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자로 - 23. 군자와 소인의 화(和)와 동(同) 본문

고전/논어

논어 자로 - 23. 군자와 소인의 화(和)와 동(同)

건방진방랑자 2021. 10. 12. 18:33
728x90
반응형

23. 군자와 소인의 화()와 동()

 

 

子曰: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和者, 無乖戾之心. 同者, 有阿比之意.

氏曰: “君子尙義, 故有不同. 小人尙利, 安得而和?”

 

 

 

 

 

 

해석

子曰: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공자께서 군자는 화합하되 동화되지 않으며, 소인은 동화되려 하되 화합하진 못한다.”라고 말씀하셨다.

和者, 無乖戾之心.

()라는 것은 어긋남이 없는 마음이다.

 

同者, 有阿比之意.

()은 아첨하고 아양 떨려는 뜻이다.

 

氏曰: “君子尙義, 故有不同.

윤순(尹淳)이 말했다. “군자는 의를 숭상하기에 때문에 동화하진 않는다.

 

小人尙利, 安得而和?”

소인은 이익을 숭상하니 어찌 화합할 수 있겠는가?”

 

북송 때 사마광(司馬光)과 범진(范鎭)은 출처(出處)와 영욕(榮辱)을 함께했지만 악률(樂律)을 논할 때는 끝내 의견을 달리 했다. 범중엄(范仲淹)과 한기(韓琦)는 조정회의 때 굳이 의견을 같이하지 않았으되 어전에서 물러나면 서로 얼굴을 붉히지 않았다. 조선의 김집(金集)은 그들의 고사를 예시하면서 군자(君子)가 정치 현안을 다룰 때는 서로 맞지 않는다고 해서 불평해서는 안 되며 화이부동(和而不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화이부동(和而不同)논어’ ‘자로(子路)’에서 공자가 군자(君子)의 화()와 소인(小人)의 동()을 엄밀하게 구분할 때 한 말이다. ()는 각자 지니는 특성을 하나로 융합하는 일, ()은 남과 같은 척 꾸미는 일이다. 화이부동(和而不同)이란 도리(道理)에 순응하면 화합하지만 불합리한 일에는 부화뇌동(附和雷同)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동이불화(同而不和)는 기호(嗜好)만 같아서 각자 이익을 다투는 것을 말한다.

춘추좌씨전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안자(晏子)가 천대(遄臺)에서 제()나라 제후를 모시고 있을 때 자유(子猶), 즉 양구거(梁丘據)가 달려오자 제후는 양구거와 나는 화()한다고 했다. 하지만 안자는 두 사람이 화()가 아니라 동()이라고 지적했다. 안자에 따르면 화()는 맛있는 국물과도 같다. 생선이나 고기를 삶을 때 물과 불을 잘 맞추고 초 젓갈 소금 매실 같은 양념을 갖추어 조리사는 부족한 것이 있으면 더하고 지나치면 줄여서 요리하므로 군자는 이런 음식을 먹고 마음이 화평할 수 있다.

하지만 양구거는 군주가 옳다고 하면 자기도 옳다고 하고 군주가 그르다고 하면 자기도 그르다고 하였으므로 마치 물에 물을 보태는 것과 같고 마치 조화 없이 일률적으로 거문고를 켜는 소리와 같았을 따름이었다. ()이란 참 조화가 아니다. 우리는 화()와 동()을 분명히 변별해야만 한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

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

출처: https://sakang.tistory.com/9 [🦘 40대 캥거루족: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