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최해 - 기유삼월체관후작(己酉三月褫官後作) 본문

한시놀이터/삼국&고려

최해 - 기유삼월체관후작(己酉三月褫官後作)

건방진방랑자 2019. 1. 20. 08:42
728x90
반응형

체직한 후에

체직후(遆職後)

&

기유 삼월 체직한 후에 짓다

기유삼월체관후작(己酉三月褫官後作)

 

최해(崔瀣)

 

塞翁雖失馬 莊叟詎知魚

변방 늙은이 비록 말을 잃었다 해도 장자인들 어찌 물고기를 알리오[각주:1].

倚伏人如問 當須質子虛

화복[각주:2]에 대해 사람이 묻는다면 마땅히 자허[각주:3]에게 질정하라고 하라. 東文選卷之十九

 

 

 

 

 

인용

작가 이력 및 작품

소화시평

이해와 감상

 

 

  1. 지어(知魚): 장자(莊子)가 혜자(惠子)와 함께 호양(濠梁)에서 고기가 노는 것을 보다가 "피라미[鯈魚]가 조용히 나와 노니 이것은 고기의 樂이로다." 말했다. 혜자가 "자네가 고기가 아닌데 어찌 고기의 낙을 아는가."라고 말하자 장자는 "자네는 내가 아닌데 내가 고기의 낙을 아는지 모르는지를 어찌 아는가."라고 대답함. 『장자(莊子)』 [본문으로]
  2. 의복(倚伏): 화와 복이 서로 인연이 되어 생기고 없어지는 것. 『老子』 58장에 "화는 복이 의지해 있는 곳이고, 복은 화가 숨어 있는 곳이다."라고 함. [본문으로]
  3. 자허(子虛): 가공의 인물이다.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자허부(子虛賦)」는 자허와 무시공(亡是公)과 오유선생(烏有先生) 세 사람의 문답으로 되었는데, "헛 것[子虛]이 이런 것이 없다[亡是公]. 어디 있었으냐[烏有]."라는 뜻이다.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