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한글역주, 이인 제사 - 18. 부모와 생각이 다를 때 자식은 어떻게 행동해야 하나? 본문

고전/논어

논어한글역주, 이인 제사 - 18. 부모와 생각이 다를 때 자식은 어떻게 행동해야 하나?

건방진방랑자 2021. 5. 28. 09:04
728x90
반응형

 18. 부모와 생각이 다를 때 자식은 어떻게 행동해야 하나?

 

 

4-18.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부모를 섬길 때는 은미(隱微)하게 간()해야 한다. 부모님의 뜻이 내 말을 따르지 않음을 보더라도 더욱 공경하여 어기지 않아야 한다. 그것이 괴로웁더라도 원망하지는 말아야 한다.”
4-18. 子曰: “事父母幾諫. 見志不從, 又敬不違, 勞而不怨.”

 

부모란 나의 존재의 한계이다. 부모로 인해서 내가 태어났고, 부모로 인하여 오늘의 내가 있는 것이다. 부모라 할지라도 성인이 된 나의 입장과 그 삶의 뜻[] 사이에 충돌(不從)이 생겨나는 상황은 얼마든지 우리가 일상적으로 체험하는 것이다. 이러한 충돌의 상황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기간(幾諫)’()’는 고주나 신주나 모두 ()’로 풀었다. 부모님의 생각이 틀렸다고 간할 때는 온화한 표정을 지으며 예의를 갖추어 은미하게 말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렇게 간하였어도 부모님의 뜻이 나의 말을 따르지 않는 상황에 직면케 되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 그럴 때일수록 더욱 부모님에 대한 공경심을 늦추어서는 아니 되며 부모님의 말씀을 어기고 독자적으로 행동하는 짓을 삼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나에게 계속 스트레스가 쌓일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스트레스가 쌓이더라도, 부모님에 대한 걱정이 깊어지더라도, 원망은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勞而不怨].

 

마지막 노이불원(勞而不怨)’은 세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첫째의 가장 일반적 해석은 노이불원(勞而不怨)’을 앞의 구절과 독립시켜 해석하는 것이다. ()의 문제는 불위(不違)’에서 일단락 짓고, ‘노이불원(勞而不怨)’은 부모님으로 인하여 나에게 과도한 노역이 부과된다 하더라도 원망치 않는다는 식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둘째로 청조의 고증학자 왕인지(王引之)는 이 ()’()’의 의미로 해석하여 앞의 간()의 문제와 연계되는 의미맥락으로 풀었다. 그것은 곧 간하여 부모님이 내 심정을 몰라주는 상황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그로 인하여 부모님에 대하여 걱정은 할지언정, 원망을 해서는 아니 된다는 식으로 푸는 것이다[孝子但憂之而不怨其親也].

 

그런데 나는 노(: 와 같다)의 주체를 자식된 나로 풀었다. 즉 앞 구절의 우경불위(又敬不違)’하는 상황, 다시 말해서 부모님 생각이 내 생각과 틀림에도 불구하고 부모님 생각을 어기지 않고 따르는 상황이, 나에게 괴롭게 느껴진다 하더라도 결코 원망치는 말아야 한다는 식으로 푼 것이다.

 

예기』 「내칙편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부모님께 과실이 있을 때, 상기되는 것을 억누르고 얼굴색을 편안하게 하고 또 목소리를 부드럽게 하여 은미하게 간한다. 그런데 간하는 말이 먹혀 들어가지 않을지라도 더욱 공경하고 더욱 효성스럽게 해야 한다. 그러다가 기분이 풀리실 때를 틈타 다시 간해야 한다. 그러나 기분이 풀리시지 않더라도 부모님이 잘못으로 향당ㆍ주려에서 죄를 얻도록 방치하기보다는 간절히 매달려 계속 간하는 것이 옳다. 이로 인하여 부모님이 노하여 화가 나셔서, 종아리를 쳐서 피가 흐를지라도 감히 미워하고 원망해서는 아니 된다. 이럴 때일수록 더욱 공경하고 더욱 효성스러워야 하는 것이다.

父母有過, 下氣怡色, 柔聲以諫. 諫若不入, 起敬起孝, 說則復諫. 不說, 與其得罪於鄕黨州閭, 寧孰諫. 父母怒不說, 而撻之流血, 不敢疾怨, 起敬起孝.

 

 

예기』 「곡례하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 데 세 번 간해도 듣지 아니하면, 소리내어 울며 따른다.

子之事親也, 三諫而不聽, 則號泣而隨之.

 

 

모두 옛사람들의 삶의 태도의 정녕함과 효성의 지극함을 잘 나타내주는 깊이 있는 말들이다. 요즈음 사람들이 깊게 상고해볼 만한 이야기들이다. 진리의 체계간에 충돌이 있을 때, 그것을 논리적 진위만으로 해결하려는 이성주의적 노력은 그 한계가 명백한 것이다. 그것은 논리적 법칙의 필연에서는 가한 것이지만, 인간의 정감에서 발출되는 도덕적 영역에서는 그러한 이성주의적 해법이 때로 무의미한 것이다. 부모님과 나의 충돌은 깊은 정감의 공유를 토대로 하고 있으므로 그 충돌의 해결은 반드시 시간성이라는 함수를 전제로 해야 한다. 지금 당장 무엇이 해결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시간을 두고 설득하면 피차간에 유익한 결과가 도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의 문제는 결국 시중(時中)의 문제인 것이다.

 

 

이 장은 예기』 「내칙의 말과 서로 표리를 이룬다. ‘()’는 은미함이다. 은미(隱微)하게 간한다는 것은 내칙에 이른 바, ‘부모가 과실이 있을 때는 상기되는 것을 억누르고 얼굴색을 편안히 하며 목소리를 부드럽게 하여 간한다라고 하는 것이다. ‘견지부종(見志不從), 우경불위(又敬不違)’내칙에 이른 바, ‘간하여 그 말이 수용되지 않더라도 더욱 공경하고 더욱 효성스럽게 해야한다. 그러다가 기분이 풀리실 때를 틈타 다시 간해야 한다라고 하는 것이다. ‘노이불원(勞而不怨)’내칙에 이른바, ‘부모님이 잘못으로 향당ㆍ주려에서 죄를 얻도록 방치하기보다는 간절히 매달려 계속 간하는 것이 옳다. 이로 인하여 부모님이 노하여 화가 나셔서, 종아리를 쳐서 피가 흐를지라도 감히 미워하고 원망해서는 아니 된다. 이럴 때일수록 더욱 공경하고 더욱 효성스러워야 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것이다.

此章, 與內則之言相表裏. , 微也. 微諫, 所謂父母有過, 下氣怡色, 柔聲以諫. 見志不從, 又敬不違, 所謂諫若不入, 起敬起孝, 悅則復諫. 勞而不怨, 所謂與其得罪於鄕, 寧熟諫. 父母怒不悅, 而撻之流血, 不敢疾怨, 起敬起孝. 此章與內則之言相表裏.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