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 - 에필로그 & 참고문헌 본문

고전/불경

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 - 에필로그 & 참고문헌

건방진방랑자 2021. 7. 12. 19:03
728x90
반응형

5장 에필로그

 

 

20대 초반에 나를 사로잡은 경전, 더불어 살아온 지 어언 반세기, 50년의 통찰을 꼭 글로 써서 남겨야겠다는 사명감이 있었지만, 그 통찰을 글로 옮기는 과정은 솔직히 말해서 나에겐 처참한 투혼의 발로였다. 나의 발언의 형식으로 KBS 도올아인 오방간다에서 국민 모두에게 방영된 내용을 가지고 이승만 전 대통령의 양아들 이인수 박사가 날 고소했다는 것이다. 고소가 뭐 그렇게 대단한 일이냐고 웃어넘기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우리같이 오직 학문에만 전념하고 살아온 사람들에게(내 평생 사적이든 공적이든 일체 자리에 앉은 적이 없다)는 그 번거로운 프로세스가 한없는 모멸감과 배신감, 그리고 울분의 심사를 끓게 만든다.

 

마음 편하게 해탈된 경지에서 써야만 할 글을, 밤낮을 가리지 않고, 어릴 적 내 친구가 폐병으로 피를 토하여 죽어가던 그 모양으로 썼다. 이것은 한 달 만에 피로 쓴 글이다. 혜화경찰서에 출두하여 조서를 쓰기 전에 이 글을 끝내지 못하면 도저히 끝내지 못할 것 같아(내 서고에는 그렇게 중도에 끝나버린 원고가 너무도 많다) 가슴을 졸이며 썼다. 다행히 경찰서 가기 전 열을 시점에 원고를 탈고하고 나니, 후련하다는 느낌보다는 왠지 가슴이 울렁거린다. 가슴에 맺힌 분노가 아직도 가시지 않은 것이다. 반야의 지혜를 얻기 위하여 그토록 필사적으로 운필했는데 나는 번뇌의 불길을 아직 끄지 못했나 보다! 오호라! 화엄의 진리는 이렇게 설파하지 않았는고? 번뇌야말로 열반이라고! 번뇌가 나의 삶의 축복일까?

 

오도송은 죽을 때까지 계속 써야할 것 같다. 너무도 처절하게 죽어간 무수한 우리현대사의 원혼들이 나의 영혼을 붙들고 울부짖고 있는 한, 나는 해탈을 할 수 없을 것이다. ‘스바하의 노래도 부를 수 없을 것 같다.

 

나는 외친다. 촛불혁명은 반야혁명이다. 반야혁명이 될 때만이 우리는 통일된다. 우리 조선민족의 마음이 하나로 통일되는 그날을 위하여 이 책을 소리 없는 민중에게 바친다. 오늘도 슬픈 하루가 저물고 있다.

 

 

201978

오후 6

낙송암에서

 

 

▲2019년 봉은사 법왕루 '반야심경의 시각에서 본 우리민족의 미래전략' 강연회 모습

 

 

참고문헌

 

 

내 서재에 꽂혀있는 책에 한하여, 그리고 내가 이 책 쓰는데 직접적으로 도움을 준 책에 한하여 리스트를 작성하였다. 내가 이 책을 쓰는데 가장 큰 영향을 준 사상가는 미즈노 코오겐(水野弘元), 히라야마 아키라(平山彰), 카지야마 유우이찌(梶山雄一) 이 세 분이다. 그리고 텍스트에 관해서는 나카무라 하지메(中村元) 선생의 책이 큰 도움이 되었다. 내가 유학하던 시절에는 다 살아 계셨는데 나카무라 선생님 외로는 찾아뵙지 못했다. 그리고 훌륭한 사전을 만들어주신 운허 스님, 지관 스님께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를 나온, 고익진 선생의 제자 남호섭군의 꼼꼼한 지적이 나에게 큰 도움을 주었다. 나는 여기에 실린 모든 분들에게 큰 은혜를 입었다. 스바하.

 

 

사전류

 

1. 耘虛龍夏 著. 佛敎辭典. 서울: 동국역경원, 1998.

2. 中村元福永光司 등 편. 岩波佛敎辭典. 東京: 岩波書店, 1989.

3. 中村元 著. 佛敎語大辭典. 東京: 東京書籍, 1981.

4. 荻原雲來 編纂. 漢譯對照 梵和大辭典. 東京: 講談社, 1986.

5. 禪學大辭典編纂所 編. 新版禪學大辭典. 東京: 大修館書店, 1996.

6. 智冠 編著, 伽山佛敎大辭林, 22. 서울: 가산불교연구원, 1998년부터 지금까지 계속 간행되고 있음.

7. 村上眞完及川眞介. -佛敎辭典. 東京: 春秋社, 2009.

 

 

원전류

 

1. 高楠順次郞 編. 大正新脩大藏經5~ 8.

2. 中村元 編. 大乘佛典. 東京: 筑摩書房, 1982.

3. 譯經委員會. 한글대장경 大般若經20. 서울: 東國譯經院, 1988.

4. 김수진ㆍ이창섭 옮김. 한글대장경 道行般若經 外. 서울: 동국역경원, 2002.

5. 宋先偉 主編. 道行般若經. 北京: 大衆文藝出版社, 2004.

6. 박이오 역. 팔천송반야경. 서울: 운주사, 2018.

7. 慧潭 至常 譯. 大品摩訶般若波羅蜜經. 서울 불광출판부, 1992.

8. 鶴潭 편역. 팔천송반야경. 서울: 푼다리카, 2019.

9. 梶山雄一 譯. 大乘佛典 - 八千頌般若經2. 東京: 中公文庫, 2012.

10. 龍樹 著. 김성철 역주. 中論. 서울: 경서원, 1993.

 

 

논저류

 

1. 御牧克己 編. 梶山雄一著作集第2- 般若思想. 東京: 春秋社, 2012.

2. 梶山雄一, 思想 - 佛敎における言葉沈默京都: 人文書院, 1983.

3. 矢島羊吉. 哲學NHKブックス, 東京: 日本放送出版協會.

4. 梶山雄一, 般若經 - 世界. 東京: 中公新書, 1983.

5. 平川彰梶山雄一 外 編纂 講座大乘佛敎1 - 大乘佛敎とは. 東京: 春秋社, 1981.

6. 平川彰梶山雄一 外 編纂, 講座大乘佛敎2 - 般若思想. 東京: 春秋社, 1983.

7. 中村元紀野一義 譯註. 般若心經金剛般若經. 東京: 岩波書店, 1997.

8. 李箕永 번역ㆍ해설 반야심경ㆍ금강경. 서울: 한국불교연구원, 1997

9. 鎌田茂雄, 般若心經講話, 東京: 講談社, 1989.

10. 渡邊章悟, 般若心經: テクスト思想文化, 東京: 大法輪閣, 2018.

11. 玄侑宗久, 現代語譯般若心經, 東京: 筑摩書房, 2016.

12. 水野弘元 著, 原始佛敎. 京都: 平樂寺書店, 1981.

13. Junjiro Takakusu. The Essentials of Buddhist Philosophy.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1956.

14. 高楠順次郎 原著. 藍吉富 譯, 佛敎哲學要義. 臺北: 正文書局, 1971.

15. 히라카와 아키라. 이호근 옮김. 인도불교의 역사상ㆍ하. 서울: 민족사, 1994

16. 平川彰 著, 初期大乘佛敎研究, 東京:春秋社, 1969.

17. 平川彰, 般若心經新解釋, 東京: 世界聖典刊行協會, 1982.

18. 上山春平梶山雄一 編. 佛敎思想. 東京: 中公新書, 1979.

19. 渡邊照宏 著. 佛敎. 東京: 岩波書店, 1989.

20. 立川武藏 著. 思想史. 東京: 講談社, 2012.

21. 入矢義高 譯註. 臨濟錄. 東京: 岩波文庫, 1997.

22. 塚本啓祥 著. 睦楨培 譯, 佛敎史入門. 서울: 동국대학교 부설 역경원, 1988

23. 橫山紘一, 唯識思想入門. 東京: 第三文明社, 1989.

24. Edward Conze, Buddhist Wisdom Books. London: Mandala, 1988.

25. Edward Conze, Thirty Years of Buddhist Studies. New Delhi, 2008.

26. Edward Conze. Buddhism: its essence and development. New York: Harper Colophon Books, 1975.

27. Edward Conze, Buddhist Texts Through Ages. New York: Harper Torchbooks, 1964.

28. 공빈 지음. 허강 옮김. 구마라집 평전. 서울: 부키, 2018

29. 董群 釋譯. 從容錄. 高雄市: 佛光山宗務委員會, 2016.

30. 석지현 역주ㆍ해설. 종용록5. 서울: 민족사, 2015

31. 唐嘉 著. 道行般若經格義研究. 北京: 北京時代華文書局, 2018.

 

 

불교미술사

 

1. 高田修 著. 佛像起源. 東京: 岩波書店,1967.

2. 高田修 著. 佛像誕生. 東京: 岩波新書,1987.

3. 宮治昭. インド美術史. 東京: 吉川弘文館, 2009.

4. 宮治昭. ガンダラ不思議. 東京: 講談社,1996.

5. 西村公朝. 佛像再發見. 東京: 吉川弘文館, 2008.

6. 宮治昭. 佛像學入門. 東京: 春秋社, 2013.

7. 宮治昭. 佛像〈』. 東京: 春秋社, 2016.

 

 

한국불교

 

1. 李智冠 編著. 伽倻山海印寺誌. 서울: 가산불교문화연구원출판부, 1992.

2. 보조사상연구원 편집. 普照全書. 송광사: 佛日出版社, 1989.

3. 김형효ㆍ길희성 . 知訥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4. 강건기 지음. 보조국사 지눌의 생애와 사상. 송광사: 불일출판사, 2010.

5. 보조국사열반800주년기념사업회. 보조국사의 생애와 사상. 송광사: 불일출판사, 2011.

6. 金瑛泰 著. 西山大師生涯思想. 서울: 博英社, 1985.

7. 西山 著. 法頂 譯. 禪家龜鑑. 서울: 弘法院, 1971.

8. 靜山 法眞 譯註. 서산의 三家龜鑑禪敎釋禪敎訣. 서울: 한국불교禪理研究院, 2008.

9. 청허 휴정 지음. 박재양ㆍ배규범 옮김. 선가귀감. 서울: 예문서원, 2003.

10. 신지견. 서산사상과 신자유주의. 서울: 화은각, 2008.

11. 진관 . 조선僧軍의 임진왜란 참여연구. 서울: 한강출판사, 2017.

12. 서산대사 지음. 서산대사집상ㆍ하. 서울: 한국불교연구원, 2012.

13. 청허 휴정. 이상현 옮김. 청허당집.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6.

14. 경허 성우. 이상하 옮김. 경허집.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6.

15. 鏡虛惺牛禪師法語集刊行會. 鏡虛法語. 서울: 人物硏究所, 1981.

16. 윤청광 지음. BBS고승열전 경허 큰스님. 서울: 우리출판사, 2011.

17. 일지 글. 경허 - 술에 취해 꽃밭에 누운 선승. 서울: 민족사, 2012.

18. 釋明正 역주, 鏡虛集. 통도사: 극락선원, 1990.

19. 滿空門徒會 편찬. 滿空法語. 수덕사: 덕숭총림, 1986.

20.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편. 불교정화운동의 재조명. 서울: 조계종출판사, 2008.

21. 김광식. 근현대불교의 재조명, 서울: 민족사, 2000.

22. 金光植 著. 韓國近代佛敎史研究. 서울: 민족사, 1996.

23. 金光植 著. 韓國近代佛敎現實認識. 서울: 민족사, 1998.

24. 退翁 性徹 지음. 禪門正路. 서울: 佛光出版部, 1981.

25. 명진 지음. 힘 좀 빼고 삽시다. 서울: 다산책방, 2019.

26. 고익진 지음. 불교의 체계적 이해. 서울: 광륵사, 2015.

27. 고익진 편역. 한글아함경.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00.

28. 도올 김용옥 지음. 話頭, 혜능과 셰익스피어. 서울: 통나무, 1998.

29. 도올 김용옥 지음. 달라이라마와 도올의 만남3. 서울: 통나무, 2002.

30. 도올 김용옥 지음. 도올 김용옥의 금강경강해. 서울: 통나무, 2003.

 

 

 

 

인용

목차

반야심경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