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삼모사(朝三暮四)
간사한 꾀를 써서 남을 속이다
宋有狙公者, 愛狙, 養之成羣. 能解狙之意, 狙亦得公之心.
損其家口, 充狙之欲. 俄而匱焉, 將限其食. 恐衆狙之不馴於己也, 先誑之曰: “與若茅, 朝三而暮四, 足乎?”
괜찮을까?” 衆狙皆起而怒.
俄而曰: “與若茅, 朝四而暮三, 足乎?” 衆狙皆伏而喜.
物之以能鄙相籠, 皆猶此也, 聖人以智籠羣愚, 亦猶狙公之以智籠衆狙也. 名實不虧, 使其喜怒哉. 『열자(列子)』 「황제(黃帝)」
勞神明爲一而不知其同也, 謂之朝三.
何謂朝三? 狙公賦芧曰: “朝三而暮四.” 衆狙皆怒; 曰: “然則朝四而暮三.” 衆狙皆悅.
名實未虧而喜怒爲用, 亦因是也. 是以聖人和之以是非而休乎天鈞, 是之謂兩行.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
송(宋)나라에 저공(狙公)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 이름이 말해 주듯이 저공은 많은 원숭이를 기르고 있었는데 그는 가족의 양식까지 퍼다 먹일 정도로 원숭이를 좋아했다. 그래서 원숭이들은 저공을 따랐고 마음까지 알았다고 한다.
그런데 워낙 많은 원숭이를 기르다 보니 먹이를 대는 일이 날로 어려워졌다. 그래서 저공은 원숭이에게 나누어 줄 먹이를 줄이기로 했다. 그러나 먹이를 줄이면 원숭이들이 자기를 싫어할 것 같아 그는 우선 원숭이들에게 “너희들에게 나누어 주는 도토리를 앞으로는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朝三暮四]’씩 줄 생각인데 어떠냐?”라고 말하자 원숭이들은 한결같이 화를 내었다. ‘아침에 도토리 세 개로는 배가 고프다’는 불만임을 안 저공은 ‘됐다’ 싶어 이번에는 이렇게 “그럼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朝四暮三]’씩 주마.”라고 말하자 원숭이들은 모두 기뻐했다.
겉뜻: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
속뜻: 당장 눈앞에 나타나는 차이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을 모름. 간사한 꾀를 써서 남을 속인다는 말이다.
유의어: 조사모삼(朝四暮三)
인용
'한문놀이터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인지우(杞人之憂) - 씨잘데기 없는 걱정 (0) | 2020.08.06 |
---|---|
양포지구(楊布之狗) - 겉모습이 변한 것만 보고 속도 변했으리라 오판하다 (0) | 2020.08.06 |
정저지와(井底之蛙) - 식견이 협소하다 (0) | 2020.08.05 |
연목구어(緣木求魚) - 잘못된 방법으로 노력하기에 결과를 이룰 수 없다 (0) | 2020.08.05 |
조장(助長) - 조급함에 서두르다가 일 자체를 망치다 (0) | 2020.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