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2.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나) 성취기준(한자와 어휘) 본문

한문놀이터/한문과 교육과정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2.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나) 성취기준(한자와 어휘)

건방진방랑자 2023. 1. 2. 08:46
728x90
반응형

  

 

. 성취기준

 

 

(1) 한자와 어휘

 

한문()

 

[901-01] 한자의 모양뜻을 구별한다.

[9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

[901-03]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901-04] 단어와 성어를 읽고 풀이한다.

[901-05]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른다.

[901-06]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 성취기준 해설

 

[901-02] 이 성취기준은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이해하여 한자의 모양과 음과 뜻을 익힐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는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으로 나눌 수 있다.

[901-03] 이 성취기준은 단어의 짜임을 이해하여 한자 어휘의 뜻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단어의 짜임은 단어를 형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의 결합 관계를 말한다. 단어의 짜임은 문법적 기능에 따라 주술(主述) 관계, 술목(述目) 관계, 술보(述補) 관계, 수식(修飾) 관계, 병렬(竝列) 관계로 분류할 수 있다. 주술 관계는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주어는 서술어의 진술을 받는 대상이 되고, 서술어는 주어에 대해 진술하는 내용을 나타낸다. 술목 관계는 서술어와 목적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서술어는 동작이나 행위 또는 소유(: , )를 나타내고, 목적어는 그 대상이 된다. 술보 관계는 서술어와 보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서술어는 동작, 행위, 상태 등을 나타내고, 보어는 서술어를 보충하여 부족한 뜻을 완전하게 해 준다. 수식 관계는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병렬 관계는 성분이 같은 말들이 나란히 놓여 이루어진 단어이다.

[901-06] 이 성취기준은 한자 문화권의 문화를 이해하여 공감대를 형성하고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은 한자 문화권이 공유하고 있는 한자를 매개로 형성된 보편적 문화에 대한 지식으로 간지(干支), 절기(節氣) 등이 있다.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한자의 모양뜻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실생활에서 접하는 한자를 알아맞히거나 어휘나 문장을 구성하는 한자의 뜻을 유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지도하되, 디지털 도구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한자 관련 정보를 스스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한자 학습의 흥미와 효과를 높이도록 하되, 학습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한자를 중심으로 지도한다.

단어의 짜임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흥미를 잃지 않도록 문법적인 내용에 지나치게 치중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한자 어휘의 조어(造語) 방법을 이해하고 단어와 성어의 풀이, 한문 독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단어를 읽고 풀이하기 위해서는 단어에 사용된 한자의 뜻, 단어의 짜임 등을 고려하도록 지도한다. 또한 성어를 읽고 풀이하기 위해서는 성어에 사용된 한자의 뜻, 유래 등을 고려하도록 지도한다.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는 단순한 암기보다는 그 지시적문맥적비유적 의미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에 중점을 두어 지도한다. 또한 단어와 성어는 그림이나 사진, 신문, 방송 등 실생활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알고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는 한자를 매개로 형성된 고전적보편적 문화를 중심으로 지도한다.

 

 

한문()

 

[12한문01-01] 한자의 모양뜻을 구별한다.

[12한문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

[12한문01-03]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12한문01-04] 실사와 허사를 구별한다.

[12한문01-05] 단어와 성어를 읽고 풀이한다.

[12한문01-06]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른다.

[12한문01-07] 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삶의 다양한 태도와 가치를 탐색한다.

[12한문01-08]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 성취기준 해설

 

[12한문01-04] 이 성취기준은 기본 품사를 이해하여 실사와 허사의 차이를 구별하고 단어, 성어, 문장의 풀이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품사에는 단독으로 어휘적 의미를 가진 실사와 문법적 의미만을 나타내는 허사가 있다. 실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가 있으며, 허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개사, 접속사, 어조사, 감탄사가 있다. 개사(介詞)는 일반적으로 명사나 대명사 등 명사류(名詞類) 앞에 놓여 그 명사류를 서술어와 연결해주면서 처소, 대상, 도구, 시간, 원인, 비교 등의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접속사(接續詞)는 단어와 단어, 어구(語句)와 어구, 문장과 문장 등을 서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단어이고, 어조사(語助詞)는 단어나 어구 또는 문장의 앞, 가운데나 뒤에 와서 문법적인 의미나 어기(語氣) 등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감탄사(感歎詞)는 문장의 밖에 독립적으로 놓여 화자(話者)의 부름, 느낌, 놀람이나 응답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다만 허사의 경우, 같은 품사에 속하는 허사들 간에도 문법적 기능과 의미 차이가 있으므로 각 허사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여 정확하게 문장을 독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어는 문장 속에서 쓰임에 따라 품사가 바뀌고 의미가 달라지기도 한다. 명사는 동사처럼 쓰여 문장에서 그 자체로 서술어가 되기도 하고, 동사 앞에서 부사처럼 쓰이기도 하며, 동사는 명사처럼 쓰이기도 한다. 형용사는 그 뒤에 명사나 대명사 등이 올 때 라고 여기다는 뜻을 갖기도 하며 명사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12한문01-07] 이 성취기준은 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삶의 다양한 태도와 가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성어는 대체로 24자로 이루어진 관용구이다. 옛이야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故事成語)의 경우, 성어가 이루어진 배경이나 속뜻을 학습하면서 등장인물들의 삶의 방식과 태도를 살펴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삶의 다양한 문제 상황에 대해 생각하며, 자신의 태도와 가치를 성찰할 뿐 아니라 타인의 가치를 존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한자의 모양뜻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자전이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데, 한자는 종이 사전 또는 디지털 사전 등을 활용하여 찾을 수 있다. 자원을 교수학습할 때에는 근거가 분명한 한자를 중심으로 지도하되, 자원 자체를 암기하기보다 한자를 이해하는가에 중점을 두도록 한다.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한자 학습의 흥미와 효과를 높이도록 하되 학습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한자를 중심으로 지도한다.

단어의 짜임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단어를 형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의 결합 관계를 학습하여 한자 어휘의 조어(造語) 방법을 이해하고, 단어의 짜임을 이해하여 언어생활과 한문 학습에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둔다.

실사와 허사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허사가 활용된 예문을 제시하며 자연스럽게 허사의 특징을 익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사와 허사의 용어적 정의에 치우치기보다는 실사와 허사의 차이점을 구별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둔다.

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삶의 다양한 태도와 가치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이야기 속 인물들의 문제 해결 방식과 그 결과에 대해 다각적으로 고민하고 성찰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습자들이 간접 경험에서 얻은 지혜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기준과 가치를 정립하여 삶에서 마주하는 문제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알고 한자 문화권에 속한 나라들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국가 간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는, 한문이 고전 문언문으로 한자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던 국제적 표기 수단의 하나였음을 아는 것에서 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지(干支), 성명(姓名), 풍속(風俗), 의식주(衣食住) 관련 생활 문화 등의 지식을 활용하여 한자 문화권에 속한 국가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용

목차 / 지도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1. 성격 및 목표

2.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 내용 체계

. 성취기준

한자와 어휘

문장

한문 고전 읽기

언어생활과 한자

3. 교수·학습 및 평가

. 교수·학습

. 평가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