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향랑요(薌娘謠) - 2. 친부모와 외숙부조차 받아들여주질 않네 본문

한시놀이터/서사한시

향랑요(薌娘謠) - 2. 친부모와 외숙부조차 받아들여주질 않네

건방진방랑자 2021. 8. 18. 05:27
728x90
반응형

2. 친부모와 외숙부조차 받아들여주질 않네

 

舅姑憐娘送娘家 시부모는 향랑을 가엾게 여겨 친정집으로 보내니,
荷衣入門無顔儀 옷가지를 매고 문에 들어섰지만 얼굴을 들지 못하는데
母怒搥床大叱咜 계모는 상을 치고 크게 꾸짖었다.
送汝適人何歸爲 너를 시집보냈는데[각주:1] 어째서 돌아왔느냐?
嗟汝性行必無良 ! 너의 행실이 보나마나 불량했겠지.
吾饒不畜棄歸兒 내 살림이 넉넉하대도 쫓겨난 자식 거둘 순 없다.”
閉門相與犬馬食 계모가 문을 닫았기에 개와 말과 함께 먹으니
父老見制無奈何 아빠는 늙어 눌려 지내 어찌할 수 없었고
爲裝送娘慈母家 행장을 꾸려 향랑을 외가로 보냈네.
母家悲憐迭戚嗟 외가는 슬퍼하고 가련해하며 번갈아가며 근심하고 탄식했다.
爲言汝是農家子 외삼촌이 말씀하셨다. “너는 농가의 자식으로
見棄惟當去從他 버림당했으니 오직 마땅히 떠나 다른 남편을 따르렴.
四鄰皆知汝無罪 온 사람이 모두 네가 무죄인 걸 아니,
胡乃虛老如花容 어찌 꽃 같은 얼굴로 헛되이 늙어가려느냐.”
娘言此言大不祥 향랑이 말했다. “이 말이 매우 온당치 않습니다.
兒來只欲依舅公 제가 온 것은 다만 외삼촌께 의지하고 싶었기 때문이니,
女子有歸不更人 여자는 시집가면 남편을 바꾸질 않고
兒生已與謀兒衷 저는 이미 저의 속마음과 함께 도모했어요.
見逐秪緣數命奇 내버려짐은 단지 운수와 운명의 기이함을 따른 것이니,
之死矢不汚兒躳 죽더라도 맹세컨대 제 몸을 더럽히지 않겠습니다.”
數言不從終怒視 여러 말에도 따르지 않자 마침내 외삼촌은 노려보며
且謂尋常兒女語 또 으레 하는 여자의 말이라 생각해서
要人涓吉迎娘去 사람을 구하고 길일을 택해 맞이하며 향랑을 가게 하였네.
釃酒宰羊列品庶 술을 거르고 양을 잡고서 사람들이 도열하며[각주:2],
門前繫馬靑絲勒 문 앞에 말을 푸른 실 굴레로 메어놓고서
紅盤洗出雙金筯 붉은 쟁반에 씻은 한 쌍 금 젓가락 있었네.
娘心驚疑暗自覷 향랑의 마음 놀라고 의아해서 몰래 스스로 엿보고서
正是諸舅要奪余 바로 이것은 모든 외삼촌들이 요컨대 나의 의지를 빼앗으려는 것이다.
嗟吾薄命等漂漂 ! 나의 박복한 운명 떠돌이와 같구나.
在此終當受汚歟 여기에 있다가는 끝내 모욕을 받겠구나.’

 

 

 

 

 

인용

전문

해설

 

 
  1. 적인(適人): 사서인(士庶人)에게 시집가는 것. 대부(大夫) 이상에게 시집가는 것을 嫁라고 함. 『儀禮』 「喪服」 註 [본문으로]
  2. 품서(品庶): 백성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