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 2장 한국불교의 흐름과 그 본질적 성격 - 임진왜란: 멸사봉공의 자비 본문

고전/불경

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 2장 한국불교의 흐름과 그 본질적 성격 - 임진왜란: 멸사봉공의 자비

건방진방랑자 2021. 7. 12. 19:03
728x90
반응형

임진왜란: 멸사봉공의 자비

 

 

스님들은 출가자이기 때문에 우선 가족에 얽매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스님들은 산사에서 살면서 호랑이도 맨손으로 때려잡을 수 있는 무술과 날랜 체력을 갖춘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좌선과 무술은 같은 정신수양방법입니다. 그리고 스님들은 계율을 지키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특별한 조직력이 있었고, 상하명령계통이 매우 질서있게 움직일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선()의 수행은 영활(靈闊)한 정신력을 길러줍니다.

 

스님들에게 가장 큰 문제는 불살생(不殺生)’이라는 계율이겠으나, 기실 대규모 살생을 목적으로 남의 나라를 침범하는 왜군을 죽이는 것은 살생이라는 개념에 해당될 수가 없습니다. 선종의 교리로 본다면 죽이는 자나 죽임을 당하는 자나 모두 공()일 뿐, 오직 더 큰 살생을 막는 헌신이 있을 뿐이죠. 스님은 기본적으로 민중의 시주(施主)에 의하여 살아갑니다. 그런데 그 민중이 살해당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가장 시급한 문제는 민중을 보호하고 구해야 하는 업무입니다. 시주(施主)를 보호하는 것이야말로 스님들의 자비행(慈悲行)인 것입니다. 왜군을 쳐부수는 것이야말로 스님들의 멸사봉공(滅私奉公)의 자비였습니다.

 

 

 

 

인용

목차

반야심경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