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한국한시사, 목릉성세(穆陵盛世)의 풍요(豊饒)와 화미(華美) - 난중(亂中)의 명가(名家): 권필(權韠)③ 본문

카테고리 없음

한국한시사, 목릉성세(穆陵盛世)의 풍요(豊饒)와 화미(華美) - 난중(亂中)의 명가(名家): 권필(權韠)③

건방진방랑자 2021. 12. 21. 07:47
728x90
반응형

권필(權韠)이 스승인 송강 정철(鄭澈)의 무덤에 쓴 과송강묘유감(過松江墓有感)정철(鄭澈)의 사설시조인 장진주사(將進酒辭)의 사의(辭意)를 따서 인생의 무상함을 피력한 절창(絶唱)으로 이안눌(李安訥)문가(聞歌)와 비견되곤 한다. 이 시는 정경(情境)이 혼융되고 여운이 오래도록 가는 수작으로 많은 소인묵객(騷人墨客)들에 의하여 널리 구송되기도 하였다.

 

空山木落雨蕭蕭 빈 산에 낙엽지고 부슬부슬 비내리니
相國風流此寂寥 상국의 풍류도 이처럼 쓸쓸하구려.
惆悵一杯難更進 애달퍼라 한 잔 술 다시 올리기 어렵건만
昔年歌曲卽今朝 지난 날의 그 노래 오늘을 두고 지었음이라.

 

남용익(南龍翼)호곡시화(壺谷詩話)21에서 이안눌(李安訥)문가(聞歌)와 이 시를 비교하여 석주의 수구(首句)는 마치 옹문(雍門)의 거문고 소리가 홀연히 귀를 놀라게 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눈물을 흘리지 않을 수 없게 한다고 하고[盖權之首句, 有如雍門琴聲忽然驚耳] 이어서 동악(東岳) 이안눌(李安訥)의 시와 우열을 가리기는 힘들지만 격조는 권필(權韠)의 시가 뛰어나다고 평가하였다[雖難優劣, 然格調則權勝].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금오신화(金鰲新話)를 통하여 그의 탁월한 시재(詩才)를 과시하고 있거니와, 석주(石洲) 권필(權韠)도 그가 제작한 주생전(周生傳)에서 일찍이 그 유례를 보지 못한 사()의 솜씨를 시범함으로써 시인(詩人)은 소설류(小說類) 작품을 제조할 때에도 시의 기능에 특히 관심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용

목차

서사한시

한시미학

16~17세기 한시사

존당파ㆍ존송파의 평론연구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