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이연순, 의승기의 주제의식 고찰 - 2. 창작의 배경, 1) 17세기 중반의 사회ㆍ문화적 배경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이연순, 의승기의 주제의식 고찰 - 2. 창작의 배경, 1) 17세기 중반의 사회ㆍ문화적 배경

건방진방랑자 2022. 10. 23. 16:08
728x90
반응형

 2. 의승기창작의 배경

 

 

1) 17세기 중반의 사회ㆍ문화적 배경

 

 

병자호란이 미친 지식인의 은둔

 

창계가 태어나기 전 조선 사회에 일어난 가장 큰 사건은 병자호란이었다. 특히 병자호란 이듬해인 1637(인조 15) 인조가 청에 항복한 일은 당시 문인들에게 매우 충격적인 사건이어서 그들의 출사(出仕)에도 영향을 끼쳤다. 대표적으로 윤휴(1617~1680), 유형원(1622~1673), 윤증(1629~1714) 등이 그러한 삶을 보여주었다이경구, 17세기 조선지식인 지도, 푸른 역사, 2009, pp.134~135; pp.160~162.. 자신의 신념에 따라 출사거부를 선택하는 것이 당대 사회에 대한 문인들의 현실 대응 방식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당시는 병자호란뿐만 아니라 붕당의 세력 형성 등 외부 상황에 따라 출사에 대한 선택이 크게 영향을 받았다.

 

창계의 외종숙으로 창계와 서간(書簡)을 주고받으며 토론했던 조성기(1638~1689)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당대 정치 현실과 정치인을 비판적으로 대했다. 이러한 태도의 저변에는 병자호란 이후 오랑캐의 지배 하에서 벼슬을 한다는 것은 오랑캐의 배신(陪臣)에 다름 아니라는 현실인식이 깔려 있었던 것최재남, 앞의 논문, 2008, pp.375~377.이라 보는 시각도 같은 맥락이다.

 

 

의승기에 영향을 끼친 심학(心學)과 신명사기(神明舍記)

 

그렇다면 의승기가 창작되기까지 영향 받은 사상과 문학의 배경은 무엇이었는지 살펴보자. 먼저 사상적 배경이다. 조선시대 성리학의 중심과제는 마음의 근원과 구조를 밝히는 이론적 관심에서 나온 심성론과, 마음의 표준을 확인하고 이상적 실현을 추구하는 실천적 관심을 보인 수양론의 두 영역에서 전개되었다금장태, 한국유학의 心說, 서울대 출판부, 2002, pp.85~86.. 특히 15세기에 우리나라에 전해진 심경부주(心經附註)16세기 퇴계에서부터 존중되어 유학자들 사이에서 활발히 읽히면서 당시 심성론과 수양론 등의 논의가 심경부주의 독서와 토론을 중심으로 크게 일어났고, 이후 퇴계의 제자들에 의해 심경부주 주석서의 저술이 다수 이루어졌다홍원식 외, 심경부주와 조선유학, 예문서원, 2008, p.13; 홍원식 외, 조선시대 심경부주 주석서 해제, 예문서원, 2007, p.15..

 

이러한 심경부주의 독서와 그 주석서 저술은 당시 문단에도 영향을 미쳐, 도회(圖會)제작과 문학창작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남명의 신명사도(神明舍圖)나 퇴계의 성학십도(聖學十圖)와 같은 도회가 제작되고, 이는 동강의 천군전(天君傳)과 이정(李楨)신명사부(神明舍賦)등과 같은 문학 창작으로 이어진 것이다.

 

동강의 천군전은 당시 심경을 읽고 실제 경연에서도 강의한 동강이 스승 남명의 명()을 받아 지은 작품으로, 16세기 당대 조선의 사상적 경향을 작품 속에 반영하고 있다신명사도를 제작한 남명이 여기에 더하여 을 짓고, 그 제자인 동강에게 천군전을 짓게 명한 이후로, 사대부들은 신명사를 제목이나 작품 속에서 차용하여 조선시대 心學을 잇는 한편, ‘천군을 등장인물로 하여 마음을 의인화한 작품들을 계보를 이어가며 창작하였다. 17세기 이후에 나온 대표적인 작품은 계곡 장유의 神明舍記, 한사 강대수의 신명사기, 태계 하진의 신명사기, 그리고 19세기 면우 곽종석의 神明舍賦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강혜규(2008)의 연구와 전병철, 지리산권 지식인의 마음 공부 : 신명사 도명관련 남명학파 문학작품에 나타난 재해석의 면모와 시대적 의미, 남명학연구, 28, 경북대 퇴계학연구소, 2009, pp.315~360 참고..

 

 

고려 말 이어져온 가전(假傳)의 전통 계승

 

또한 문학적으로 마음을 의인화한 점에서 고려말 사대부 문인들이 사물에 대한 관심으로 사물을 의인화해 작품화한 가전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이는 한편 16세기 기록문학이 번성하던 시대와 문단의 경향과 관련하여서도 해석된다. 곧 조선 전기에 잦은 사화(士禍)를 겪은 사림들이 자칫 사라질 수도 있는 인물이나 사건의 사실기록을 활발히 남기면서 16세기에는 일기문학의 번성기를 맞게 되는데, 이 같은 기록문학으로 다 담을 수 없는 당시 정치와 사상의 실제를, 마음을 의인화한 문학작품으로 드러낸 것이라 여겨진다.

 

17세기 중반에 창작된 창계의 의승기는 이러한 16세기 천군전의 뒤를 잇는 작품으로, 사상적으로 심학풍(心學風)이 형성조성산, 낙론계 학풍의 형성과 전개, 지식산업사, 2007, p.70.되는 17세기의 사상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창계가 수학한 이단상, 그와 교유한 조성기, 김창협 등이 ()’과 관련해 깊은 관심을 보이며 글을 남긴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문학에서는 당시 임병 양란을 거치며 사건과 인물에 대해 기록하는 전대의 정신이 이어져 쇄미록, 병자일기등이 나왔고, 전대보다 소설이 유행하여 그에 따라 문학 담당층과 향유층이 확대된 17세기 문단의 경향을 반영한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영향

 

특히 17세기는 양란 이후 소설사적으로도 변모된 양상을 보이는데, 특히 문학 향유층이 확대된 상황은 당시 부녀자들 사이에서 언문소설을 즐겨 읽은 풍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만부가 1632년에서 1634년 사이의 일로 기록한 자료에 따르면, 사대부 부녀자가 언문소설을 소리 내서 읽다가 나무람을 당한 일이 있다권태을, 息山 李萬敷 文學 硏究, 오성문화사, 1990; 조동일, 한국문학통사4, 3, 지식산업사, 2005, p.123, p.129 미주 재인용. 한다. 이 부분은 국문소설사에서 17세기 초 허균의 소설 다음에 17세기 말 김만중 소설로 건너뛸 수밖에 없었던 사정을 밝히는 데서 언급된 것이지만, 이와 동시대를 살았던 창계 당시 소설의 유행과 문학 향유층의 확대를 알려주기도 한다. 창계 또한 실제로 여덟 살 때, 누이들과 함께 소설을 가까이 접하다임형택, 17세기 규방소설의 성립과 창선감의록, 동방학지, 57, 연세대 국학연구원, 1988, pp.118~119. 16세에 스스로 의승기를 창작하기에 이른 것이라 여겨진다.

 

 

 

 

인용

목차 / 지도

1. 서론

2. 창작의 배경

1) 17세기 중반의 사회ㆍ문화적 배경

2) 창계의 생애와 문학성향

3. 주제 의식

1) 지상에 국한한 공간설정과 의 경계

2) 인물 형상을 통한 의 조화 추구

4. 의의와 결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