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정철鄭澈: 1536(중종 31)~1593(선조 26) 본문

한문놀이터/인물지도

정철鄭澈: 1536(중종 31)~1593(선조 26)

건방진방랑자 2019. 1. 16. 03:14
728x90
반응형

정철鄭澈: 1536(중종 31)~1593(선조 26)

중기 문인ㆍ정치가.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계함(季涵), 호는 송강(松江). 시호는 문청(文淸).

 

1536   서울 장의동에서 영일 정씨 정유침(鄭惟沈)43녀 중 막내로 출생. 세자의 양제로 있던 맏누이의 귀여움을 받으며 궁중에서 놀며 자라남.
1545 10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 가문이 다 피해를 입음. 아버지를 따라 남북의 유배지를 전전함.
1551 16 전라도 창평의 성산(星山) 자락에 정착함.
    이곳에서 10년 동안을 생활하며 김인후, 기대승, 임억령 등에게 배움.
1561 26 진사시(進士試) 일등을 함.
1562 27 문과(文科) 장원함. 성균관 전적(典籍) 등을 역임함.
1563 28 가사 성산별곡을 지은 것으로 추정됨.
1566 31 맏누님 상을 당함.
1568 33 이조전랑에 임명되어 관리 추천권을 행사함. 이후 이이, 성혼 등과 보조를 맞추어 사림정치의 확립에 노력함.
1570 35 4월에 부친상을 당함. 고양 새원에서 시묘살이를 함.
1572 37 6월에 복을 벗고 의정부 사인(舍人) 등을 역임함.
1573 38 모친상을 당함. 고양 새원에서 시묘살이 함.
1575 40 6월에 복을 벗고 홍문관(弘文館) 직제학(直提學) 등을 역임함. 동서분당(東西分黨)이 시작됨.
1577 42 11월에 셋째 누님의 상을 만나 고양 새원에 물다가 인성왕후 상을 당해 궐내에 들어와 곡함.
1580 45 정월에 강원도 관찰사를 제수받고 부임함. 관동별곡(關東別曲)을 지음.
1581 46 2월에 체임되어 서울로 돌아와 성균관 대사성 등을 역임함. 당쟁이 격화되어 시비에 휘말리자 6월에 벼슬을 버리고 전라도 창평에 내려옴. 12월에 특명으로 전라도 관찰사 제수 받음.
1582 47 9월에 체임되어 서울로 올라가 도승지, 예조참판 등을 역임함.
1583 48 예조판서, 형조판서 등을 역임함. 동인들의 논척(論斥)을 입었으나 선조의 절대적 신임 속에 승진을 거듭함.
1584 49 정월에 정치적 동반자였던 이이 죽음. 동인들의 집요한 탄핵 속에서도 선조의 신임 속에 대사헌으로 총마를 하사받기도 하고, 의정부 우찬성에 승진함.
1585 50 8월에 양사(兩司)의 논척(論斥)을 입어 고양에 물러나 있다가 창평으로 퇴귀함. 4년간 창평에 소외되어 있으면서 사미인곡, 속미인곡을 지음.
1589 54 7월에 호남의 선배이자 서인의 원로였던 박순(朴淳) 죽음. 8월에 장자 상을 당하여 고양 새원에 머물다가 10월에 정여립의 모반사건을 듣고 대궐에 달려들어가 선조를 봄. 11월에 우의정을 제수받고 위관이 되어 기축옥사(己丑獄事)를 다스림.
1590 55 2월에 좌의정으로 승진하고 7월에 평난공신으로 인성부원군이 됨.
1591 56 2월에 세자책봉에 주청했다가 선조의 뜻을 거스려 윤3월에 파직되고, 이어서 탄핵을 입고 마침내 강계에 유배되어 위리안치됨.
1592 57 4월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5월에 석방되어 6우러 평양의 행재소에서 선조를 뵈옴. 9월에 양호체찰사가 되어 남으로 내려가 강화도, 충청도에 머물며 겨울을 남.
1593 58 권율 등과의 불화로, 정월에 체찰사에서 해임되고 2월에 돌아와 복명함. 5월에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갔다 11월에 돌아옴. 논척(論斥)을 받고 물러나 강화우사(江華寓舍)에서 죽음.

 

평가

1. 서인의 영수로 동인의 미움을 많이 받은 정치가.

2. 가사와 시조뿐 아니라 한시에도 능했다.

3. 송강별집추록유사(松江別集追錄遺詞), 문청공유사(文淸公遺詞), 서하당유고(棲霞堂遺稿)등이 있다.

 

  

차환벽당운

次環碧堂韻

추일작

秋日作

평교목적

平郊牧笛

연지

蓮池

제쌍계설운시축

題雙溪雪雲詩軸

주중사객

舟中謝客

제낙민루 / 의월정

題樂民樓 / 宜月亭

청원극리

淸源棘裏

추야 / 산사야음

秋夜 / 山寺夜吟

차환벽당운

次環碧堂韻

납월초육일야좌계사동

臘月初六日夜坐癸巳冬

함흥객관대국

咸興客館對菊

통군정

統軍亭

서회

書懷

대화만음

對花漫吟

서산만성

西山漫成

 

 

계주문

戒酒文

수월정기

水月亭記

한국사

한시사

문학통사

 

 

 

 

 

 

인용

안내도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