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이연순, 의승기의 주제의식 고찰 - 1. 서론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이연순, 의승기의 주제의식 고찰 - 1. 서론

건방진방랑자 2022. 10. 23. 16:00
728x90
반응형

 의승기(義勝記)의 주제 의식 고찰

이 연 순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국문초록

 

 

본고는 창계(滄溪) 임영(林泳, 1649~1696)의 작품 의승기에 드러난 주제의식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먼저 의승기의 창작 배경으로 17세기 중반 사회와 문화, 그리고 창계의 생애와 학문에 대해 살피고, 의승기의 주제의식에 대해 두 가지 점을 밝혔다.

 

의승기가 창작된 17세기 중반 조선 사회에서는 병자호란을 겪은 사대부들이 벼슬을 거부하는 움직임을 보였고, 문단에서는 산문이 유행하며 문학의 향유층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시대에 창계는 어려서 누이들에게 언문 소설을 듣고, 조부께 궁리수심(窮理修心)의 학문에 힘쓸 것을 가학(家學)으로 전수받으며 의승기창작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창작된 의승기16세기의 천군전과 다르게 지상(地上)에 국한한 공간을 설정해 천군을 지상의 존재로서, 도적은 바다의 주인으로 제시하며, 환해(宦海)를 도적의 제일 요해처로 강조하였다. 그리고 천군을 돕는 충신으로 경()을 대변하는 성성옹과 의()를 대변하는 맹호연의 인물 형상을 조화롭게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창계의 의승기는 벼슬[]을 경계하며, ()과 의()를 조화롭게 추구한 주제의식을 드러냄으로써, 당시 병자호란 직후 오랑캐의 무력적 침입에 의해 무너진 자존감을 회복하며 아울러 정신적 불균형 상태를 조화롭게 만들려는 유자들 의 정신적 회복 의지를 보여준 작품이라 파악된다.

 

주제어 : 滄溪, 林泳, 義勝記, 주제의식, 17세기, 天君, 心性, 孟浩然, , ,

 

 

 

1. 서론

 

 

본고는 17세기에 창계(滄溪) 임영(林泳, 1649~1696)이 마음을 의인화하여 창작한 의승기(義勝記)의 창작 배경과 그 주제의식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의승기는 창계의 대표적인 문학작품이자 천군소설의 계보를 잇는 17세기 작품의 하나이다.

 

 

기존 논문의 방향

 

기존에 의승기는 소설사와 천군소설 연구에서 다른 작품들과 함께 종종 언급되었다김광순, 천군소설연구, 형설출판사. 1980; 안병설, 천군계 우언의 형성과정과 특성, 中國學論叢7, 國民大學校中國問題硏究所, 1991; 윤주필, 우언소설의 양식사적 검토, 고소설연구, 5, 한국고소설학회. 1998; 許元基, 天君小說心性論的 意味, 古小說硏 究11, 韓國古小說學會, 2001; 강혜규, 천군계 작품의 사적 고찰, 정신문화연구, 31권 제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특히 의승기는 임란 직후에 나온 작품으로, 임란 이전에 나온 천군전, 수성지와 임란을 전후해 나온 천군연의등과 함께 초기 소설사의 공백기를 메워준 점에서 주목되었다김광순 역주, 천군소설, 해제,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6, p.9..

 

의승기를 단독으로 연구한 업적은 김광순(1986)창계의 생애와 문학이 유일하다. 김광순은 창계의 의승기저작 배경으로 당시 중국 소설과 영웅소설의 영향을 들었다. 곧 창계의 의승기가 당시 유입된 중국소설과 임란 이후 나온 영웅소설 등의 주인공 묘사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을 것김광순, 창계의 생애와 문학, 퇴계학과 한국문화, 14, 경북대 퇴계학연구소, 1986, p.52. 그러나 실제 작품에서는 천군에 대해 행동만 기술되고 묘사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였을 뿐, 이러한 영향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다.이라 추측한 것이다. 그리고 최재남이 창계의 삶과 시세계를 살피면서 창계가 14세에 조부께 궁리수심(窮理修心)의 학문을 전수받고 16세에 의승기를 창작한 것에 대해 맹자(孟子)의 사상과 연결될 수 있는 심리(心理)에 바탕을 둔 것이라 정리한 바최재남, 창계 임영의 삶과 시 세계, 한국한시작가연구12, 한국한시학회, 2008, pp.376~377.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에서 부여한 소설사적, 문학사적 의의 외에도 의승기는 도적의 요해처(要害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을 대변하는 인물인 성성옹(惺惺翁)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를 드러내는 맹호연(孟浩然)에 대해서도 인물 묘사를 상세하게 다루는 등 작품 내적으로 여느 천군전과 다른 점이 주목되는 작품이다.

 

 

이 논문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내용

 

이에 본고에서는 창계의 작품 의승기에 관해 당대 사회와 문화와의 영향관계를 고려하여 그 창작 배경과 주제의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의승기창작에 배경이 된 17세기 중반 사회와 문화, 그리고 창계의 생애와 문학 성향에 대해 살펴본 후, 작품을 분석하며 창작배경과 관련지어 주제의식을 도출하고 그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겠다.

 

본고에서 대상으로 하는 자료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펴낸 창계집한국문집총간 159과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나온 창계집(1994)이다. 의승기를 본문에서 인용할 때는 전자를 주 자료로 하여 작가 이름을 제외하고 제목과 권수만을 제시하며, 그 외에 후자를 부분적으로 인용할 때도 적용함을 밝힌다.

 

 

 

 

인용

목차 / 지도

1. 서론

2. 창작의 배경

1) 17세기 중반의 사회ㆍ문화적 배경

2) 창계의 생애와 문학성향

3. 주제 의식

1) 지상에 국한한 공간설정과 의 경계

2) 인물 형상을 통한 의 조화 추구

4. 의의와 결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