자 2022. 12. 5. 15:54
728x90
반응형

 5. 남용이 백규의 시를 여러 번 읊다

 

 

11-5. 남용이 백규(白圭)라는 시를 하루에도 여러 번 반복해서 외웠다. 그 시가 그 인품에 젖었다. 공자께서 형님의 딸을 그에게 시집보내시었다.
11-5. 南容三復白圭, 孔子以其兄之子妻之.

 

백규라는 시는 지금 시경대아 ()에 들어있다.

 

白圭之玷 백규 옥의 티는
尙可磨也 그래도 갈아 없앨 수 있건만
斯言之玷 일상적 말의 티는
不可爲也 갈아 없앨 수 없어라

 

나라를 어지럽히는 위정자를 계고(戒告)하는 통렬한 비판의 시이다. ‘삼복(三復)’이란 꼭 세 번을 의미하지 않는다. 자주 외워 그 의미가 몸에 배는 것을 말한 다. 5-1B와 동일한 사실에 대한 이전(異傳)이다.

 

 

()’()’는 모두 거성이다. ○ 『시경의 대아(大雅) ()편에 이와 같이 쓰여져 있다: ‘백규 옥의 티는 그래도 갈아 없앨 수 있건만, 일상적 말의 티는 갈아 없앨 수 없어라.’ 남용이 하루에 세 번 이 말을 반복하여 즐겨 실천하려 하였다. 이 사적은 공자가어』 「제자행(弟子行)편에 보인다沃案, 제자행은 제자들의 특색있는 행실을 모아놓는 좋은 자료이다. 대저 말을 삼가는데 깊은 뜻을 둔 사람일 것이다. 그리고 또 나라에 도가 있으면 버려지지 않을 것이요, 나라에 도가 없어도 형벌을 면할 것이다(5-1B)라고 한 것도 같이 고려할 만하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형님의 딸을 그에게 시집보낸 것이다沃案, 그러니까 남용은 공자의 조카사위가 되었다.

, , 並去聲. 詩大雅之篇曰: “白圭之玷, 尙可磨也; 斯言之玷, 不可爲也.” 南容一日三復此言, 事見家語. 蓋深有意於謹言也. 此邦有道所以不廢, 邦無道所以免禍, 故孔子以兄子妻之.

 

범순부가 말하였다: “말이라는 것은 행동의 표면이요, 행동이라는 것은 말의 열매이다. 말을 쉽게 함부로 하면서 행동이 근엄한 자는 있어본 적이 없다. 남용이 말을 이와 같이 삼가려고 한다면 반드시 그 행동을 근엄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范氏曰: “言者行之表, 行者言之實, 未有易其言而能謹於行者. 南容欲謹其言如此, 則必能謹其行矣.”

 

 

 

 

인용

목차 / 전문

공자 철학 / 제자들

맹자한글역주

효경한글역주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