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군자는 극단이 아닌 의에 따라 처신한다
子曰: “君子之於天下也, 無適也, 無莫也, 義之與比.”
適, 丁歷反. 比, 必二反.
○ 適, 專主也. 『春秋傳』曰“吾誰適從” 是也. 莫, 不肯也. 比, 從也.
○ 謝氏曰: “適, 可也. 莫, 不可也. 無可無不可, 苟無道以主之, 不幾於猖狂自恣乎? 此佛ㆍ老之學, 所以自謂心無所住而能應變, 而卒得罪於聖人也. 聖人之學不然, 於無可無不可之間, 有義存焉. 然則君子之心, 果有所倚乎?”
해석
子曰: “君子之於天下也, 無適也, 無莫也, 義之與比.”
공자께서 “군자는 천하에 대해서 오로지 주장하지도 않고 그렇지 않음도 없으며 의(義)와 함께 따른다.”라고 말씀하셨다.
適, 丁歷反. 比, 必二反.
○ 適, 專主也.
적(適)은 온전히 주장하는 것이다.
『春秋傳』曰“吾誰適從” 是也.
『춘추전』에선 “내가 누구를 온전히 따를까?”라는 게 이것이다.
莫, 不肯也. 比, 從也.
막(莫)은 즐겨하지 않는 것이다. 비(比)는 따른다는 것이다.
○ 謝氏曰: “適, 可也. 莫, 不可也.
사량좌(謝良佐)가 말했다. “적(適)은 옳다는 것이다. 막(莫)은 옳지 않다는 것이다.
無可無不可, 苟無道以主之,
가(可)함도 불가(不可)함도 없이 만약 도(道)로 주장함이 없으면
不幾於猖狂自恣乎?
미친 듯이 스스로 방자한 것에 가깝지 않겠는가.
此佛ㆍ老之學,
이것은 불가와 도가의 학문이
所以自謂心無所住而能應變,
스스로 ‘마음에 가는 지향이나 집착이 없이 변화에 응한다’고 말하지만
而卒得罪於聖人也.
마침내 성인에게 죄를 얻었던 이유이다.
聖人之學不然, 於無可無不可之間,
성인의 학문은 그렇지가 않아 가(可)함 없고, 불가(不可)함도 없는 사이에
有義存焉.
의가 존재하니,
然則君子之心, 果有所倚乎?”
그렇다면 군자의 마음이 과연 치우치는 것이 있겠는가?”
주희(朱熹) | 사량좌(謝良佐) | 도올(檮杌) | ||
適 | 專主 | 可 | 긍정의 언사 | 가까이 함 |
莫 | 不肯 | 不可 | 부정의 언사 | 멀리 함 |
인용
09년 1차 16번 / 11년 1차 2번 / 13년 1차 13번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이인 - 12. 이익에 따라 행동하면 원망을 많아진다 (0) | 2021.09.30 |
---|---|
논어 이인 - 11. 군자와 소인의 생각 (0) | 2021.09.30 |
논어 이인 - 9. 거친 옷과 밥에 초연한 까닭 (0) | 2021.09.30 |
논어 이인 - 8. 도를 들을 수만 있다면 (0) | 2021.09.30 |
논어 이인 - 7. 잘못을 보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 줄을 알 수 있다 (0) | 2021.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