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 3장 싯달타에서 대승불교까지 - 『심경』 8종, 그리고 대본과 소본 본문

고전/불경

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 3장 싯달타에서 대승불교까지 - 『심경』 8종, 그리고 대본과 소본

건방진방랑자 2021. 7. 14. 08:10
728x90
반응형

심경8, 그리고 대본과 소본

 

 

우선 우리가 반야심경(般若心經)이라고 하는 경전은 AD 649년에 현장(玄奘)이 역출(譯出)했다고 하는 텍스트를 기준으로 삼고 있고, 그 가장 정종이 되는 판본은 우리 고려제국의 대장경 속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현장이 인도에서 장안으로 돌아온 후 4년 만에 이 심경을 번역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현장 이전에, 일례를 들면 구마라집(350~c.409)이 번역한 심경은 없을까요? 물론 있습니다. 대정대장경에 수록된 반야심경만 해도 다음의 8종류가 있습니다. 학구적인 관심을 갖는 사람들을 위하여 그 8종을 우선 써보겠습니다.

 

1. 마하반야바라밀대명주경(摩訶般若波羅蜜大明呪經)1, 구마라집(鳩摩羅什, Kumārajīva) . No.250

 

2.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1, 현장 역(649), No.251

 

3. 보편지장반야바라밀다심경(普遍智藏般若波羅蜜多心經)1, 법월(法月, Dharmacandra) 중역(重譯), No.252

 

4. 반야바라밀다심경1, 반야(般若, Prajῇâ)와 이언(利言) 등이 공역(共譯, 790). No.253

 

5. 반야바라밀다심경1, 지혜륜(智慧輪, Prajῇācakra) (861). No.254

 

6. 반야바라밀다심경1, 법성(法成) (856). No.255

 

7. 당범번대자음반야바라밀다심경(唐梵翻對字音般若波羅蜜多心經)1, 불공(不空, Amoghavajra) 음역(音譯, AD 746~774). No.256

 

8. 불설성불모반야바라밀다경(佛說聖佛母般若波羅蜜多經)1, 시호(施護, Dānapāla) (AD 1000년경). No.257

 

여기에 제가 든 8개의 반야심경(般若心經)은 모두 타카쿠스가 편한 대정대장경 제8권에 실려있기 때문에 여러분들이 쉽게 그 동이(同異)를 대조해볼 수 있습니다.

 

반야심경(般若心經)만 해도 현존하는 산스크리트본에 따라 대품계(大品系, 대본大本이라고도 한다)와 소품계(小品系, 소본小本이라고도 한다)로 나눌 수 있는데 소품과 대품은 아주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소품은 더 축약되어 있고, 대품은 보다 형식적인 면에서 격식을 갖추고 있고, 또 상황설명도 자세합니다. 일례를 들면, 소품은 곧바로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혹은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로 시작하지만, 대품은 여시아문(如是我聞)’으로 시작하여 개대환희 신수봉행(皆大歡喜 信受奉行)’으로 끝납니다. 대품은 전통적 경전의 격식을 갖추고 있다는 뜻이지요.

 

 

 

 

인용

목차

반야심경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