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이연순, 의승기의 주제의식 고찰 - 4. 의의와 결론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이연순, 의승기의 주제의식 고찰 - 4. 의의와 결론

건방진방랑자 2022. 10. 23. 17:18
728x90
반응형

 4. 의의와 결론

 

 

이상으로 의승기의 창작 배경과 주제 의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문에서 의승기의 창작 배경인 17세기 중반의 사회 분위기와 문단의 경향을 살피고, 창계의 생애와 학문에서 작품과 관련이 있는 부분을 파악한 후, 작품 속의 공간 설정과 인물들의 형상화, 그리고 제목의 의미 등을 통해 주제의식을 드러낸 면모를 연관하여 살필 수 있었다.

 

 

창계의 생애를 통해 의승기를 읽어야 한다

 

이를 통해 의승기는 지상에 국한한 공간을 설정하여 천군 또한 지상의 존재로서 처음에 덕을 지닌 점만이 소개되었다가 도적의 침입을 겪고 나서야 성성옹의 도움을 받으며 호()와 역수(曆數) 등을 정하는 것으로 나오는 점이 전대 천군소설들과 다른 점임을 밝혔다. 천군이 즉위한 지 3년이 지나 도적이 나타나나, 이때 등장하는 도적에 대해서도 자세한 묘사나 구체적인 이름도 없이 천군의 나라를 해한 행적만 기술되다가 맹호연이 남은 도적을 퇴치하러 그들의 세계에 들어가면서 환, 명리, 욕심, 분심 등으로 구체화되어 묘사되었다. 도적의 여러 공간 가운데 특히 환해를 제일 요해처로 제시한 것은 17세기 벼슬을 거부하는 사회 분위기와 일생을 통해 벼슬을 꺼려한 창계의 생애와 맞물려 해석될 수 있다고 보았다.

 

 

경과 의의 조화를 중시하다

 

또한 의승기는 경()을 강조한 기존 작품들에 비해 의()를 중시하여 충신인 맹호연(孟浩然)의 활약을 부각해 다룬 점에서 독특한 작품임을 발견하였다. 제목에서도 표방하고 있듯이 의승기는 의를 더욱 강조하며 작품 속에서 맹호연의 활약을 부각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마지막에 성성옹이 천군에게 순임금의 옛일을 본받아 문교를 통해 남은 도적을 교화하도록 간하는 데서 경을 대변하는 성성옹의 면모 또한 간과하지 않고 있다. 이는 병자호란으로 인해 벼슬을 거부하는 사회 분위기가 지배적이던 17세기 중반의 풍조 속에서 성성옹과 맹호연이 대변하는 경과 의의 조화를 추구함으로써, 당시 오랑캐의 무력적 침입에 의해 무너진 자존감을 회복하며 아울러 정신적 불균형 상태를 조화롭게 만들려는 작가의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 보인다. 이러한 데서 당시 사대부의 정신적 회복의지를 찾을 수 있다.

 

 

봉해진 나라를 떠나지 않는 천군의 모습을 그리다

 

맹호연에 의해서도 굴복되지 않는 남은 도적을 성성옹이 천군에게 간하여 교화로써 복종시키는 의승기의 결말 부분은, 전대의 천군전과 비교할 때 차이가 발견된다. 천군전은 천군이 천상에서 인간세계로 하강하였다가 다시 천상으로 상승하는 공간 이동을 통해 갈등을 해소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서두와 결말이 호응되도록 마무리 짓는 방법으로, 신화나 적강 소설에서 흔히 보이는 원환적 시간구성법이라는 점이강엽, 토의문학의 전통과 우리소설, 태학사, 1997, pp.221~222. , 천군전의 방식 은 사람의 몸에 해지기 이전의 원초적인 모습으로 회귀함으로써 양끝을 맞추는 방법을 쓴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천군전心學에 해당하는 사실들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그 설명이 끝나면 원상으로 회복시키는 사상적 지향이 강한 작품이라고 평가했다.에서 비현실적이며 비소설적김광순, 앞의 책, 1980, p.109.이라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천군전이후 작품들에서는 원환적인 시간관(時間觀)이 나타나지 않고 한 번 봉()해진 나라를 떠나지 않는 점에서 이런 속성에서 벗어났다이강엽, 앞의 책, 1997, p.222.고 평해지는데, 이러한 점을 의승기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또한 동시대에 지어진 천군연의에서 도적을 귀양 보내거나, 후대 천군본기에서는 천군이 의원의 말을 좇아 자강(自强)해가고, 천군실록에서 도적을 물리친 후 마음의 평정 상태를 누리는 등, 갈등 해소 방식이 더욱 인간적인 방식으로 발전되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다만 본고에서 의승기창작과 관련한 배경만을 다루면서 창계의 문학과 학문전반에 관한 특징을 자세히 살피지 못한 한계가 있다. 17세기 변화한 문단과 학문 풍토 속에서 창계의 문학과 학문이 가지는 의의가 분명히 있을 것이므로, 이는 앞으로 창계의 문집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함께 관련 문헌들의 조사를 통해 추후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다.

 

 

참고 문헌

자료

임영, 창계집, 한국문집총간 159, 1995.

임영, 창계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4.

김우옹, 동강집, 한국문집총간 50, 1989.

書經

肅宗實錄

論語

荀子

고문서집성67나주임씨 창계후손가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단행본

권태을, 식산 이만부 문학 연구, 오성문화사, 1990.

금장태, 한국유학의 心說, 서울대 출판부, 2002.

김광순, 천군소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6.

김학주 역주, 荀子, 을유문화사, 2001.

이강엽, 토의문학의 전통과 우리소설, 태학사, 1997.

이경구, 17세기 조선지식인 지도, 푸른 역사, 2009.

이우성, 한국고전의 발견, 한길사, 2000.

조동일, 한국문학통사4, 3, 지식산업사, 2005.

조성산, 낙론계 학풍의 형성과 전개, 지식산업사, 2007.

최윤정, 서계 박세당 문학의 연구, 혜안, 2011.

현상윤 저, 이형성 교주, 조선유학사, 심산출판사, 2010.

홍원식 외, 조선시대 심경부주 주석서 해제, 예문서원, 2007.

홍원식 외, 심경부주와 조선유학, 예문서원, 2008.

홍찬유, 역주 시화총림, 통문관, 1993.

 

논문

강혜규, 천군계 작품의 사적 고찰, 정신문화연구, 31권 제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pp.301-326.

김광순, 창계의 생애와 문학, 퇴계학과 한국문화, 14, 경북대 퇴계학 연구소, 1986, pp.43-62.

안병설, 천군계 우언의 형성과정과 특성, 中國學論叢7, 국민대학교 중국 문제연구소, 1991, pp.45-68.

윤주필, 우언소설의 양식사적 검토, 고소설연구, 5, 한국고소설학회, 1998, pp.71-101.

오종일, 滄溪 林泳學問性理說, 東洋哲學硏究, 22, 東洋哲學硏 究會, 2000, pp.115-135.

이기대, 心性論의 역사적 전개와 金宇顒天君傳」」, 한국학연구. 30,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2009, pp.103-129.

이병찬, 滄溪三淵詩經說正祖 詩經講義相關性, 詩話學3·4, 동방시화학회, 2001, pp.365-385.

이영호, 朝鮮後期 朱子學的 經學變貌樣相에 대한 一考察 : 滄溪 林泳息山 李萬敷大學解釋異端觀中心으로, 漢文敎育硏究17, 한문교육학회, 2001, pp.325-347.

이종범, 滄溪 林泳學問政論, 韓國人物史硏究9, 한국인물사학회, 2008, pp.185~186.

임형택, 17세기 규방소설의 성립과 창선감의록, 동방학지, 57, 연세대 국학연구원, 1988, pp.103-176.

전병철, 지리산권 지식인의 마음 공부 : 신명사도명관련 남명학파 문학작품에 나타난 재해석의 면모와 시대적 의미, 남명학연구, 28, 경북대 퇴계학연구소, 2009, pp.315~360.

최재남, 창계 임영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작가연구12, 한국한시학회, 2008, pp.373~404.

허원기, 天君小說心性論的 意味, 古小說硏究11, 韓國古小說學會, 2001, pp.115-144.

 

 

Abstract

 

The study on subject consciousness of

Ui-Seung-Gi(義勝記)

 

Lee Yeon-Soon

 

 

This paper looked at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exposed to Ui- Seung-Gi(1664 works) written by Chang-Gyega Lim-Young(滄溪 林泳, 1649~1696). The first, I examined the creative background of the mid-17th century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then the life and learning of Chang-Gyega. The second, I analyzed the text of Ui-Seung-Giand clari- fied the theme of Ui-Seung-Giin two ways.

As a result, I identified that Ui-Seung-Giof Chang-Gyega is restoring self-esteem destroyed by barbarians invading and reveals the spiritual resto- ration by persuating harmonious state of mental imbalance.

 

key words : subject consciousness, Ui-Seung-Gi(義勝記), Chang-Gyega(滄 溪), Lim-Young(林泳), the mid-17th century, the spiritual res- toration.

 

 

 

 

인용

목차 / 지도

1. 서론

2. 창작의 배경

1) 17세기 중반의 사회ㆍ문화적 배경

2) 창계의 생애와 문학성향

3. 주제 의식

1) 지상에 국한한 공간설정과 의 경계

2) 인물 형상을 통한 의 조화 추구

4. 의의와 결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