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아부행(餓婦行) - 1. 두 아이와 밥 빌러 온 아낙 본문

한시놀이터/서사한시

아부행(餓婦行) - 1. 두 아이와 밥 빌러 온 아낙

건방진방랑자 2021. 8. 7. 18:46
728x90
반응형

1. 두 아이와 밥 빌러 온 아낙

 

山門日欲暮 北風高崖裂 산 어귀[각주:1]의 해 지려 하여 북풍[각주:2]이 높은 벼랑을 찢을 정도로 분다네.
居人憚涸寒 閉關縮如鱉 마을사람은 얼어붙는[] 추위를 꺼려 문 닫고 자라처럼 움츠렸네.
俄有扣門聲 餓婦面深黑 이윽고 문 두드리는 소리가 나니 굶주린 아낙의 얼굴이 매우 새카맸고
乳下挾兩兒 歲暮蒙絺綌 젖 아래 두 아이 끼었는데 세밑[각주:3]임에도 갈포 옷만 입었으며[각주:4]
手中無所携 不食已三日 손엔 가진 게 없어 굶은 지 이미 사흘째라네.
小僮出門邊 黃薤和脫粟 머슴애[각주:5]가 문가로 나가 누런 염교에 현미밥[각주:6]을 섞어 줬지만
兒飢兩手持 母餐不可得 굶주린 아이 두 손으로 안고 있어 아낙은 음식을 잡을 수 없었기에
推兒置坐傍 取食納諸橐 아이를 밀어두고 곁에 앉아 음식 취해 전대에 넣네.

 

 

 

 

 

 

인용

전문

해설

 
  1. 산문(山門): 절 또는 절의 바깥문 / 산의 어귀 [본문으로]
  2. 북풍(北風): 겨울에 부는 바람 [본문으로]
  3. 세모(歲暮): 세밑, 한 해가 저물어 설을 바로 앞둔 때 [본문으로]
  4. 치격(絺綌): 고운 갈포(葛布)와 굵은 갈포를 뜻하는데, 『시경(詩經)』 패풍(邶風) 녹의(綠衣)에 "고운 갈포며 굵은 갈포여, 바람이 싸늘하게 불어오도다. 내가 옛사람을 생각하노니, 정말 내 마음을 알아주도다.[絺兮綌兮 凄其以風 我思古人 實獲我心]"라는 말이 나온다. [본문으로]
  5. 소동(小僮)=소시(小廝): 사환. 사동. 머슴애. 심부름꾼 아이. [옛날, 잡일을 맡아 보는 남자 아이] [본문으로]
  6. 탈속반(脫粟飯) : 껍질만 벗기고 쓿지는 않은 쌀, 즉 현미(玄米)로 지은 밥.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