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김극기 - 이화(李花) 본문

한시놀이터/삼국&고려

김극기 - 이화(李花)

건방진방랑자 2022. 7. 22. 17:31
728x90
반응형

가을인데 뻘쭘하게 핀 자두꽃을 보며

이화(李花)

 

김극기(金克己)

 

 

淒風冷雨濕枯根 一樹狂花獨放春

無奈異香來聚窟 漢宮重見李夫人 東文選卷之十九

 

此咏秋日李花.

 

 

 

 

 

 

해석

淒風冷雨濕枯根

처풍랭우습고근

서늘한 바람과 찬 비가 마른 뿌리 적셔

一樹狂花獨放春

일수광화독방춘

한 나무의 미친 꽃이 홀로 봄을 방사(放射)하네.

無奈異香來聚窟

무내이향래취굴

어찌할 수 없이 기이한 향내가 취굴주취굴주(聚窟洲) : 신선이 사는 십주(十洲)의 하나이며, 거기서 반혼향(返魂香)이 나는데 그 향내가 풍기는 곳에는 죽은 사람이 다시 살아난다는 것이다.에 오니

漢宮重見李夫人

한궁중견이부인

한나라 궁궐의 거듭 이부인이부인(李夫人): 한무제(漢武帝)가 사랑하는 이부인(李夫人)을 잃은 뒤에 몹시 그리워하다가 이소군(李少君)의 방술로 이부인의 혼을 불러와서 얼굴을 잠깐 다시 보게 되었다. 이 시의 뜻은 봄에 없어졌던 오얏꽃이 가을에 다시 살아 왔다는 것을 말한다.을 보네.

 

此咏秋日李花.

이 시는 가을날 자두꽃을 노래한 것이다.

 

 

해설

이 시는 봄에 졌던 오얏꽃이 가을에 다시 핀 것을 보고 그 경이로움을 노래한 것이다.

 

차가운 바람이 몰아치는 가을인데 온 나무에 때 아닌 꽃, 즉 미친 꽃이 피었다. 오얏꽃의 향기가 취굴주에서 나오는 반혼향(返魂香)처럼 기이하니, 이 가을에 다시 보게 되었다.

 

허균(許筠)성수시화(惺叟詩話)10에서 김극기의 시를 시상의 운용이 매우 교묘하다[運思極巧].”라고 평하고 있다.

원주용, 고려시대 한시 읽기, 이담, 2009, 96

 

 

인용

작가 이력 및 작품

한시사 / /

문학통사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