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장자 타자와의 소통과 주체의 변형, Ⅶ. 단독자[獨]의 의미 - 1. ‘삶을 기뻐하고 죽음을 싫어하는 의식’, 소의 물살에서 자유자재 헤엄치던 사람 본문

고전/장자

장자 타자와의 소통과 주체의 변형, Ⅶ. 단독자[獨]의 의미 - 1. ‘삶을 기뻐하고 죽음을 싫어하는 의식’, 소의 물살에서 자유자재 헤엄치던 사람

건방진방랑자 2021. 7. 4. 04:44
728x90
반응형

1. ‘삶을 기뻐하고 죽음을 싫어하는 의식

 

 

1. 소의 물살에서 자유자재 헤엄치던 사람

 

 

장자는 나는 나다라는 인칭적 자의식을 마음에서 해체하라고 권고했다. 이런 해체를 통해서 우리는 접촉한 타자에 따라 임시적인 자의식을 구성할 수 있는 마음의 유동성, 즉 비인칭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장자에게 고착된 자의식이 자신을 이것이라고 여긴다[自是]’라는 의식형태로 규정될 수 있다면, 임시적이고 유동적인 자의식은 자신을 저것으로 여긴대[自彼]’라는 의식형태로 규정될 수 있는 것이다. 자신은 이것[]이라고 개념 규정되기에, 자신을 저것으로 여기는[自是] 주체의 의식 상태는 이것[]이면서 동시에 저것[]인 상태, 이것=저것인 상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장자는 이것을 도의 지도리[道樞]라고 정의하는데, 이것이 바로 이것과 저것[是彼]이라는 대대 관계가 해소된 무대[無待]의 상태다. 그러나 오해해서는 안 되는 것이 있다. 스스로를 저것으로 여긴다는 것, 다시 말해 무대의 상태는 결코 주체와 타자변증법적으로 지양되어 하나가 된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이것은 주체가 타자와 더불어 공생의 흐름을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생(達生)편에 나오는 다음 이야기는 이런 우리의 분석에 대한 증거로서 읽힐 수 있을 것 같다.

 

 

공자가 여량(呂梁)이라는 곳에 유람을 하였다. 그곳의 폭포수가 삼십 길이나 되었는데, 그 폭포수에서 떨어져 나온 물거품이 사십 리나 튈 정도로 험해서, 자라나 물고기 등도 수영할 수 없을 정도였다. 그런데 한 사나이가 그런 험한 곳을 수영하는 것을 목도하게 되었고, 공자는 그 사람이 어떤 피치 못할 사정으로 자살하려고 물에 들어간 것이라고 여겼다. 공자는 제자들로 하여금 물길을 따라가서 그 사나이를 건지게 하였다. 그 사나이는 한참이나 물 속에서 물을 따라 흘러가다가 마침내 물에서 나와 젖어 흐트러진 머리로 노래를 부르며 둑 아래를 유유자적하면서 걸어갔다. 공자는 그를 따라가서 물어 보았다.

孔子觀於呂梁, 縣水三十仞, 流沫四十里, 黿鼉魚鱉之所不能游也. 見一丈夫游之, 以爲有苦而欲死也. 使弟子幷流而拯之. 數百步而出, 被發行歌而游於塘下. 孔子從而問焉,

 

나는 그대가 귀신인 줄 알았네. 그러나 지금 보니 자네는 귀신이 아니라 사람이군. 그대에게 수영을 하는 어떤 특이한 방법이라도 있는지 묻고 싶네.”

: “吾以子爲鬼, 察子則人也. 請問: 蹈水有道乎?”

 

그 사나이가 대답했다. “무슨 특별한 방법이 있겠습니까? 나는 과거의 삶의 문맥에서 시작했습니다. 지금은 현재의 삶의 문맥에서 자라고 있습니다. 이렇게 될 수 있었던 것은 부득이한 소통의 흐름에서 제 자신을 완성했기 때문입니다[始乎故, 長乎性, 成乎命]. 물이 소용돌이쳐서 빨아들이면 저도 같이 들어가고, 물이 나를 물 속에서 밀어내면 저도 같이 그 물길을 따라 나옵니다. 물의 길을 따라서 그것을 사사롭게 나의 것으로 여기지 않았습니다.”

: “, 吾無道. 吾始乎故, 長乎性, 成乎命. 與齊俱入, 與汩偕出, 從水之道而不爲私焉. 此吾所以蹈之也.”

 

그러자 공자가 물어 보았다. “과거의 삶의 문맥에서 시작했지만, 지금의 삶의 문맥에서 자라날 수 있었던 것은 부득이한 소통의 흐름에서 자신을 완성했기 때문이라고 그대는 말했는데, 그것은 무슨 의미인가?”

孔子曰: “何謂始乎故, 長乎性, 成乎命?”

 

그 사나이가 대답했다. “제가 육지에서 태어나서 육지에 편해진 것이 옛날의 삶의 문맥[]이고, 제가 현재 물에서 자라서 물에 편해진 것이 지금의 삶의 문맥[]이고, 내가 지금의 삶의 문맥에서 어떻게 그렇게 수영을 잘 하는지 모르지만 수영을 잘하는 것이 소통의 부득이한 흐름[]입니다.”

: “吾生於陵而安於陵, 故也; 長於水而安於水, 性也; 不知吾所以然而然, 命也.”

 

 

계곡에는 소()라는 연못이 있다. 소는 폭포와 같은 물줄기가 떨어지는 큰 웅덩이처럼 생긴 연못이다. 그런데 이 소 안에서 한 번 넘어지면 일어설 수가 없다. 왜냐하면 폭포로 떨어졌던 물은 소의 바닥을 타고 강하게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 소에 빠져 중심을 잡고 물살에 말려서 허우적거릴 때 우리가 느끼는 감정은 어떤 것일까? 그것은 엄습하는 죽음에 대한 공포다. 위의 이야기를 읽을 때 우리는 이런 죽음이 엄습하는 듯한 공포 분위기를 잊어서는 안 된다. 그래야 우리는 죽음의 공포를 이기고서 이제 소용돌이치는 소의 물살에 따라 자유자재로 수영하는 사람에 대한 공자의 감탄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 사람은 어떻게 이리도 자유롭게 수영을 잘 할 수 있었을까? 이 사람의 이야기에 따르면 그는 사사롭게 고착된 자의식을 가지고 물의 흐름을 판단하기보다는, 오히려 매 순간마다 미묘하고 특이하게 변하는 물의 흐름에 맞추어서 자신의 몸동작을 조절했던 인물이다. 다시 말해 이 사람은 마음의 유동성을 회복했기에 타자와 어울리는 임시적 자의식을 구성할 수 있었던 사람이라는 것이다.

 

 

 

 

인용

목차

장자

원문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