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어휘사전 - 291. 집 본문

어휘놀이터/어휘사전

어휘사전 - 291. 집

건방진방랑자 2020. 5. 31. 16:48
728x90
반응형

291.

 

 

집간(執簡)

간책(簡冊)을 잡는다는 뜻으로, 사관(史官)이나 어사(御史)의 직책을 맡은 사람을 가리킨다.

 

집고록(集古錄)

송 나라 구양수(歐陽修)의 찬으로 총 10. 내용은 금석문(金石文)을 집록하고 고증ㆍ해설한 것임,

 

집고사(集古辭)

자기의 글을 새로 짓지 아니하고 옛사람의 글귀를 따 모아서 그 때의 사실에 적합하도록 연결하여 한 편()의 문장을 만든 것이다.

 

집구(集句)

자기가 지은 시()가 아니고 여러 시인의 작품에서 한 구()씩 떼어 모아서 적당하게 맞추어 만든 것이다.

 

집구시(縶駒詩)

시경(詩經)소아(小雅) 백구(白駒)을 말한 것으로 여기서는 다만 가려는 자를 못 가도록 붙든다는 뜻만을 취한 것이다.

 

집금오(執金吾)

관명(官名). 천자(天子)의 호위병을 말한다. 후한서(後漢書)』 「음황후기(陰皇后紀)벼슬을 하려면 마땅히 집금오가 되어야 하고, 장가는 마땅히 음여화에게 들어야 한다[仕官當作執金吾 娶妻當得陰麗華].”라는 말이 있으며, () 나라 왕한(王翰)의 시 고장성음(古長城吟)’장안의 소년들 원대한 계획 없이, 그저 평생 바라나니 오직 집금오[長安少年無遠圖 一生惟羨執金吾].”라는 구절이 있다. 집금오(執金吾)는 천자가 순행(巡行)할 때 앞에서 인도하며 비상 사태에 대처하고, 평상시에는 장안을 순찰하는 책임을 맡은 관직 이름인데, 구리에 금을 입힌 금오(金吾)라는 곤봉을 손에 들었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 한다.

 

집낭작유(集囊作帷)

옛날 주 나라의 명왕(明王)들은 신하의 상서 주머니를 모아 대궐의 휘장을 삼았다 한다. 한서(漢書)』 「동방삭전(東方朔傳)

 

집법(執法)

법령 집행(法令執行)을 관장한다는 별 이른다.

 

집불(執紼)

장송(葬送)할 때 절친한 조객(弔客)들이 상여나 관에 끈을 달아 끄는 것을 말한다.

 

집서세(執徐歲)

집서(執徐)는 고간지(古干支)로서 십이지(十二支)의 진()에 해당하므로 곧 진년(辰年)을 가리킨다.

 

집양(執壤)

토산물(土産物)을 천자에게 조공(朝貢)하는 일. 서경(書經)』 「강왕지고(康王之誥)감히 토산물을 가져다 바치옵니다[敢執壤奠].” 한 데서 온 말이다.

 

집우이(執牛耳)

옛날 제후(諸侯)가 회맹(會盟)을 할 때, 이를 주도하는 영수(領袖)가 소의 귀를 잡고(執牛耳) 그 피를 내어 맹세를 했던 고사가 있다. 좌전(左傳)哀公 17

 

집의(集義)

행사가 모두 도의에 맞음. 이 말은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 “是集義所生者非義襲而取之也라 보이는데, 그 주에는, “集義 猶言積善 蓋欲事事皆合於義也라 했다.

 

집이(執耳)

집우이(執牛耳)의 준말로, 회맹(會盟)할 때 소의 귀를 잡고 피를 받아 삽혈(歃血)하는 등 맹주(盟主)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집재(執災)

지방 수령이 농사의 풍흉(豊兇)을 알아보기 위해 아전을 관내 들에 보내 재상(災傷) 입은 전답의 결수(結數)를 조사하는 일. / 인용: 題深院(조신)

 

집중우훈(執中虞訓)

서경(書經)에 순() 임금이 우()에게 인심은 위태롭고 도심은 가늘다. 정하고 전일하여야 진실로 그 중을 잡으리라[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 하였다. 서경(書經)』 「대우모(大禹謨),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

 

집집(揖揖)

많이 모여 있는 모양이다

 

집집(湒湒)

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모양, 비 내리는 소리, 뿔이 나 있는 모양이다

 

집파하이위의(緝破荷而爲衣)

찢어진 연잎을 모아 옷 만들다. 굴원(屈原)의 이소(離騷)에서 나온 말로 그의 고결(高潔)함을 나타낸 말이다.

 

집편(執鞭)

말 모는 사람. 너무도 사모한 나머지 아무리 천한 일이라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안자(晏子)가 지금 살아 있다면 그의 마부가 되어 말채찍을 잡는 일이라도 흔쾌히 할 것이다[假令晏子而在 余雖爲之執鞭 所忻慕焉].”사마천(司馬遷)의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사기(史記)』 「관안열전(管晏列傳)

 

 

인용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어휘놀이터 > 어휘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휘사전 - 293. 차  (0) 2020.05.31
어휘사전 - 292. 징  (0) 2020.05.31
어휘사전 - 290. 짐  (0) 2020.05.31
어휘사전 - 288. 질  (0) 2020.05.31
어휘사전 - 287. 진  (0) 2020.05.3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